View : 978 Download: 0

조선시대 십육나한도 연구

Title
조선시대 십육나한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ohans of Yi Dynasty : With Respect to 18-20C Sixteen Lohans
Authors
정숙영.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십육나한도조선시대불교신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阿羅漢은 인도에서 깨달음을 얻은 수행자, 존경받을 가치가 있는 賢者를 의미하는 말로 널리 쓰였다. 阿羅漢은 수행자들이 도달하여야 할 가장 높은 단계이며 동시에 여기에 도달한 부처의 제자들을 가리키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수행자는 반드시 출가하여 인적이 드문곳에 獨住하며 禪定을 닦아 깨달음을 얻고자 하였다. 이들은 수행의 결과로 阿羅漢이 되어 열반에 이르게 되고 그에따라 초월적인 힘을 가지게 된다. 신통력은 나한의 주된 특성으로서 불교가 중국에 처음 전래되었을 때 중국인에게 이해된 나한은 오래살고 신통을 부리는 신선과도 흡사한 존재였다. 대승불교는 소승의 聖者인 阿羅漢을 중생의 구제는 외면한 채 자신의 구원만을 추구하는 이기적인 자료 격하시키지만 『법주기』를 성립시켜 보살과 비슷한 성격을 부여함으로써 대승신앙의 수호집단으로 변화시켰다. 『법주기』는 十六羅漢의 임무뿐 아니라 십육인의 명칭·거주지를 완전하게 언급한 경전이다. 『법주기』에 의하면 십육나한은 부처로부터 열반에 들지 말고 미륵이 도래할 때까지 불법을 지키며 신통력으로써 중생을 구제하라는 명령을 받은 부처 生前의 제자들이다. 그러나 실제 이들의 명칭을 조사하면 부처 생전의 제자나 혹은 사후의 인물들로 십육나한의 성격에 맞추어 구성되는데 四大比丘의 遊化說에서 출발하여 十六大聲聞과 十六羅漢으로 발전되었다는 설이 일반적이다. 第一尊者인 賓頭盧跋釐墮사는 십육나한의 성격을 단적으로 상징한다. 『법주기』의 내용으로 볼때 彌勒信仰과 『法華經』을 배경으로 하고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나한이 실제적으로 부각된 것은 깨달음을 얻고 부처의 법을 전하는 존재로서 자력신앙을 강조하는 선종에서였다. 나한은 선정을 통해 부처의 깨달음을 전하는 자로써 선승들과 관련이 있었으나 점차 신앙대상화 되었다. 중국의 나한신앙은 9-10C 唐末五代 선종의 융성과 함께 일어났으며 이때 십육나한도와 십육나한상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畵史의 기록과 비교하여도 일치하는 것으로 특히 오대(901-960) 蜀지방 화가들의 활약이 주목된다. 중국나한도의 유형은 크게 唐末五代에 활동한 貫休(832-912)에서 비롯된 出世間形, 촉지방의 화가였던 張玄(890-930 사이 활동)으로 대표되는 世間形 그리고 宋代(960-1279) 文人畵家인 李公麟(1054-1101)에서 시작되는 白描, 3가지로 분류된다. 이 세 유형의 작품들은 한국 나한도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한국에서도 사료와 문헌을 통하여 고려시대부터 나한신앙이 성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왕실이 나한신앙을 옹호하였고 羅漢齋를 열어 나한의 신통력에 의존하여 護國과 祈雨등을 기원하였다. 조선시대의 기본 정책은 불교의 탄압이었으나 前期까지도 왕실, 사대부, 평민을 가리지 않고 나한신앙이 숭앙됨에 따라 나한도가 제작되었으며 조선후기에도 많은 나한도들이 계속 제작되었을 것이다. 현존하는 18세기 나한도로는 고려시대 五白羅漢圖가 9점, 조선전기 15세기五白羅漢圖 1점, 16세기 傳 李上佐筆 羅漢草書와 明宗代(1545- 1567) 文定王后 발원의 나한도중 1점이 있다. 이 작품들은 전통성을 보존하면서도 시대적 양식과 나한신앙의 내용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18-20세기 십육나한도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18-20세기는 일반적으로 불화의 쇠퇴기에 해당되어 佛畵史에서 소홀히 취급되어져왔으나 미술사의 여러분야에서 확인되듯 십육나한도도 전통을 유지하면서 시대배경과 불교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대상으로한 11 사찰의 나한도들은 다양한 양상을 전개시키며 구도나 기법 도상면에서 서로 공통점과 차이점이 구분된다. 18세기 이전 불화의 세련된 색채, 우아한 형체, 線的 특징은 사라지고 도식화된다. 도상에서도 불교고유의 영역이 무너지고 덕높은 高僧 나한이 아닌 道釋人物畵의 한 題材로서 신선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며 民畵의 도상과 표현형식에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이같은 특징은 불교 수용계층의 취향과도 연관되는 것이다. 따라서 18-20 나한도의 제 현상은 불화의 말기적 특징이 아닌 當代 불교신앙을 반영하는 것으로 새롭게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Arhat" has been widely used, in India, as a word implying a respectable sage who attained enlightment. In primitive Buddhism, a disciplicant always aspired for reaching enlightment by leaving home staying in a remote place and do mediation. This self-discipline led him to become an arhat, and then a nirvana, and thus got to possess the corresponding super natural power. It accompanies him as a power that the man who have become an arhat get to have. An arhat, who have attained enlightment by mediating, is again emerged as an important role in realizing the principles of Chan Buddhism that urges the self-religion on the other side, a lohan, who was comprehensible to the Chinese when Buddhism had been introduce into China, bore much resemblance to a Taoist hermit