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8 Download: 0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 선호 유형의 관계

Title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 선호 유형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role identity and favorite clothing style of mother and daughter
Authors
박선희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성역할정체감의복선호유형의류직물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딸의 관계를 고려하여 성역할 정체감과 선호하는 의복 유형의 관계를 밝히고, 새로운 소비자군으로 떠오르고 있는 10대 초반 어린이들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딸의 성역할 정체감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기대하는 성향과 의복에서 선호하는 성향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선호하는 의복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어머니가 선호하는 아동복 유형 및 성역할 체감에 따라 딸이 선호하는 의복 유형 및 성역할 정체감에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각 의복 유형에 대한 성향 평가에 차이가 있는가, 측정도구로는 성역할 측정을 위해 Bem Sex Role Inventory를 사용하였고, 기대 성향과 선호성향, 선호 의복 유형 측정은 예비조사를 통해 본 연구자가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표집대상은 서울시내 6개교 5, 6학년 여학생과 그 어머니이며, 최종 601부를 통계분석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의 산출 및 Cronbach's α를 이용한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던컨의 다중 범위 검정 (Duncan's Multiple Range test), x^(2)_test 등을 이용하였다. 자료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딸의 성역할 정체감은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즉, 어머니의 성역할 정체감의 여성성이나 남성성이 발달하면 그에 따라 딸의 성역할 정체감도 발달되었다. 둘째, 어머니는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딸에게 기대하는 성향과 선호하는 의복 성향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남성성 요인보다 여성성 요인에서 선호 정도에 더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어머니의 성역할 정체감에서 여성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에 딸이 더 여성적이기를 기대하며, 아동복의 여성적 요인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 집단에서도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의복의 여성성 및 남성성 성향의 선호 정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역할 정체감에서 여성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에 의복의 여성적 요인에서 더 선호를 나타내었고, 남성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의복의 남성적 요인에서 더 선호를 나타내었다. 셋째, 여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여학생이 가장 선호하는 의복 유형, 어머니의 성역할 정체감과 어머니가 가장 선호하는 아동복 유형은 각각 의미 있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역할 정체감이 여성성일 때는 여성적인 차림이, 남성성일 때는 남성적인 차림이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성역할 정체감과 딸인 가장 선호하는 의복 유형 사이에는 의미 있는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가 가장 선호하는 아동복 유형과 딸이 가장 선호하는 의복 유형은 의미 있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가 가장 선호하는 아동복 유형이 여성적인 차림일 때는 딸이 가장 선호하는 의복 유형이 여성적인 차림이 강하게 나타나고, 어머니가 가장 선호하는 아동복 유형이 남성적인 차림일 때에도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또한, 어머니가 가장 선호하는 아동복 유형과 딸의 성역할 정체감도 의미 있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가 가장 선호하는 아동복 유형이 여성적 포멀일 때, 딸의 성역할 정체감은 여성성의 비중이 높았고, 남성적 캐주얼일 때는 남성성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4가지 아동복 유형에 대한 평가에서 어머니 집단과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 집단은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부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role identity and favorite clothing style.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established for this study. 1.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ughter's sex-role identity according to the mother's sex-role identity. 2.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inclination that mother expects her daughter to have and the favorite clothing style has, according to sex-role identity. 3.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vorite clothing style according to sex-role identity. 4.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ughter's favorite clothing style and sex-role identity according to the mother's favorite clothing style. 5.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udgment of inclination on each clothing style according to sex-role identity. Sex-role identity is measured by Bem sex role inventory(1974)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is study. For the measurement of inclination that mother expects her daughter to have and the favorite clothing style has, and for the survey of favorite clothing style, researcher developed a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601 couples, elementary schoolgirls who are 5th and 6th grade and her mothers, in Seoul.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distribution, valid percent, mean, median, std. Deviation,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α, factor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crosstabs, x_(2)-test and so on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ughter's sex-role identity according to the mother's sex-role Identity. That is, when femininity or masculinity of mother's sex-role identity is developed, daughter's inclination of sex-role identity which correspond to mother's is also developed.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lination that mother expects her daughter to have and the favorite clothing style has, according to mother's sex-role identity, Particularly on a factor of feminine, the difference is significant. That is, when feminine inclination of mother's sex-role identity is high, mother expects her daughter to have feminine inclination and prefers feminine factor in clothing than others. And the difference in inclination that the favorite clothing style has, is also significant according to schoolgirl's sex-role identity. 3.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vorite clothing style according to sex-role identity, both the mother and the schoolgirl. That is to say, if the sex-role identity is feminine type, female style has occurred frequently. Reversely, if the sex-role identity is masculine type, male style has occurred frequently. But the difference in the daughter's favorite clothing style i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mother's sex-role identity. 4.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ughter's favorite clothing style according to the mother's favorite clothing style. When mother's favorite clothing style is female style, the rate of female style of daughter's favorite clothing style is high. And, in the case of male style, similar tendency is appeared.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ughter's sex-role identity according to the mother's favorite clothing style. When mother's favorite clothing style is female formal style, the rate of feminine type of daughter's sex-role identity is high. And when that is male casual style, the rate of masculine type of daughter's sex-role identity is also high. 5.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udgment of inclination on each clothing style according to sex-role identity partia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