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애착장애아와 언어장애아의 특성 비교

Title
애착장애아와 언어장애아의 특성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ttachment Disorder an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 Attachment and Communaicative intent
Authors
신정현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애착장애아언어장애아애착의사소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Reactive Attachment Disorder(RAD)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DLD).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i) to examine the pattern of attachment of RAD and DLD, and ii)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ve int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0 27-51 month-old children(10 RAd Children, 10 DLD children) functioning at similar stage of language development. The patterns of the attachment were classified with the strange situation procedures. The communicative intent was investigated in three aspects : vertical and horizontal dimension, spontaneous eye contact in free play with mother.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intent progresses along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dimension. And eye contact is the important cue of the intentional communication. Vertical dimension that reflects the sophiscated of means to express each intention was measured by the assessment scales devised by Wetherby and Prutting(1984). Horizontal dimension that reflects a range of intention was measured by the assessment guidelines of Wetherby and Prizant(l989). Rating of spontaneous eye contact was based on the method proposed by Jones(1980), and all the data were rated by two rators independant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 : 1. Attachment patterns of RAD were different from DLD. Among the RAD group, 10% were classified as anxious-avoidant (A group), 40% as anxious-resistant (C group), and 50% as disorganized-controlled (D group). By the contradiction, among DLD group, 60% were classified as secure attachment, 10% were classified as anxious-avoidant (A group), 10% as anxious-resistant (C group), and 20% as disorganized-controlled (D group). 2. In communicative intent, vertical development level of DLD children was more sophiscated than that of RAD children. 3. DLD children expressed more horizontal communicative intent than RAD children. The percentage of the three major categories (behavioral regulation, social interaction, and joint attention) of communicative intent in DLD children was lined up social interaction > joint attention > behavioral regulation. On the contrary, RAD children displayed in order of behavioral regulation > social interaction > joint attention. In addition, DLD children showed diversely as compared with RAD children. 4. DLD children showed more eye contact than RAD children.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RAD and DLD children in three major types of eye contact(personal eye contact, game eye contact, and referential eye contact). RAD children displayed in order of personal eye contact > game eye contact, and DLD children displayed in order of game eye contact > referential eye contact > personal eye contact. 5. For social maturity, children with DLD were more mature than children with RAD. Additionally CARS score of RAD was higher than that of DLD children, especially the score for CARS in RAD was close to the criteria for assessing autism.;본 연구는 스펙트럼(spectrum)상에 놓여 있는 아동기 장애 중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애착장애와 언어장애를 대상으로 애착과 의사소통 의도를 비교하였다. 우선, 애착장애의 주된 특징인 애착 문제가 그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언어장애와의 비교에서도 감별적으로 애착 문제를 드러내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회성 문제를 지닌 두 장애가 사회성의 근본이 되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하려는 의도를 얼마나 보이는지 비교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27-51개월의 애착장애 아동 10명과 언어장애 아동 10명으로 구성되었다. 의사소통 의도가 언어 연령과 관련이 있으므로, 생활 연령과 함께 언어 발달 이전 단계, 한 단어 단계, 다 단어 단계로 언어 연령도 통제하여 비교하였다. 두 집단의 애착 비교를 위하여 낯선 상황 절차(Ainsworth, Blehar, Waters & Wall, 1978)를 사용하여 애착 유형의 분포를 알아 보았다. 의사소통 의도에 대한 비교는 수직적인 의사소통 의도, 수평적인 의사소통 의도, 자발적인 눈맞춤의 세 부분으로 나눠서 실시하였다. 의사소통적 의도의 부재에서부터 의도 표현 방법이 세련되어지고 정교화되어지는 순차적 발달 과정인 수직적인 차원에서의 의사소통 의도 발달은 Wetherby와 Prutting(1984), 다양한 기능의 의도를 의미하는 수평적인 차원에서의 의사소통 의도는 Wetherby와 Prizant(1989), 자발적인 눈맞춤은 Jones(1980)가 사용한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애착장애 아동들은 안정애착 유형에 0%, 불안-회피 유형에 10%, 불안-갈등 유형에 40%, 불안/비조직-통제 유형에 50%로 분류된 반면, 언어장애 아동들은 안정애착에 60%, 불안-회피 유형에 10%, 불안-갈등 유형에 10%, 불안/비조직-통제 유형에 20%로 분류되어 애착장애 집단보다 안정애착을 유의하게 많이 보임으로써 집단간에 차이를 보였다. 2. 수직적 차원에서의 의사소통 의도는 언어장애 아동이 애착장애 아동보다 더 높은 단계를 나타내서, 언어장애 아동의 의도 표현 방법이 애착장애 아동보다 세련되고 정교화 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3. 수평적인 차원에서의 의사소통 의도는 언어장애 아동이 애착장애 아동보다 많이 나타냄으로써, 언어장애 아동이 애착장애 아동보다 의사소통하려는 의도를 더 많이 가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들이 나타낸 의사소통 의도를 행동 통제, 사회적 상호작용, 공유적 주의를 위한 3가지 범주로 나눠서 비교하면, 언어장애 아동은 사회적 상호작용> 공유적 주의> 행동 통제의 순으로, 애착장애 아동은 행동 통제> 사회적 상호작용> 공유적 주의의 순으로 의사소통하려는 의도를 나타냄으로써, 주로 사용하는 의도의 범주간에도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용한 의사소통 의도의 다양성 비교에서도 총 12가지의 의사소통 의도에서 언어장애 아동이 애착장애 아동보다 더 다양한 의사소통 의도를 나타했다. 4. 자발적인 눈맞춤은 언어장애아가 애착장애아보다 더 많이 나타냈으며, 눈맞춤의 유형도 언어장애는 게임시 눈맞춤> 참조적 눈맞춤> 개인적 눈맞춤의 순으로, 애착장애는 개인적 눈맞춤> 게임시 눈맞춤의 순으로 나타냈으며, 참조적 눈맞춤은 보이지 않아서 눈맞춤 유형간에도 다소 차이를 보였다. 5. 사회성숙 정도는 언어장애 아동이 애착장애 아동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소아기 자폐증 평정 결과는 애착장애가 언어장애보다 높게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