who lived long and had the superpower, being reflected to the central Asia priest who then worked on the propagation of Buddhism. Mahayana degraded an arhat who was a saint of hanaya to a selfish man only pursuing his own relief with that of mankind ignored but hanaya was absorbed into mahayana over through [Lotus sutra] and even [法住記] was published. In [法住記], the names of mahayanistic sixteen lohan, the places of residence and their duties were referred. They were ordered from Buddha to abide by a Buddhist cannon as his disciples when he was alive and relieve the mankind with the superpower until they would reach mitreya without reaching nirvana. There is, however, a feature that more than a half of [法住記] includes the belief in Merciful Buddha and [Lotus sutra]. Sixteen lohans, starting from four, developed into sixteen saints and sixteen lohans. They consisted of the figures who existed before or after Buddha was dead,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sixteen lohans and pindola, who was the first, directly represent that of sixteen lohans, the Chinese belief of Merciful Buddha arose with the late Tang and five dynasty Chan buddhism, and the paintings of lohan seemed to be manufactured during around 9-10C. We can see this fact through the record of text painting and specially the painters of five dynasty played an important role. The type of Chinese lohan was greatly classified into 出世間形 of the late Tang Kuan Xiu, 世間形 of Zhang Xian and 白描 of Sung dynasty literati painter Li Kung-lin respectively. These three works of art had much influence on Korean lohan. We can confirm through historical materials and documents that the belief in lohan has been prevailing from the era of Korean kingdom, during which the royal court supported the belief in lohan and held the ritual of lohan to pray for rain, to exterminate the enemy and so on. In Yi Dynasty Buddhism-oppressing was a fundamental policy but the belief in lohan was continued by all classes of people such as the royal, the noble, the common irregardless of their rank until1 through the early times of Yi Danasty and also the paintings of lohan were produced at the late of Dynasty. The 9 lohan painting of Korean Kingdom and the 3 of Yi Danasty have been existing up to now. These paintings of lohan are not. only reserving the traditionalities but reflecting the styles of that time. We can also find this tendency in paintings of lohan of 18-20C. This time generally corresponds to declining period and thus paintings of lohan were taken less care over in terms of the history of Buddhist history but they inevitably have been forming a part of it. As this fact can be confirmed in many fields of art history, the Buddhist paintings of this time are reflecting a phase of this time with their traditionalities kept. The paintings of lohan in 11 temples that I have examined is unfolding various phases and is classified through common and different points in terms of composition and techniques on drawing. The refinement and elegance of previous time Buddhist paintings was vanished, schematized and the regions of Buddhism were destructed, adulterated with Taoism and thus a lot of damages were done to the image of a noble-minded priest who had attained lohan 'enlightment'. But we should not disregard the phenomenon like this as its decline but accept it straightforwardly as what is reflecting Buddhism of that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