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1 Download: 0

자질계층이론에 의한 음운현상 연구

Title
자질계층이론에 의한 음운현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xplanatory Power of Feature Geometry
Authors
金熹成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Keywords
자질계층이론음운현상영어영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말소리를 기술하는 최소의 음성적 단위인 변별자질의 개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였다. Bloomfield(1933)가 변별자질의 개념을 언급한 이후로 Chomsky and Halle(1968)는 The Sound Pattern of English에서 조음 및 음향적 근거에 의한 변별자질을 종합하고 이러한 자질들이 하나의 기저음운층에 모두 표시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 초분절자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분절음이 이동하거나 삭제될 때 성조가 같이 행동하지 않는 등의 선형적 음운표시로 설명할 수 없는 문제가 나타남에 따라 복수의 음운표시층을 인정하고 그 사이를 연결선으로 연결하는 자립분절음운론이 등장하였다. 자립분절음운론의 확대는 지배와 결합을 이루는 변별자질들이 각기 자신의 층을 가지고 다른 층에 있는 자질들과는 독립적으로 행동한다는 자질계층이론으로 발전하였다. 여러 학자들이 자질계층을 이루는 내부구조에 대해 조금씩 다른 의견을 주장하였는데 자질계층이론 형성의 초기 단계에서 Sagey(1986)는 조음자(articu- lator)를 중심으로 묶은 조음위치 마디를 가진 모형을 제시하였고 Clements(1985, 1989, 1991, 1995)는 자신의 모형을 계속해서 수정 보완하였다. Avery and Rice(1991)의 공명을 중심으로 한 마디(node) 설정과 Lahiri and Evers (1991)의 조음자 마디 외에 혀위치 마디 설정의 타당성도 이들이 제시한 자료에 의해 지지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학자의 모형을 비판·종합하여 새로운 자질계층모형을 제시하고 간결성을 추구하는 보편문법의 취지에 맞게 Archangeli(1984, 1988)의 잠재표시와 잉여규칙의 개념을 도입하여 자질표시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그리고 이렇게 제시한 잠재표시된 음운으로 영어와 한국어의 음운 현상의 예를 들어 자질계층이론의 설명적 우월성을 살피려 한다. 자질계층이론은 음운현상이 일어나는 환경 및 말소리와 더불어 어떤 말소리가 어떤 식의 변화를 일으키는 지를 목표음과 촉발음 사이의 확산을 통해 명시적으로 보여 줄 수 있으므로 음운현상의 환경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SPE식의 선형적(linear) 음운규칙 보다 한층 더 설명력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This thesis explor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heory of feature geometry, which is one of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nonlinear phonology, with English phonological data, mostly of the major forms of assimilation. The notions and inventories of "distinctive features" and the theoretical constructs of phonology thereof have undergone a number of radical transformations since the publication of Chomsky and Halle's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1968). The most conspicuous departure from SPE has been the transformation from linear to nonlinear framework. In the tenet of nonlinear phonology are found several theoretical advocacies, one of which is the theory of feature geometry. The most significant theoretical innovation we find in the feature geometry is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features, which was absent in SPE, that enables us to group distinctive features rather than speech sounds in a way more comprehensive and explanatory than the "natural classes" of speech sounds. In the present thesis, we have attempted to show that the hierarchical feature geometry and the rule formats based on it are superior to the linear rule formats in its explanatory power with the data of English phonological processes of assimilation: voicing, devoicing, nasalization, labialization, and articulatory pl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