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3 Download: 0

유아 조기·특기 교육의 실태와 어머니 양육신념과의 관계

Title
유아 조기·특기 교육의 실태와 어머니 양육신념과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state of very early extra curricula education and mother’s belief regarding child rearing
Authors
김보림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4, 5세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 조기·특기 교육의 전반적인 실태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 신념이 조기·특기 교육 실태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잘못된 유아 조기·특기 교육으로부터 유아들을 보호하며, 부모의 과잉 교육열과 불안감등의 문제점 및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조기·특기 교육의 실태는 어떠하며 변인(어머니의 학력, 소득, 학창시절 사교육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어머니 양육신념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하며 변인(어머니의 학력, 소득, 학창시절 사교육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유아 조기·특기 교육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어머니의 양육 신념은 유아 조기·특기 교육의 가지 수와 관계가 있는가? 3-2. 어머니의 양육 신념은 유아 조기·특기 교육비용과 관계가 있는가? 3-3. 어머니의 양육 신념은 유아 조기·특기 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와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은 조기·특기 교육의 실태를 편파적으로 치우치지 않고 보편적으로 잘 반영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서울 강서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지역 중 비슷한 주거 환경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에 유아를 보내는 어머니 238명을 대상으로 조기·특기 교육의 실태와 어머니의 양육신념을 질문지 형태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어머니용 설문지로, 조기·특기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 도구는 박수진(2001)의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조기, 특기 교육에 관한 실태분석」연구에서 사용 되었던 질문지와 이기숙·장영희·정미라·홍용희(2002)의 「가정에서의 유아 조기, 특기 교육 현황 및 부모의 인식」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 하였다. 양육신념에 관한 연구 도구는 이원영(1983)의 ‘자녀 교육관’, 김지신(1996)의 ‘어머니의 전통-근대 가치관’ 그리고 Segal(1985)의 ‘Meternal Beliefs and Values Q-sort' 등의 문항에서 선택한 문항을 안지영(2001)이 수정 보완 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조기·특기 교육의 실태와 부모의 양육 신념에 관한 전반적인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조기·특기 교육의 실태와 어머니의 양육 신념에서 어머니의 배경 변인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one-way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조기·특기 교육의 실태와 어머니의 양육신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단순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만 4-5세 유아를 키우는 부모들 총 238명 중 222명이 자녀들에게 조기·특기 교육을 시키고 있거나 시켜본 경험이 있으며, 자녀에게 조기·특기 교육을 시키는 이유로 과반 수 이상의 어머니들이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해’라고 답하였다. 종류별로는 미술과 한글이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고, 한 유아 당 약 4가지의 조기·특기 교육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기·특기 교육비용은 평균 약 24만원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소득, 학력, 학창시절 사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유아 조기·특기 교육 실태의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소득이 많을수록, 조기·특기 교육비용과 가지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 변인에서는 전문대졸 이하 집단의 어머니가 대졸 이상의 어머니 집단에 비하여 자녀에게 시키는 조기·특기 교육 가지 수가 많았으며,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학창시절 경험이 있는 어머니의 집단이 학창시절 사교육 경험이 없는 어머니 집단에 비하여 비용, 가지 수,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신념의 경우, 자녀 발달 목표로서 인성/학습 성취 강조 신념을 조사한 결과 연구 대상 어머니들은 대체로 자녀들에 대해 학습보다 인성을 더욱 강조하는 신념의 경향을 나타냈다. 성숙/환경 주의 신념의 결과는 환경에 조금 더 치우침으로 어머니들이 자녀의 발달에 대해 부모나 외부의 영향력을 인정하는 환경주의 신념의 경향을 보였다. 인성/학습의 신념과 관련을 보이는 어머니의 일반적인 배경은 학력으로, 학력이 낮은 어머니 집단의 경우, 학력이 높은 어머니 집단에 비해 자녀 발달 목표를 좀 더 학습 성취에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기·특기 교육의 실태와 어머니의 양육 신념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인성/학습 성취 강조 신념 중 학습 신념에 가까운 신념을 가질수록 학습 및 지능에 관련된 조기·특기 교육을 시키는 가지 수와 비용은 많아졌으며, 전반적인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숙/환경의 신념은 조기·특기 교육의 실태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esent basic data in order to figure out problems concerned with parents’ excessive educational fever and their anxiety, etc. and to elicit solutions thereof, as well as to protect little children from wrong extra curricula education since their very early days having investigated general pattern of such extra curricula education, and analysed how mother’s belief regarding child rearing as behavioral background factors that provokes the extra curricula education for her child was related to the pattern of the very early extra curricula education. To test this, 238 mothers who had four or five-year old child attending private nursery school were sampled from Gangseo District in Seoul, and were asked to fill out a survey that included the questions concerning the actual state of the very early extra curricula education and mother’s belief regarding child rearing. To find out actual state of very early extra curricula education and overall situation of parents’ belief regarding child rearing,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omputed out,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variables relative to actual state of very early extra curricula education and mother’s belief regarding child rearing, analyses were performed by using t-test and one-way ANOVA, also to study relationships between actual state of very early extra curricula education and mother’s belief regarding child rearing, Pearson’s simple correlations analysis was conducted. Summary of the results from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otal 238 participants who were raising four or five-year old child, 222 mothers responded that they had their children be bred to very early extra curricula education or they had experiences to have had their children be bred to such education, and as reason for having their children be bred to very early extra curricula education, mothers answered that “It is to give children a help for their learning.” Results from analysis revealed that, as to the kinds of extra curricula education, art and Korean language were positioned with the highest rank on top, and that, 56 respondents out of total respondents reported having their children be bred to four kinds of very early extra curricula education, and it was the largest rate. And that the cost in average for the very early extra curricula education was about 240 Thousand Won.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tate of the very early extra curricula education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s of mothers (income, schooling, whether or not having had private education during their school days) showed that the more income they earned, the more expenditure for the very early extra curricula education and the more kinds of extra curricula education they had And, from the analysis of variables of mothers’ schooling indicated that mothers belonged to the group having graduated from the school lower than two-year college had their children be bred to the more kinds of extra curricula education than mothers who had graduated from four-year college or higher, and that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was low. Also results from analysis of expenditure, the number of kinds of extra curricula education, and degree of satisfaction displayed that the group of mothers having experiences of private education during their school days marked higher scores in all factors than those mothers who hadn’t. Second, the results from investigation of their beliefs in humanity/learning for which they highly emphasized successful achievements, as in the case of mothers’ belief regarding child rearing,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in general inclined to emphasize humanity more than learning to their children. And results from analysis of their beliefs in maturity/outside influences showed that mothers more inclined to environments so that they had a belief in that they admitted outside influences, especially from parents on developments of their children.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general backgrounds of mothers in connection with humanity/learning revealed that the factor that mostly mattered was schooling, and that the group of mothers having lower education set up a goal for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putting more emphasis on academic achievement, comparing to the group of mothers who had a higher education. Third, results from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actual state of very early extra curricular education and mother’s belief regarding child rearing revealed that when mother’s belief in child rearing amongst the beliefs in humanity/learning, for which they highly emphasized successful achievements, was closer to the belief in learning, the kinds of very early extra curricula education and expenditures therewith became larger, and degree of satisfaction was lower in general. However,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beliefs in maturity/environment and actual state of very early extra curricula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