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1 Download: 0

의료보호 재가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Title
의료보호 재가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entally ill on Medicaid
Authors
강점숙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의료보호재가정신장애인사회관계망만족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tatus of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network among adults who have had mental disorders on Medicaid and live in a community and to clarify whether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network among them or no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ental disorders on medicaid and whose age between 20-65. So, in order to get mecessary data, 44 mental disorders on medicaid residing in the area of NoWon-gu and SuDaemoon-qu of Seoul were interviewed to get some answers on the prepared questionaires. The measurement for this study was life satisfaction scale by created Yang, Ok Kyung in 1994 and social network scale by created Whittaker and Tracy. The life satisfaction scale is consist of 8 subscales. These 8 subscales are ① a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relatives, ② a self-image and a gernal life, ③ a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other persons, ④ a situation of house, ⑤ a physical and mental health, ⑥ clothes, foods, and economic status, ⑦ recreational activities, ⑧ an occupation and a daily schedule. The social network scale is consist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s consist of size, composition, frequency of meeting, duration, an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is consist of mater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onal support.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win pc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otal mean score to life satisfaction among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on medicaid was 2.561(sd=0.403) in a possible range of 1 to 5 and the mean scores to each subscale were ①a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relatives(m=3.235), ② a situation of a house(m=3.038), ③ a physical and mental health(m=2.791), ④ recreational activities(m=2.602), ⑤ a self-image and a gernal life(m=2.477), ⑥ clothes, foods, and economic status(m=2.239), ⑦ an occupation and a daily schedule (m=2.063), ⑧ a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other persons(m=2.042). 2. The size of the social network resulted on average 2,955 people per person, and the composition of the social network resulted on average 2.227 people per person. And the frequency of meeting is resulted everyday or once/twice a week and duration is resulted 5-10 years or more than 10 years. Total mean score the functional chc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was 1.831(sd=0.342) in a possible range of 1 to 3 and the mean scores to each subscale were ① emotional support(m=2.277), ② evaluational support(m=1.827), ③ material support(m=1.610), ④ informational support(m=1.609). 3. The relations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network size was significant(r=0.3974, p=0.008).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network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r=0.490, p=0.001). 4. The difference of mean score to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preliminary identification of responsors - for example, sex, age, marital status, religion, etc. - was not significant. But the job, psycho medicine treatment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mean score. Above results proved social network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ize is very important factor in qulaity of life among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on medicaid. And these results will be able to help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to receive more support from their family, relatives, friends, and neighborhoods, etc. within daily living and to provide basic sources to develop various social work intervention plan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help their readjustment in a community living.;최근들어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정신장애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치료방법또한 병원에의 장기입원이나 요양치료보다는 조기퇴원시켜 지역사회생활에 재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정신장애는 질병의 특성상 높은 재발의 위험으로 만성화되는 경향이 강해 장기치료를 요하게 되며, 되풀이 되는 입·퇴원으로 신체능력이 감소되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사회기술이 부족하게 된다. 특히 의료보호 정신장애인은 질병의 특수성외에 주거환경의 열악함이나 실직, 가난, 사회로부터의 소회 및 가족지지의 결여등이 가중되어 사회적응을 어렵게 하여 삶의 질이 더욱 떨어진다고 한다. 1993년 정신보건현황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병원 및 요양원에 수용되어있는 환자의 70%이상이 의료보호대상자이며, 이들의 대부분이 장기입원 및 입·퇴원을 반복하고 있어 한국 정신보건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료보호 재가정신 장애인을 대상으로 그들이 삶에 대해 주관적으로 평가한 삶의 만족도와 일상생활에서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과 그들로부터 받는 사회적지지를 사회관계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이들 두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여 의료보호 정신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 잘 적응하고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시의 노원구와 서대문구에 거주하고 있는 의료보호 재가정신장애인으로 본 조사에 기꺼이 응해주는 사람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조사는 1997년 4월 7일부터 5월 2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조사대상지역으로 선정된 노원구는 보건소를 통해, 그리고 서대문구는 정신보건센터를 통해 의료보호 정신장애인 현황을 파악하였다. 현황을 파악한 다음 사회복지전문요원과 복지관의 재가복지담당 사회복지사의 도움을 얻어 44명의 대상자와 접촉하였으며, 조사의 목적에 맞게 작성된 삶의 만족척도와 사회관계망척도를 토대로 대상자의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1994년 양옥경이 개발한 삶의 만족척도와 Whittaker & Trocy가 개발한 사회관계망척도를 사용하였다. 삶의 만족척도는 총 33문항의 5점 척도로 구성되어있으며, 하위영역으로는 "가족 및 친척관계, 자아감 및 일반적 삶, 친구 및 대인관계, 주거환경, 신체 및 정신건강 의·식·경제정도, 여가활동, 직업 및 일반적 삶의 영역"이 포함되어있다. 또한 사회관계망척도는 구조적특성과 기능적특성으로 나뉘어지는데, 구조적특성에는 관계망의 크기, 유형, 접촉빈도, 교제기간이 포함되며, 기능적특성은 실제적인 사회적지지인 물질적지지,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의 4개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pc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통계기법으로는 빈도 및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방법과 t-test, one way ANOVA 및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가 주관적으로 평가한 삶의 만족도는 5점 만점 척도에서 평균 2.561점(sd=0,403)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하위영역별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가족 및 친척관계영역(3.235), 주거환경영역(3.038). 신체 및 정신건강영역(2.791), 여가활동영역(2.602), 자아감 및 일반적 삶의 영역(2.477), 의·식·경제정도영역(2.239), 직업 및 하루일과영역(2.063), 친구 및 대인관계영역(2.042)"순으로 나타났다. 2. 사회관계망의 구조적특성은 관계망의 크기, 유형, 접촉빈도, 교제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사결과 먼저 사회관계망의 크기는 평균 2.955명으로 나타났으며. 관계망유형의 크기는 2.227개로 나타났다. 또한 접촉빈도는 평균 1주일에 1-2회정도로 사람들과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제기간은 평균 5-10년정도로 나타났다. 사회관계망안에서 실제적으로 주어지는 사회적지지를 파악할 수 있는 사회관계망의 기능적특성은 3점만점 척도에서 평균 1.831점(sd=0.342)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정서적지지(2.277), 평가적지지(1.827), 물질적지지(1.610), 정보적지지(1.609)"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삶의 만족도와 사회관계망의 구조적특성인 사회관계망의 크기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r=0.3973(p=0,008) 수준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관계망의 기능적특성인 사회적지지와 삶의 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r=0,490(p=0.001) 수준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들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종교유무, 가족의 월평균수입, 약물치료유무, 질병을 앓아온 기간 등과 삶의 만족도간에는 p < 0,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직업유무에서는p < 0.05수준에서, 그리고 약물치료유무에서는 p < 0.001수준에서 유의미가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의료보호 재가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의 하나로 사회관계망에 대한 개입, 즉 사회관계망의 크기 및 사회적지지에 대한 개입을 통해 이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