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정선희 | - |
dc.creator | 정선희 | - |
dc.date.accessioned | 2016-08-25T04:08:40Z | - |
dc.date.available | 2016-08-25T04:08:40Z | - |
dc.date.issued | 1997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025465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210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465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고, 현재 유치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다문화 교육 환경 구성과 활동의 실시 현황을 교사의 경력, 학력, 다문화 교육에 관한 학습 여부에 따라 나누어 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앞으로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의 나아갈 방향과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다문화 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는 어떠한가? 1-1. 다문화 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는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다문화 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는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다문화 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는 다문화 교육에 관한 학습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다문화 교육을 위한 환경 구성과 활동의 실시 정도는 어떠한가? 2-1. 다문화 교육을 위한 환경 구성과 활동을 실시하는데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1. 다문화 교육을 위한 환경 구성과 활동을 실시하는데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3. 다문화 교육을 위한 환경 구성과 활동을 실시하는데 다문화 교육에 관한 학습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에 위치한 66곳의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337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본 연구자가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하여 직접 제작하였다. 질문지의 타당도는 유아교육과 전문가 2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자료의 처리는 1-5번 문항은 반응 빈도(f)나 백분율(%)을 산출하고 경력, 학력, 다문화 교육에 관한 학습여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2)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6-13번 문항은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구하고 교사의 경력, 학력, 다문화 교육에 관한 학습 여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F-test를 사용하였고 사후분석을 위해 Sheffe의 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64.1%의 교사들이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이해정도를 묻는 질문에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고, 96.7%의 교사들이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 이유로는 '국제 시대에 필요한 융통성과 개방성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를 들었다. 공동체속에서 서로 도와야 한다는 목표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사들 대부분이 자신은 다문화 교육에 관해 바람직한 생각과 태도를 지녔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는 경력, 학력, 다문화 교육에 관한 학습여부에 따른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두드러지지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2. 61.1%의 교사들은 다문화 교육을 하나의 단원에서 집중적으로 다룬다고 응답하였고,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실 환경의 준비는 충분치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 교육 활동의 실시정도를 살펴본 결과, 문화의 다양성과 공통성의 이해를 돕는 활동 즉, 다양한 문화와 인종등의 차이를 이해하도록 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해 보도록 하는 활동들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교실 환경의 준비나 교육 활동의 실시정도는 교사의 학력, 경력, 다문화 교육에 관한 학습여부에 따라 매우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다문화 교육을 전개할 때 사용하는 대부분의 참고자료가 별로 유용하지 않다고 응답했으며, 다문화 교육의 가장 중요한 문제점을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다문화 교육자료의 부족'으로 들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에 의하면 교사들은 다문화 교육에 대해 바람직한 생각과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실제 교실환경의 준비나 교육활동을 잘 실시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교사들이 실제 다문화 교육을 전개할 수 있는 교육자료가 거의 없고, 다문화 교육에 대해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없는 상황에서 실제 교육활동이나 환경구성을 충분히 이끌 수 있는 지식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사들은 다문화 교육에 대해 막연하게 필요하다고 느낄 뿐 실제로는 그 중요성을 절감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Multicultral Education is to teach children to respect others' Cultures and Values as well a s their own, and to help all children learn to function sucessfully in a multicultural society. But Multicultral Education has not beem a major educational issue until very recently. In addition most kindergarten teachers were not familiar with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eacher's perception and the current condition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of young children in Korea, Seoul.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determinded. 1. What's the teacher's perception and attitude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2. What's the current conditon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study, 337 teachers in 66 kindergarten in Seoul were randomly selected. And base upon the previous studies, the tool was made by myself and used.(Survey questionaire) The questionare consist of 17 questions in total: 3 questions for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 carrier, 4 questions for the perception of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1 questions (4 Sub-questions) for the attitude of teacher abou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1 questions (6 Sub-questions) ofr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1 questions (7 Sub-questions) for multicultural Classroom Environment, 3 questions (30 Sub-questions) for multicultural contents and activities, 1 questions (8 Sub-questions) for available refferences of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1 questions for the problem in multiculture education. The aedquacy of the questionaire was verified by 3 professo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Ewha Womans University. The analysis were frequently, percentage, x^(2) and F-test, t-test, and in the meaningful difference, Sheffe's post-test was execut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re than 95% of teachers answer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was necessary and almost of teachers replied that thier understanding level was 'fair '. The,; also answer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cessary for training the flexible and open-mined person for globarization. In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ll purpose were recognized importantly, and the idea that they should help each other in public society was recognized a s most important purpose. Almost of teachers thought that they had ideal thinking and attitude, especially, teachers tried to reduce children's prejudice and fixed idea.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ut teacher's perception and attitud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 was little meanigful difference between each item. 2. 61.1% of teachers answered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as managed concentrically in one unit and prepararion of classroom environmen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as not sufficient. And the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item about preparation of classroom environment. In the activit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most activity was not enough for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item about activit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answered almost of referen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not available. Most important problem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lack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다문화 교육의 정의 및 목적 = 5 B. 다문화 교육의 내용 및 활동 = 13 C.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실환경 = 17 D. 교사의 태도와 역할 = 22 E. 인간의 다양성에 대한 유아의 인식 발달 = 26 F. 우리나라에서의 다문화 교육 = 29 Ⅲ. 연구방법 = 33 A. 연구대상 = 33 B. 연구 도구 = 34 C. 연구절차 = 36 D. 자료분석 = 36 Ⅳ. 연구결과 = 38 A. 다문화 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 = 38 B. 다문화 교육 현황 = 45 Ⅴ. 논의 및 결론 = 54 A. 논의 = 54 B. 결론 및 제언 = 58 참고문헌 = 60 부록 = 65 ABSTRACT = 74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2643452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 | 다문화 교육 | - |
dc.subject | 유아교사 | - |
dc.subject | 인식 | - |
dc.subject | 실태 | - |
dc.subject | Multicultral Education | - |
dc.title |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Teacher's Perception and the Current Conditions About the Multicultral Education | - |
dc.format.page | viii, 76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 |
dc.date.awarded | 1997. 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