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3 Download: 0

목표지향과 지각된 능력이 동기과정에 미치는 영향

Title
목표지향과 지각된 능력이 동기과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f goal orientation and percieved ability on motivational processes
Authors
유희정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목표지향지각능력동기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tudents' goal orientations on motivational processes and to investigate whether goal orientations deviate negative effects of low percieved ability on motivational processes. Two types of goal orientation , i.e, learning goal and performance goal and three motivational variables, learning strategies, task challenge, and intrinsic satisfac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218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tudents filled out a set of questionnaires consisted of goal orientation, learning strategy, task challenge, intrinsic satisfaction, and percieved ability scales. Data from 212 (86 rides and 126 femal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Goal orientation, learning strategy, and intrinsic satisfaction scales were composed of two subscales: learning and performance goal, active and superficial engagement strategies, and satisfaction and bordom,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oriented to performance more than learning goal used superficial more than active engagement learning strategies and felt bored more than satisfactory about class.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high percieved abil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cheivement oriented motivational pattern, such as active engagement strategy, preferene for challenging task, and intrinsic satisfaction. Group comparisons based on median split on learning an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sources showed that learning goal orientation was a major determinant of differences in all motivational variables, such as learning and performance goal, active and superficial engagement strategies, task challenge, and satisfaction and bordom. In addition to learning goal orientation performance goal orintation was another determinant of differences amomg groups in superficial engagemnt strategies, task challenge and bordo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ieved abilities among the groups.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oal orientation was a major predictor of mtivational variables. It was still a significant predictor in a 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 where perceived ability entered first in the model. These results arc in accordance with previous studies and are supportive of the hypothesis which states that the students' goal orientation affect the motivational processes of learning strategies, task challenge, and intrinsic satisfaction. Also, the results suggest that goal orientation may help low percievd ability students overcome motivational problems. Limitation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본 연구는 목표지향, 즉 학습목표지향과 수행목표지향이 학습전략, 과제도전, 내적 만족 등의 동기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 목표지향이 이들 동기 변인들에 대한 지각된 능력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학습목표지향과 수행목표지향의 주된 차이점은 학습이 '그 자체'로 목표로 여겨지고 가치매겨지는지, 아니면 사회적인 승인을 얻거나 우월성을 보이고 다른 사람들의 부정적인 평가를 피하는 등의 과제 외적인 목표를 위한 '수단'으로 여겨지는지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표지향, 학습전략, 과제도전, 내적만족, 지각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남녀 중학생들에게 Ames와 Archer(1988)의 목표지향 척도, 새로 개발된 학습전략 척도, Harter(1981)의 교실에서의 내적 대 외적 동기 척도(Scale of Intrinsic Versus Extrinsic Motivation in the Classroom) 중 도전에 대한 선호 하위척도(Preference for Challenge subscale), Duda와 Nicholls(1992)의 학교에서의 내적 만족(intrinsic satisfaction)척도, Harter(1982)의 지각된 능력 척도(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중 인지적 능력 하위척도(Cognitive Competence subscale)를 완성하게 하였다. 이 중 목표지향 척도는 학습목표지향 척도와 수행목표지향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습전략 척도는 적극적 참여 척도와 피상적 참여 척도로, 내적 만족 척도는 즐거움/만족척도와 지루함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결과분석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새로 번안된 척도들에 대한 타당화 작업을 하고 이를 통해 척도들을 정비하였으며 정비된 척도들의 결과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목표지향과 동기과정에서 학생들이 보이는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념상 서로 대조적인 하위척도들로 구성되어 있는 목표지향, 학습전략, 내적 만족 척도에 대해 하위척도들간의 평균치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차이 검증 결과, 목표지향의 경우 수행 목표지향이 학습목표지향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전략의 경우에는 적극적 참여전략 보다 피상적 참여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만족에 있어서도 학업에 대해 즐거움 보다는 지루함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목표지향과 동기과정 및 지각된 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목표지향, 학습전략,과제도전, 내적 만족, 지각된 능력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목표지향과 지각된 능력이 학습전략, 과제도전, 학업 만족등에 있어서 성취지향적 행동들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목표를 지향할수록 그리고 지각된 능력이 높을수록 적극적 참여 전략을 사용하며 과제 도전적이고 학업에 대해 즐거움을 느끼며 덜 지루해 하였다. 그러나 수행목표지향은 학습목표지향에 비해 다소 모호하게 동기과정과 연결되어 있었다. 즉 수행목표지향은 학습전략 및 내적 만족에서 개념상 대조적인 두 하위척도 모두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3. 목표지향의 유형에 따른 동기과정 및 지각된 능력에서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학습목표지향과 수행목표지향의 중앙치에 근거해 피험자자들을 학습목표지향 높음-수행목표지향 높음, 학습목표지향 높음-수행목표지향 낮음, 학숨목표지향 낮음-수행목표지향 높음, 학습목표지향 낮음-수행목표지향 낮음의 4개 집단으로 나누고 동기과정 및 지각된 능력에 대한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변량분석 결과, 목표지향의 유형에 따라 동기 과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목표지향은 적극적 참여와 피상적 참여, 과제도전, 즐거움/만족과 지루함 등의 모든 동기 변인들에서 차이를 결정하는 주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상적 참여, 과제도전, 지루함에서는 학습목표지향의 높고 낮음에 더해 수행목표지향의 높고 낮음이 차이를 설명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각된 능력에 있어서는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4. 목표지향이 동기과정을 예측하는 정도를 알아보고 학습목표지향이 지각된 능력이 동기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목표지향과 지각된 능력을 예측변인으로 하는 회귀 분석 결과, 학습목표지향은 적극적 참여와 내적 만족에 대한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이었으며 과제도전에 있어서도 지각된 능력의 영향을 통제하고도 여전히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반면 수행목표지향은 피상적 참여의 강력한 예측변인인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들은 기존의 연구결과들과 일치하며 목표지향이 학습전략, 과제도전, 학업에 대한 내적 만족 등의 동기과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한다. 또한 목표지향은 지각된 능력에 먼저 고려된 회귀분석에서 예상 대로 동기 과정에 대한 강력한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목표지향이 지각된 능력이 낮은 학생들이 겪는 학습동기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즉, 목표지향 중 특히 학습목표지향이 동기과정에 대해 갖는 긍정적 영향력은 낮은 지각된 능력이 동기 과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