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5 Download: 0

중년 여성의 몸의 변화에 관한 체험연구

Title
중년 여성의 몸의 변화에 관한 체험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d Discovery of Meaning in Mid-aged Women's Experience of the Change of body
Authors
林泰姸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Keywords
중년여성변화간호과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qualitative nursing research used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discover meaning in mid-aged women's experience of the change of body. The ultimate aim of the inquiry was to discover the essence of mid-aged women's experience and promote understanding. The study was guided by van Manen's method for doing research. The method of inquiry included : turning to phenomenon of interest inquiring and investigating experience as it was lived rather than as conceptualized reflecting and analyzing essential themes which characterize phenomenon and describing phenomenon through art of writing and rewriting. Multiple strategies for data collecting were needed : in depth face to face interview analysis of women's writings artistic works and analysis of examples of phenomenon in art, literature. Although the experience was different for all of the women interviewed, essential themes of experience emerged , Tantalizing at going by youthfulness, Beating upon the fog of Sadness, The surge feelings of sudden hot lump, The age of heart-seldom getting old/The age of body-entirely getting old, Adversities coming at mid-age(tingling sensation dim sight/fatigue/skin change/emerging of white hair/the cloudy consciousness/the change of life value), The surprise and the fear about faded body, The time trace revealed by other attention, Living through with the sincere body of mine. Findings from artistic and creative inquiry further validated findings and meaning discovered. The study illuminated meaning and simultaneously validated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process. Essential themes for understanding women's experience, implications, for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direction and need for continuing inquiry were identified.;여성의 몸은 일생동안 변화하기 때문에 몸의 변화에 대해 여성 자신의 충분한 지식과 이해가 있어야 건강을 영위하며 행복하게 살 수 있다 특히 중년 여성은 가정과 사회에서 건강의 구심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점으로 볼 때 이들의 몸에 대한 이해는 여성의 건강은 물론이고 가정의 건강, 사회건강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약 3년 9개월 동안 간호사로 근무하면서 병원에서 환자를 대하는 의료진조차도 중년 여성의 몸의 변화에 대해 많은 것을 간과하고 지나는 것을 보았으며 실제로 중년 여성들이 몸의 변화로 인한 여러 가지 증상으로 고통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경험들은 대수롭지 않은 것으로서 무시되는 면을 보게 되었다. 더구나 현재 국·내외적으로 중년 여성의 몸의 변화와 관련되어 쓰여진 문헌은 거의 없었으며 중년 여성과 관련된 대부분의 논문들은 몸의 변화를 폐경과 연관지어 나타나는 증상으로만 언급하고 있을 뿐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중년 여성의 몸의 변화에 있어서 그 체험의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35세에서 64세 사이의 중년 여성 13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97년 8월 30일부터 10월 5일까지 비지시적 비구조적 심층면담 및 참여관찰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분석방법은 Merleu-Ponty의 철학에 근거하여 van Manen이 제시한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4단계의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조사, 현상학적 반성, 현상학적 글쓰기. 본 연구의 주제 분석은 대상자의 진술 속에서 의미 있는 주제 진술을 분류해 내어, 그들의 생활세계에 대한 체험의 구조를 밝히고, 주제적 의미를 발견한 후, 다시 이를 언어적 변형으로 구성하여 본질적 주제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자들이 체험한 본질은 다음과 같다. "지나쳐버린 젊음에 대한 안타까움", "슬픔의 안개가 밀려옴", "울컥 치미는 뜨거운 덩어리", "좀처럼 늙지 않는 마음의 나이/온통 늙어버린 몸의 나이", "중년에 온 풍전수전", "시들어 가는 몸에 대한 놀라움과 두려움", "다른 눈을 통해 드러난 세월의 흔적-가슴이 철렁 내려앉음", "진정한 나만의 몸으로 살아가려 함" 이었다. 이상과 같은 여덟 가지의 '주제를 통해서 볼 때 중년 여성들은 몸의 변화에서 젊음에 대한 상실감과 함께 슬픈 마음을 가슴 속 깊은 곳에서부터 아련히 느끼며, 또 한편으로는 주체할 수 없는 분노의 감정도 갖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몸이 늙어 가는 반면에 마음은 그대로임을 깨닫게 되며 풍전수전을 겪는 것과 같은 몸의 변화를 겪는 동안 자신의 몸의 변화를 곧 건강과 연관시켜 생각하면서 '몸이 변하는 것처럼 이제는 건강도 내 마음대로 되지는 않겠구나'하는 두려움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변화를 알게 되는 경우에는 자신이 중년에 들었음을 더욱 절실하게 깨닫게 되면서 나에게만은 찾아올 것 같지 않던 중년의 흔적이 나타난 것에 대해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 듯한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은 비로소 중년이 되어 버린 자신을 돌아보게 하며 변화한 몸으로 앞으로 자신에게 펼쳐진 자신만의 삶을 새롭게 살아나가기 위한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체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간호학적으로 유용한 적용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보여진다. 첫째, 간호수행시에 간호사들에게 있어서 중년 여성의 몸의 변화에 대한 심도 깊은 사정을 통하여 이를 간호중재에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간호를 통하여 보다 넓은 이해의 폭을 가지고 중년 여성의 대상자들에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는 전문 간호사로서 개별적이면서 전인적인 간호를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간호 교육의 측면에서는 임상연구와 실질적인 사례연구를 비교함으로써 간호학생들로 하여금 창의적인 간호중재를 해보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간호 연구의 측면에서는 다양한 환경에 있는 중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체험의 본질을 밝혀냄으로써 이를 통하여 여성의 몸에 대한 간호학적인 시각을 만들어 나가는데 있어서 일익을 담당하게 됨과 동시에 더 나아가서 이론개발에 있어서도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간호 정책적인 측면에서는 여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에 중년 여성의 몸의 변화에 관한 실질적인 체험내용을 포함시킴으로써 중년 여성들을 위한 더욱 실질적으로 유익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13명의 기혼의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다양한 환경에서 중년을 맞이하게 되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몸의 변화에 관한 체험에 대해 현상학적인 연구를 한다면 또 다른 의미가 드러나리라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