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한국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음성게시판과 문자게시판의 활용비교

Title
한국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음성게시판과 문자게시판의 활용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Using Online Text Bulletin Board and Online Voice Board by Korean English Learners: Focused on the planned monologue practice
Authors
이민영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Keywords
영어학습자음성게시판과문자게시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제 2언어가 아닌 외국어로서 영어를 학습하게 되는 우리나라 상황에서 구두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다. 최근 컴퓨터를 매개로 하는 다양한 의사소통 도구의 활용으로 영어교육에서도 학습자들에게 수업 시간 이외에 실제 의사소통 상황과 유사한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회를 제공한다 하더라도 언어적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들의 경우 처음부터 즉흥적인 구두언어를 활용한 의사소통을 진행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학습과정에서 계획된 발화 연습을 통한 구두언어 능력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사소통 도구들은 음성을 기반으로 하는 도구들보다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도구들이 대부분이므로 효과적으로 구두언어를 향상시키기 힘들다. 최근 음성채팅 또는 화상채팅이 구두언어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도구를 활용하기에는 요구되는 기술적 지식이나 기자재가 많아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구두언어 능력 향상을 위해 면대면 발화연습을 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문자게시판과 음성게시판을 사용하여 계획된 발화를 연습하도록 하고, 이러한 연습이 영어 구두언어 능력과 영어학습 및 게시판 사용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데 있다. 또한 음성·문자게시판 상에서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언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들이 서로에게 제공한 피드백에는 어떠한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지를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3주간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 29명을 2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문자게시판과 음성게시판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학습자들에게 사전·사후 구두언어 능력 평가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게시판 사용이 구두언어 능력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문자·음성게시판 상의 게시물을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언어적인 측면과 피드백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자게시판과 음성게시판을 활용한 계획된 구두발화 연습은 학습자들의 구두언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자게시판을 사용한 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한 '유창성'과 '전반적인 능숙도' 항목에서 음성게시판 사용자들이 유의한 향상을 나타낸 점은 학습자들에게 직접 발화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유창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둘째, 집단 내 정의적 측면 설문조사 결과의 비교에서 문자게시판 사용 집단의 경우 협동학습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바뀌었으며, 음성게시판 사용 집단의 경우에는 학습전략을 더욱 많이 사용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집단 간 설문조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개방형 설문조사와 피드백을 분석한 결과 구두언어를 사용한 음성게시판 사용자들은 문자게시판 사용 집단과 비교하여 부담감을 많이 느꼈으며 문자게시판 역시 비동시적 의사소통 도구의 하나로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전략 사용을 활성화시켜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들은 음성게시판을 사용할 때 글로 적어 준비된 발화를 했기 때문에 문자게시판과 음성게시판 상에서 사용한 언어의 복합도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음성게시판 사용자가 문자게시판 사용자보다 다소 덜 복잡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음성언어와 문자언어의 중간 형태를 띄고 있는 음성게시판 학습자들의 발화는 구두언어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되었다. 학습자들이 게시판 상에서 서로에게 제시한 피드백은 문자게시판에서 주로 언어의 형식적인 측면에 중점을 둔 피드백과 문장 단위의 구체적인 내용이 많이 나타난 데 비해 음성게시판에서는 전반적인 내용과 발음적 요소에 중점을 두고 있는 의미적 측면의 피드백이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두언어 능력 평가에서 음성게시판을 사용한 집단이 유창성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고 있었다는 점과 연관시켜 볼 때 형태중심 피드백은 정확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의미중심 피드백은 유창성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문자게시판 사용자와 비교하여 음성게시판 사용자의 피드백 제시 참여가 매우 낮았던 것은 음성게시판을 사용하는 것이 문자게시판을 사용하는 것보다 다소 부담이 되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가 영어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언어적 능력이 낮은 학습자들에게 정확성에 초점을 둔 발화연습을 할 때 문자게시판을, 유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습에는 음성게시판을 활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교사는 게시판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학습자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수업의 목적에 맞추어 적극적으로 학습자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피드백 제공에 대한 적절한 지도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 결과 음성게시판의 재녹음 기능이 학습자들의 전략적 활용을 더욱 활성화시켜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문자게시판에서도 학습자들이 학습전략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정확한 표현을 하는지, 문법적인 오류는 범하지 않았는지 등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한다면 충분히 학습전략의 활용을 활성화시켜 언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셋째, 게시판의 사용은 궁극적으로는 구두언어 능력에도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 볼 때 여전히 즉흥적인 의사소통의 측면에서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교사는 오히려 이러한 비 동시적인 의사소통 도구의 특성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수준과 교육의 목적에 맞게 이를 활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성게시판을 면대면 구두언어 학습 방법에 대한 절대적 대안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구두언어 학습을 위한 보조수단으로 학습자들이 발화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을 때까지 자가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컴퓨터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 도구는 면대면 수업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활용되어질 때 교육적인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As the world has been globalized, proficient speaking skills are needed much more than before. However,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study English in a EFL setting do not have enough chances to use spoken language in a communicative environment. Many CMC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ools have been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idea of providing Korean students with extended chances to use the target language. However, most of these tools are utilized only for written communication. Many researchers have claimed that these tools helped students improve their speaking skills but they fail to account for how speaking skills can be improved. Though some spoken communication tools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they can't be widely used yet because they need a lot of hardware and cause many technical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tudents using online text bulletin boards and online voice boards and to prove which is more useful to improve students' speaking skill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sing online boards in teaching speaking,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e experiment on 29 university students for 13 week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used online text bulletin board and online voice board respectively. Both two groups were supposed to use the boards out of class activities and practised planned monologues on the boards. Before and after they used the boards, the researcher tested their speaking proficiency and surveyed questionnaires. An analysis of language in the students' postings on the boards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complexity of the learners' language and to ident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n their feedback.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wo boards benefit to enhance students' speaking skill. However, the online voice board group produce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 than the online text bulletin board group in accuracy and overall proficiency. This means that it is more useful for students to have many chances to articulate what they learned to develop fluency in their English. Second, it is shown that the online voice board group came to use learning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the on-line text bulletin board group. This is because that the play and rerecord functions on the voice board allow students to monitor and self-correct what they say and plan their speaking procedure. Third, in an analysis of the complexities of their language, the language students used on the online voice board has a certain form which is neither a written language nor a spoken language. This kind of output can make students develop their spoken language. The feedback which the students gave to each other had a different pattern between groups. In the text bulletin board group, most students' feedback tended to focus on grammatical errors, but in the voice board group, students gave pronunciation-oriented and content-oriented feedback to each other. Moreover, the feedback of text bulletin board group was very specific and mentioned sentence-level error correction, but the voice board group gave a broader opinion in their feedback. In conclusion, the form of the speaking practice on the both boards is rather different from the procedure what we encounter in real situation, but using the text bulletin board and the voice board are both helpful for students to practice spoken language. Both boards are useful for students to prepare their speaking in the practice level. However, we have to remember that this practice can not substitute for communication in a real environment. These are only supplements for the lack of opportunities to use the target language in EFL setting. It is important that we use CMC tools properly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ir potential. This also. calls for future studies which explore various ways of using online voice board to fit their own pedagogical purpo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