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0 Download: 0

Craig R. Dykstra의 기독교 도덕교육

Title
Craig R. Dykstra의 기독교 도덕교육
Other Titles
Craig R. Dykstra's Christian Moral Education Theory
Authors
裵秀香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Craig Dykstra기독교도덕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모든 윤리적 성찰은 특정한 시간과 특정한 장소에 따라 달라진다. 그것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공동체의 특정성(particularity)과 공유된 확신(conviction)에 의해 좌우되기도 한다. 가령, 유대인의 윤리, 기독교인의 윤리, 힌두교인의 윤리, 실존주의 윤리, 실용주의 윤리, 공리주의 윤리, 중세의 윤리, 현대의 윤리는 다를 수밖에 없다. 다익스트라가 기독교 도덕교육에 있어서 '원칙'보다 '성품' 내지는 '성향'에 관심을 두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원칙 윤리학의 가장 큰 위험성이 바로 '보편화'의 문제인 것이다. 다익스트라의 도덕교육론은 사람의 '행동'보다는 '성품'에 관심을 두는 '덕의 윤리학'의 계보로 분류지을 수 있다. 다익스트라는 불연속적인 행동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삶에 대한 경향성에 관심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도덕적 선행 혹은 악행은 개인의 의도(intention)에 근거한 것으로 이해한 것이다. '인격'이라는 개념을 경멸했던 콜버그와는 달리, 다익스트라는 개개인의 성품에 주목하고 있다. 보편화 작업에 문화적 제국주의(cultural imperialism)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속에서, 보편적인 판단과 이에 근거한 행동보다는 개개인이 지닌 도덕적 성향에 주목한 다익스트라의 관점은 반대로 문화적 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라는 비난을 모면하기 어렵지만, 오늘날의 도덕교육의 풍토에서 다시금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익스트라가 무엇보다 강조하는 것은 도덕적 삶을 구성하는 상황들의 대부분이 객관적이기 보다는 상호주관적인 점이다. 도덕적 선택에서의 잣대를 제공하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원칙윤리는 도덕교육에서 부적합하다고 보고 있다. 그는 한 인간의 도덕성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것은 인생을 향한 기본적인 태도들과 이러한 태도들의 기초를 제공하는 실재에 대한 기본적 '비전(vision)'이며, 한 사람의 선택과 결정과 행동을 그 사람의 전체적인 '사람됨'과의 관계속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람들에게 보편적인 도덕적 측량자보다는 상황을 바르게 보고, 책임있게 응답할 수 있는 비전(vision)을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한 기독교 도덕교육이라고 이해한 것이다. 그는 상호주관적인 영역에서 우리가 행하고, 생각하교, 느끼는 성품이 바로 도덕적 선택에 있어서 결정을 가늠하는 역할을 한다고 본다. 그래서, 도덕적 성숙에 필요한 도덕적 가치로 '정의'보다는 오히려 상호주관적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돌봄', '사랑'과 같은 가치에 비중을 둔다. '상호관계성'을 중요시함으로써, 다익스트라는 콜버그가 주목했던 형식적·가역적 사고의 능력보다는 '상상적 사고의 능력'을 도덕적 성숙의 핵심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 때의 '상상적 사고의 능력'은 도덕적 상황의 의미를 '해석'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개인의 삶의 경험 속에서 기존의 개념체제로는 수용할 수 없는 사건에 봉착하게 되면, 개인은 상상력을 동원하여 사건을 재해석해 내고, 새로운 이미지를 확보하게 되는데, 이것이 도덕적 성숙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다익스트라의 주장이다. 물론, 이러한 도덕적 성장의 과정에는 역전의 요소가 내포되어 있다. 그는 도덕적 성숙은 끝이 없는 과정이라고 말하면서, 개개인의 도덕적 발달이 위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콜버그의 주장에 반박한다. 도덕성장을 단계적인 발달과정으로 이해한다면, 개개인의 특수한 경험들이 은폐되고 말 것이라는 것이다. 그가 중요시하는 상상적 도약은 "변형의 순간"이요, "계시의 순간"이다. 다익스트라의 이론에서 간과해서는 안될 점은 기독교 신앙과 공동체가 도덕생활에 대한 교육에 있어서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다. 우리의 도덕적 선택은 우리의 개인적 역사와 더불어 우리가 속한 공동체에서 근간이 형성된 것으로 결코 독립적 사건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다익스트라는 기독교 공동체에 있어서의 도덕생활에 대한 교육을 기독교 도덕교육의 궁극적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그는 예배와 기도, 고백과 회개, 성서적·신학적 연구와 해석, 친교와 제자됨을 도덕적 성숙과 도덕교육에 중요한 요인들로 제시하고 있다.;All ethical reflection differ in particular time and place. It depends on the particularity of the community and shared conviction. So It is natural that Jewish, Christian, Hindu, Existentialist, Pragmatic, Utilitarian, Humanist, Medieval and Modern ethics differ. But the ethic of principle tends to universalize ethical reflections. With this perspective, Dykstra is interested in the 'character' and 'orientation' more than 'principle'. Furthermore, Dykstra argue that the ethic of principle neglect moral affection. Moral affection is a variable for choosing a certain thing in moral life. Considering the notion of 'wholeness', reasonal decision is not enough for moral growth. As a matter of fact, a very great portion of the situations that make up our moral lives are intersubjective rather than objective. With a perspective of this, Dykstra criticizes that the ethic of Kohlberg is act-oriented. According to Dykstra, Kohlberg focused on discrete actions in contrast to a general orientation of the life. But, a person's morality is an ongoing quality of life and not disjointed responses to isolated situations. In contrast to Kohlgerg who despise the notion of 'character', Dykstra focused on the character of a person. Most of what constitutes a person's morality refers to basic attitudes toward life and the underlying vision of reality that provides the foundation of those attitudes. A person's morality cannot be summed up in the decisions and the justfications. Dykstra insist that a character is changed when the transformation of the imagination takes place. With a imaginational thought, we come to see thing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s. Dykstra emphasizes on the power of imaginational thought in moral life. It means the ability of interpretation about moral situation and of action on his moral choice. Dykstra argues that the developmental end doesn't exist in moral life. Dykstra argues that moral growth is not developmental. The quality of our moral lives does not necessarily improve in a linear progressive fashion. We have moral reverses. A developmental theory tends to ignore particular experiences. Dykstra said his ultimate target is the education for the moral life in the Christian community. Christian education for the moral life depends heavily on the mode of living of the Christian community. Christian community have character and the character of a community shapes the character of its people. People of Christian community are intersubjectively related to one another and they hold convictions, stories, and visions in common. Worship and Prayer, confession and repentance, biblical and theological study and interpretation, fellowship and discipleship are important for moral growth and in Christian mor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re-interpretating moral situation, Dykstra suggests the method of group conversation learning. Through this method, people can solve the moral problem intersubjectively. And they can change their moral life. In contrast to the direct teachig-learning method focused on the reasonal perspective, group conversation learning heavily focused on the affective perspective. So, we can expect that group conversation learning method is more appropriate for the Christian moral education. There are some criticism about Dykstra's theory First, though we cannot deny the power of imaginations, symbols, metaphors, stories in influencing character, moral reason shouldn't be minimized. Second, he assume that life in the Christian community is morally by itself. But, we should not miss the prejudices, weaknesses, distortions in the Christian story. Third, his theory is most apporpriate at the level of person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in dealing with societal, economic, and political iss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