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3 Download: 0

페로 동화의 기호학적 분석

Title
페로 동화의 기호학적 분석
Other Titles
Analyse semiotique des contes de perrault : les types de donateurs
Authors
왕승혜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Keywords
페로 동화기호학증여자유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일반적으로 마법담contes merveilleux에서는 증여don의 기능으로부터 이야기의 설화성이 이루어진다. 여기서의 설화성narrativite이란 이어지는 두 상태의 변형과 차이를 통한 의미의 생성을 말한다. 본 논문은 텍스트의 기호학적 분석이 설화성의 확인과 기술이라는 전제에 따라 페로 동화의 설화성, 즉 "증여"의 마법적 형상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그레마스를 필두로 한 파리학파의 기호학을 분석의 토대로 삼는다. 파리학파의 기호학은 의미와 그 생성의 모든 조건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파리학파의 기호학은 프롭의 재해석을 바탕으로 설화학에 관심을 기울여 민담에 관한 다양한 연구 성과를 이루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토대 위에서 페로 동화의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레마스는 프롭이 "증여자donateur"로 분류한 마법담의 고유한 등장인물의 행동 범주를 "보조자auxiliaire"와 함께 "돕는자adjuvant"의 항에 묶는다. 그레마스는 증여자를 돕는자의 특정한 연기자화로서 평가하고 돕는자를 일시적인 참여자 즉, 부차적인 행위자로 간주한다. 그러나 마법담의 증여자는 단순히 그레마스의 행위자모델에서 "돕는자"의 기능과 동일시될 수 없는 독자적 역할을 수행하며 그 고유한 기능은 마법담이라는 장르적 묵계의 토대가 된다. 따라서 증여자가 기능적으로나 형상소적으로 변형될 경우 그것은 장르 자체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따라서 증여자의 유형 분석은 설화자가 이야기에 대해 갖는 태도를 가늠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야기에 대한 설화자의 포괄적 인식과 이에 바탕을 둔 이야기의 전달이라는 행동과, 이야기 속에 나타나는 증여자의 변형과 증여의 행동이 맺는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질문에 접근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분석의 층위를 메타설화와 설화 층위로 구분하여, 메타설화 층위의 장에서는 "이야기를 전달"하는 설화자의 수행을 분석하고, 설화 층위의 장에서는 이야기 안에서 증여자가 주인공에게 "마술적 힘을 전달"하는 수행을 살펴보았다. 이 두 행동은 "증여"라는 행동을 통해 피증여자의 상태를 변형시키고, 피증여자가 속해 있는 가치 세계를 변화시키면서 모두 참여적 전달을 수행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본론의 첫 장인 제 Ⅱ장에서는 메타설화 층위의 증여를 분석하였다. "서문", "헌사", "교훈" 그리고 "또 다른 교훈"으로 표출되는 메타설화 층위의 증여를 살펴봄으로써 마법담에 대한 (특히 증여의 기능과 증여자라는 등장인물에 대한) 설화자의 가치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설화자가 속해 있는 가치 세계의 심층적 토대를 재구성하였다. 즉, /고대/와 /근대/라는 대립구조는 설화자가 /고대/를 부정하고 /근대/를 긍정하는 조종으로서 작용하며, 설화자가 속해 있는 가치 세계의 이행을 동기화한다. 이것은 다시 설화자로 하여금 마법담이 갖는 /존재etre/와 /현상paraitre/의 자질을 새롭게 구조화하도록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마법담을 이야기하기"라는 설화자의 행동을 실행에 옮기도록 한다. 제 Ⅲ장에서는 설화 층위의 "마법적 증여"의 형상들을 살펴봄으로써 프롭이 정의한 마술적 힘의 전달이라는 증여자의 기능이 설화자에 의해 미덕과 부덕을 상징하는 돕는자와 적대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등장인물로 변형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화 층위의 증여는 주인공의 설화 행정과 관련하여 증여자의 수행이 주체에게 부정적으로 평가될 때는 "시련"의 양상으로, 반대로 긍정적으로 평가될 때는 교환의 양상으로 각각 형상화 되었다. 이들은 각각 증여자의 /부덕/과 주인공의 /미덕/이라는 조종에 기반하여 이루어진 것이었다. 뒤따르는 상벌의 국면에서는 /삼킴/과/토함/이라는 제의적 모티브가 갖는 의미가 변형되어 각각 증여자에 대한 /벌/과 주인공에 대한 /상/으로서 도입되었다. 앞의 분석을 토대로 본론의 세 번째 장에서는 메타설화 층위의 증여와 설화 층위의 증여의 위계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설화자에 의한 "이야기하기"의 행동과 증여자에 의한 "마법의 수행"이 "변형transformation"이라는 동위적 행정에 기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야기하기의 수행은 차이의 실현을 통한 의미의 역동성에 기반하여 가치 세계의 전환이라는 마법적 행동을 수행한다는 메타설화 층위의 증여가 갖는 궁극적 의의를 유추해낼 수 있었다. 본론의 분석을 통해 결론적으로 페로의 이야기는 /근대/를 표상하는 형상들이 역설적으로 마법적 환상의 도움을 받아 합리화되는 독특한 구조를 갖고 있음이 증명 되었다. 그것은 "환상"이 갖는 교훈적 효과와 "이야기"가 갖는 마법적 힘을 드러내 주었다.;L'analyse se´miotique des textes essaie de determiner la narrativite´, c'est a dire les differences dans la succession des e´tats et des transforamtions. Dans les contes merveilleux, les transformations du heros ou de l'he´roi¨ne resultent de la fonction de "don". Cette analyse vise a` rechercher les figures de "don" dans les contes de Perrault et a` caracte´riser les types de donateurs dans la perspective de l'"Ecole de Paris", qui, en s'appuyant sur I'important travail de V. Propp, a donne´ lieu a` beaucoup de travaux sur les contes populaires et suscite´ le de´veloppement de la narratologie. Cette approche adopte a` deux niveaux d'analyse : au niveau narratif, les communications d'objet magique du donateur au donataire, au niveau me´ta-narratif, les communications de savoir du narrateur au narrataire. Ces niveaux hie´rarchiquement articule´s envisagent comment se determine le parcours ge´ne´ratif