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강도 항목 척도 사용시 context effect의 해결을 위한 thurstonian model의 적용

Title
강도 항목 척도 사용시 context effect의 해결을 위한 thurstonian model의 적용
Other Titles
Thurstonian approach to context effect in sensory category scaling
Authors
이혜성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Keywords
강도항목척도Context EffectThurstonian Model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urstonian model to sensory scores which had context effect. Twenty NaCl solutions over 5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presented to the judge under 3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positively skewed (positive set), normal-type (normal set) and negatively skewed (negative set) distributions. They were evaluated for saltiness intensity with 15-point category scale using rank-rating method. When the scores from middle concentration were compared, there were 17 judges who showed trio-context effect (the scores were in the order of positive set>normal set>egative set). The analysis of variance for middle concentration of NaCl solution indicated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3 sets. However d' values calculated using Thurstonian model for this concentr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ets, indicating d' value reveals perceptual difference without context effect. The analysis of the data from 24 judges who showed duo-context effect (the scores from middle concentration were only larger in positive set than in negative set) and of the data from all 30 judges had similar trends to that of trio-context effect data.;본 연구는 빈도 분포에 의한 context effect가 존재하는 항목 척도 점수들에 Thurstonian model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다섯가지 농도 (30, 60, 160, 300 및 600 mM)의 용액으로 구성된 총 20개의 소금 용액들을 빈도 분포를 달리하여 3가지 다른 context 하(1군=positively skewed distribution ; 2군=normal-type distribution ; 3군=negatively skewed distribution)에서 제시하고 순위-평점법(rank-rating)을 사용하여 15점 항목 척도상에서 평가하도록 하였다. 참여한 31명의 평가원 중 30명의 평가원들은 모든 조건에서 모든 농도들간의 차이를 쉽게 구별하였으며, 이들 30명을 분석에 포함시켰다. 세가지 조건간에 중간 농도(160mM)에 대한 평균점수들을 비교하여 점수의 크기가 모든 조건에서 1군>2군>3군의 순서를 보인 (trio-context effect) 평가원은 17명으로 나타났으며, 1군과 3군의 2가지 조건에서 1군>3군의 순서를 보인(duo-context effect) 평가원은 24명이었다. Trio-context effect를 나타낸 자료와 30명 모든 평가원의 자료에서 모든 조건간에 중간 농도(160mM)의 평가 점수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duo-context effect를 나타낸 자료에서는 1군과 3군의 2가지 조건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어 중간농도의 평가 점수가 context effect에 의해 변화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trio-context effect를 나타낸 자료, duo-context effect를 나타낸 자료 및 모든 평가원의 자료 각각에 대하여 개개의 점수들에 대해 Thurstonian models를 적용하여, d'를 계산한 결과, d'값은 각 조건에서 모든 농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조건간에는 차이가 없어서 빈도 분포에 의한 context effect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척도화 실험의 평가 점수들은 특성 강도의 본원적인 감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반해 Thurstonian model을 적용하여 d'값을 계산하는 방법은 실제적인 지각의 차이를 측정하는 근본적인 측정방법임을 보여주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