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 인식에 대한 연구

Title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 인식에 대한 연구
Authors
이보영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여성고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산업구조조정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됨에 따라 학계와 노동운동계에서는 이로인한 노동자들의 고용불안정 문제를 제기하여 왔다. 특히, 구조조정 과정에서 '사양산업화' 되고 있는 산업들이 여성중심 사업장들임을 감안할 때 노동시장내 여성노동자들의 고용문제는 실로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별노동자들은 학계나 노동운동 단체와는 다른 인식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여기에 주목하면서 노동자들이 고용불안정을 인식하고 있지 못하는데는 그들의 노동경험을 통해서만 알 수 있는 '그 무엇'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개별노동자들의 노동경험에서 비롯된 지식들이 그들로 하여금 고용불안정에 대한 인식을 막고 있음을 밝히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섬유산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문제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본 논문의 연구대상과 관련하여 대구지역 섬유산업의 특성을 파악한 후 노동과정을 통해서 개별노동자들의 고용불안정에 대한 인식태도를 살피면서 노동자들이 고용불안정을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참여관찰법을 택했다. 참여관찰은 1991년 10월 11일부터 19일까지, 1993년 8철 5일부터 9월 6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대구지역 섬유산업 특히 직물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이 고용불안정을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의 지역적 편중을 들 수 있다. 대구-섬유, 부산-신발, 이리-귀금속이라는 산업의 지역적 편중 현상은 개별노동자들로 하여금 고용기회가 풍부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한다. 둘째, 기업의 규모이다. 대구지역 섬유산업계는 대부분 소규모 사업장들이다. 이들 소규모 사업장은 대기업의 수가 줄어드는 것과는 달리 양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또한 미발달된 내부노동시장에서 노동자들은 이직을 통해서 승진을 도모하거나 자신이 직접 섬유업체률 경영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규모 기업의 성장과 승진을 위한 이직경험, 그리고 노동자들이 자신의 직업을 '일시적인 것'으로 여기는 것 때문에 개별노동자들은 고용불안정 문제를 인식하지 못한다. 셋째, 성역할 분리 이데올로기를 들 수 있다. 남성노동자들이 자신의 직업을 평생직장으로 여기지 않고 '일시적인 것"으로 여기는 것과 마찬가지로 여성노동자들 역시 자신의 노동시장 참여를 일시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그래서 지금 현재 여성노동자들은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지만 미혼여성노동자들은 결혼과 더불어 노동시장을 떠날 것으로 기대하며, 기혼여성 노동자들은 자녀의 교육비나 주택이 마련되면 그들의 가정으로 돌아 갈 계획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여성노동자들은 지금 현재 고용불안정문제가 전개 되더라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넷째, 노동시장 분리에 따른 노동력 대체의 불가능성이다. 기혼여성노동자 - 구직기, 미혼여성노동자 - 신직기로 나누어진 노동시장 분리는 노동자들에게 각각 다른 기술을 요구한다. 즉 구직기 기계사양에서는 풍부한 작업지식을 필요로 하는 반면 신직기 기계사양에서는 행동의 민첩성이 중요한 기술이다. 따라서 기/ 미혼 여성노동자들은 각각의 분야에서 자기 자신이 중요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여기기 때문에 자신이 고용이 불안정하다고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노동자들이 고용불안정을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는 인력난에 대한 이해 때문이다. 현재 섬유산업 노동시장에서는 '인력난'에 관한 담화가 지배적일 뿐만 아니라 개별노동자들은 이것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기에 고용불안정 문제보다는 오히려 인력난에 관한 정보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의 의의는 노동자들이 고용불안정을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를 그들의 미세한 경험에서 찾아냄으로써 학계·노동운동계와 개별노동자간의 인식의 폭을 좁히는데 일조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고용불안정 문제를 주요 사안으로 다루는 노동운동이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실천적인 함의를 담고 있다.;Recently, in accordance with vigorous discussion about industry reconstruction, instability of employment problem have been raised by academic circles and labor movement activities. As almost workplaces which are centralized by women are the objects of the reconstruction, so the problems of employment are dangerous in now for women workers. Nevertheless, individual woman worker has a different concepts from those of academic circles and labor movement activities. There are something different one which women workers de not perceive for their unstable status of employment, or may be I think, their labor experiences make them to think about unemployment. 'I am not a object of unemployment' or 'there are so much works to do'. I don't know the reason exactly anyway from now, I am going to make clear of those different way of thinking about instability of employment. This study is for the clearance of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circles and women workers whose way of thinking about concepts of women workers for Labor. For this study, I selected textile industry located in Dague for my field work, because almost workers for textile industries are composed of women and this kinds of industries are the standard class of labor intensive. I had field works twice from October 11 to 19, 1991 and August 5 to November 6, 1992. I'm going to unfold my study as following four steps: The first, viewing for the reconstruction of textile industry and how the problems are headed for. Seco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extile industry in Dague. Third, looking into the individual status of perceiving for their own instability of employment under the whole reconstruction of industry and finally I am going to relate the cause of not perceiving. And I reached at the following reasons which makes the gaps between the women workers and theorists in thinking about instability of employment. The summation of study as follows: The first, It is a regional unequality of industry. This regional unequality ( for example Dague-textile industry. Pusan-shoes industry, lli for accessories) makes women workers to think they have rich labor markets for them. Second, scale of industry is a another reason. Almost textile industries in Dague are small for their scale and business. These small industries grow up now on the contrary of large enterprise and workers for small industries have too much experience of unemployment and switching jobs. Furthermore, switching jobs is no defects for them in this kinds of labor intensive industries. This reason makes women insensible to think about their serious instability of employment. And having a skill of their work is a another one. They have rich experienced skill for operating of machine, so they never think they will be objects of unemployment. As to their experienced skill, they call shuttle-change for married women and jetroom for not married woman. Because the skills which married women had on the process of large enterprise in 70th are needed for the small scale industry of textile. On the contrary, not married, young workers have prompt behavior for the quick machine specification. The fourth is genderrole ideology. All of women workers think that their jobs are the temporary one and leaving their jobs are never big deal to them. They have a traditional thought for way of living, man makes money for home in outside and women has only domestic works. FinalIy they have been heard about shortage of labor power in industry. So they think that they can have works anywhere , in any time. For this reason they never think seriously for their unemployment. I think this study will be a help for reducing the gap existing between different groups. Until there are same thoughts for same objects, it's difficult to perceive the exact status of labor class, and which one is the exact solution for this status and futhermore there will never be a growth of labor movement for wom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