du sens du programme narratif et du programme me´ta-narratif. Tout d'abord, on examinera la fonction me´ta-narrative du ''don'', le contage. Gra^ce a` l'e´valuation directe par des "Preface", "de´dicace", "Moralite´" et "Autre moralite´." des contes de Perrault, on peut appre´cier le point de vue du narrateur a` l 'e´gard des contes merveilleux (le personnage donateur, en particulier), et acce´der au plan des concept mis en jeu. On remarquera ensuite la structure profonde du me´ta-narration repose sur deux categories, l'/ancien/ et le /moderne/. L'opposition des deux termes provoque la negation de l'/ancien/ par le narrateur et ensuite l'affirmation du /moderne/, qui transforme l'univers des valeurs du narrateur. Par consequent, la correlation de l'/e^tre/ et du /para^itre/ dans les "contes merveilleux" s'en tienne modifie´. En effet, la narration des contes merveilleux devient une action re´elle. Dans le chapitre suivant on examinera la fonction de "don" au niveau narratif. Dans l'univers des contes merveilleux, le destinateur transcendant prodigue des biens a` des destinataires-sujets, sans pour autant s'appauvrir, sans que son avoir diminue. Ce type de communication est appele´ "communication participative" : le donateur ne parai^t pas perdre ce dont il fait cadeau, se disjoindre de ce qu'il offre. Propp re´partit ce personnage(le donnateur) la sphilre d'action du "donateur". Le donnateur comprend la fonction de preparation de la transmission de l'objet magique A la disposition du heros. Pourtant, A cause de l'ambigui¨te´ fonctionnelle de l'action du donateur et celle de l'auxillaire que Propp propose, Greimas estime que I'"adjuvant" recouvre A la fois le "donateur" et l'"auxiliaire", ayant un caractilre secondaire, de participant circonstanciel et non de vrai actant du spectacle. Pourtant, les fonctions du donateur dans les contes merveilleux ne peut pas s'identifier avec celles de l"'adjuvant". Les fonctions originelles du donateur fondent la base de la convention du genre. Tout comme la transformation narrative ou figurative de certaines fonctions entrai^ne la modification du genre, I'analyse des diffe´rents types de donateurs rend compte du point de vue de narrateur A l'e´gard d'un genre. Nous partirons de la description de la "performance" des donateurs, point central a` partir duquel les autres moments de la sequence s'ordonnent logiquement. La performance des donateurs seront figure´ soit par I'e´preuve, soit par l'e´change par rapport au programme du heros. Ensuite on envisagera l'instauration de la manipulation qui donne lieu a` l'action. Selon l'action du donateur, la manipulation du don apparaitra soit par la "/moralite´/ du he´ros" (quand l'action du donateur est affirmative), soit par l'"/immoralite´/ de donateur" (quand elle est negative). Il s'agit un mecanisme spkcial remanik par le narrateur pour renfermer la moralite´s des contes. La partie suivante s'intkressera A la "sanction" qui suit la performance. Nous y introduirons les proble´mes relatifs au savoir et A la ve´rite´ dans le re´cit, puisque la sanction interpre´te la perfomance. Les motifs d'/avalement/ et de / crachement/ par lesquels sont figure´s les e´me´ments emprunte´s aux rituels anciens, en particulier aux ce´re´monies d'initiation, deviennent des e´le´ments constitutifs importants, /re´compense/ et /punition/ pour les actions des donateurs. Dans le dernier chapitre on peut concevoir la relation hie´rarchique de deux niveaux narratifs. On constatera que I'action de "raconter" et celle de "donner" sont des parcours isotopiques en tant que transformations. Ces quelques remarques montrent que la narrativitk est le dynamisme. Avec cette observation, on peut conclure que les figures du /moderne/ sont ensemence´es effectivement dans les contes de Perrault, gra^ce a` la structure particulie´re des contes qui pre´sente un double aspect d'une part par le "merveilleux" moralisant, d'autre part le pouvoir merveilleux de "racont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