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신-
dc.creator김영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1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0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2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042-
dc.description.abstractEmphasis auxiliary verb,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used for emphasizing both the action of subject in a sentence and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to the sen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list of emphasis auxiliary verbs and then to verify their characteristics. In chapter Ⅰ, I argued preceding studies on this subject. In chapter Ⅱ, I looked around the characteristic of emphasis auxiliary verb as well as νοπθmorphological, syntactic, semantic,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auxiliary verb. Also, I mentioned briefly the characteristic of emphasis auxiliary verb in view of emphasis mood. In chapter Ⅲ, I looked in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usage of emphasis by specifying each of emphasis auxiliary verb. The list of emphasis auxiliary verb follows ; ssat'a/daeda, ppajda/to˘jida, bo˘rida/ch'iuda, jo˘ch'ida/jekkida/jech'ida, mo˘kta. In chapter Ⅲ, I searched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 of main verb that is joined auxiliary verb, syntagmatic relation with adverb, changeable trends of word meanings, usage of emphasis, and pragmatic meanings except emphasis. Auxiliary verb ssat'a/daeda emphasize, firstly, the repeated action of subject, secondly, the consistent action of subject, thirdly, exaggerated action of subject, and fourthly, the negative attitude of the speaker to what he said. Auxiliary verb ppajda/to˘jida emphasize the negative attitude of speaker's view deepening the meaning of main verb. Auxiliary verb boˇrida/ch'iuda are used to emphasize and confirm that action or behaviour which is described in the sentence are completely terminated. Auxiliary verb jo˘ch'ida/jekkida/jech'ida are used to emphasize that the action of subject in a sentence is exaggerated. Auxiliary verb moˇkta emphasize the negative attitude of subject to contents of his saying rather than the meaning of main verb. In chapter Ⅳ, I compared syntactic, semantic characteristics of emphasis auxiliary verbs in common with each distinguished thing. I also looked into both the meaning of auxiliary conjunctive ending -a/o˘ which joined to main verb and emphasis auxiliary verb and the pragmatic contexts in which emphasis auxiliary verb are used. In chapter Ⅴ, I conclude the discussion from chapter Ⅰ to chapter Ⅳ.;본고의 연구 대상이 되는 '강조 보조용언'은 보조용언들 중에서도 주어의 행동을 강조하는 동시에 화자의 문장 전체에 대한 심리적 강조를 표현하는 보조용언이다. 본고의 연구 목적은 강조 보조용언의 목록을 작성하여 그것들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Ⅰ장에서는 보조용언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 보았다. Ⅱ장에서는 보조용언의 형태, 통사, 의미, 화용적 특성과 더불어 강조 보조용언의 특성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강조법의 측면에서 본 강조 보조용언의 성격에 대해서도 간략히 언급하였다. Ⅲ장에서는 각각의 강조 보조용언들을 하나씩 그 개별적 특성과 강조의 양상을 살펴 보았다. 강조 보조용언의 목록은 '쌓다/대다', '빠지다/터지다', '버리다/치우다', '젖히다/제끼다/제치다', '먹다'이다. Ⅲ장에서는 각 보조용언들과 결합되는 본용언의 문법적 특성, 부사어와의 결합 관계, 어휘적 의미의 변이 양상, 강조의 양상, 강조 이외의 화용적 의미 등을 연구하였다. 보조용언 '쌓다/대다'는 첫째, 주어의 동작이 반복되고 있음, 둘째, 주어의 동작이 지속적이라는 것, 셋째, 주어의 동작의 정도가 큼, 넷째, 발화 내용에 대한 화자의 부정적 입장을 강조한다. 보조용언 '빠지다/터지다'는 본용언의 의미를 더욱 심화시키면서 화자의 사태를 보는 부정적 태도를 강조한다. 보조용언 '버리다/치우다'는 동작이나 행위가 완전히 끝났음, 즉 완료되었음을 확인 강조하는 의미로 쓰인다. 보조용언 '젖히다/제끼다/제치다'는 주어의 동작이 크고 거침없음을 강조하는 의미로 쓰인다. 보조용언 '먹다'는 본용언의 의미 강조보다는 발화내용에 대한 주어의 비판적인 태도를 강조한다. Ⅳ장에서는 강조 보조용언들이 공유하는 통사, 의미적 특성과 각각의 개별적인 차이점을 비교해 보고, 본용언과 강조 보조용언을 연결하는 보조적 연결어미 '-아/어'의 의미와 강조 보조용언이 사용되는 화용적 상황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Ⅴ장에서는 Ⅳ장까지 이루어진 논의들을 정리하면서 결론을 맺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論文槪要 = ⅲ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 1 B. 선행 연구 검토 = 4 C.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 9 Ⅱ. 보조용언의 특성과 강조 보조용언 = 12 A. 보조용언의 특성 = 12 1. 보조용언의 형태론적 특성 = 12 2. 보조용언의 통사론적 특성 = 18 3. 보조용언의 의미, 화용론적 특성 = 24 B. 강조 보조용언의 특성 = 25 C. 강조 보조용언과 강조법 = 28 Ⅲ. 강조 보조용언의 통사적 제약과 강조 양상 = 32 A. 쌓다/대다 = 32 1. '쌓다/대다'와 본용언의 결합 제약 = 32 2. '쌓다/대다'와 부사어의 결합 제약 = 35 3. '쌓다/대다'의 강조 양상 = 36 4. '쌓다/대다'의 의미 변이 = 40 B. '빠지다/터지다' = 42 1. '빠지다/터지다'와 본용언의 결합 제약 = 42 2. '빠지다/터지다'와 부사어의 결합 제약 = 45 3. 보조용언 '빠지다/터지다'의 강조 양상 = 46 4. '빠지다/터지다'의 의미 변이 = 49 C. 버리다/치우다 = 51 1. '버리다/치우다'와 본용언의 결합 제약 = 51 2. '버리다/치우다'와 부사어의 결합 제약 = 54 3. '버리다/치우다'의 강조 양상 = 56 4. '버리다/치우다'의 의미 변이 = 60 D. 젖히다/제끼다/제치다 = 61 1. '젖히다/제끼다/제치다'와 본용언의 결합 제약 = 61 2. '젖히다/제끼다/제치다'와 부사어의 결합 제약 = 63 3. '젖히다/제끼다/제치다'의 강조 양상 = 63 4. '젖히다/제끼다/제치다'의 의미 변이 = 64 E. 먹다 = 66 1. '먹다'와 본용언의 결합 제약 = 66 2. '먹다'와 부사어의 결합 제약 = 66 3. '먹다'의 강조 양상 = 67 4. '먹다'의 의미 변이 = 69 Ⅳ. 강조 보조용언들의 상호관계 = 71 A. 강조 보조용언들의 결합 제약 = 71 B. 강조 보조용언들의 강조 양상 = 75 C. 보조적 연결어미 '-아/어'와 강조 보조용언의 관계 = 76 D. 강조 보조용언의 의미·화용적 특성 = 77 1. 일반용언의 의미와 강조 의미 = 77 2. 동일한 용언을 다르게 강조하기 = 80 3. 강조 보조용언이 쓰이는 화용적 상황 = 81 Ⅴ. 결론 = 84 참고문헌 = 86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838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강조-
dc.subject보조용언-
dc.subject연구-
dc.title강조 보조용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MPHASIS AUXILIARY VERB"-
dc.format.pageiv, 9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