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큐비즘의 투명성과 시간성 표현에 의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Title
큐비즘의 투명성과 시간성 표현에 의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ign model through the transparency and space-time of the cubism : focusing on the study for " the national museum of design "
Authors
김호연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환경디자인전공
Keywords
큐비즘투명성시간성환경디자인디자인 박물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는 다른 나라에 가게 되면 그 도시나 지방의 미술관 혹은 박물관을 찾아가게 된다. 짧은 시간에 그 도시나 지방의 문화와 역사를 알아보고 현재를 조금 더 깊이 이해하려면 박물관을 찾는 일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박물관은 그 나라, 그 지방의 생활과 역사, 예술에 관한 지식과 체험의 장으로서 중요한 문화공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세계적인 경향에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전시환경의 내재적 기능과 사회적 역할이 전혀 다른 체계로 변환되고 있는데 비해 우리 나라의 박물관 환경은 아직도 초기의 모더니즘 양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여가 시간의 증가, 외국 관광객의 증가로 인해 문화공간을 찾는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조금 더 향상된 수준의 문화공간 조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큐비즘의 투명성과 시간성 표현에 의해 『디자인 박물관』의 환경 디자인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큐비즘의 조형적 특성을 이해하고 특히 투명성과 시간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디자인함으로써, 예술로서의 환경,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전시환경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큐비즘의 조형적 특징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디지털 테크놀로지_(Digital Technology)를 재현의 도구가 아닌 디자인 사고의 도구로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접근 방안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또한 큐비즘의 조형언어를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 과정을 통해 환경디자인에 적용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Ⅰ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큐비즘의 개념과 조형적 특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큐비즘에 나타난 투명성과 시간성의 조형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투명성과 시간성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이러한 특징이 공간에 표현된 사례들을 분석하여 그 표현효과를 고찰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연구 대상으로 디자인 박물관을 선정하고, 박물관의 기능과 공간을 분석하여 이에 적합하면서 투명성과 시간성의 개념을 적용한 공간 디자인안을 제시하였다. 실제 대상환경을 설정하고 대상환경에 대한 환경적 분석 과정을 거치 Ⅲ장에서 제시한 투명성과 시간성의 개념을 기반으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대상지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 방안과 패턴언어를 추출하여 각 공간에 대해 조직계획을 세웠다. 도출된 디자인 방안과 개념에 의해 기능성, 심미성, 자연친화성 등을 고려하여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안을 종합하고 디자인 평가를 내렸다. 제 Ⅴ장에서는 본 연구에 관한 요약과 논의를 하였으며, 연구의 기대효과 및 공헌도를 서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박물관 환경디자인은 기능성과 더불어 조형성을 가미해 조성하면 그 환경자체가 갖는 미적 가치로 인해 기존의 박물관 환경과 차별화 될 수 있다. 둘째, 순수한 조형 개념으로부터 디자인 개념을 이끌어내 디자인 도출을 했을 때 상징적이면서도 은유적인 독창적 환경디자인이 될 수 있다. 셋째, 공간 자체의 조형성과 더불어 전시환경으로서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박물관 환경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고, 효율적인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제시된 공간디자인의 실효성을 높게 한다. 넷째, 박물관 환경은 전시, 교육, 연구, 보관, 휴게 등 복합적이고 포괄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공간이므로, 디자인을 접근함에 있어서도 포괄적인 안목으로 접근해야 한다. 다섯째, 시각적으로나 개념적으로 새로운 문화공간의 조성은 도시 내에는 생명력을 불어넣고, 사회적으로는 대중에게 문화를 고양하는 공간으로서 가치를 가진다. 환경 디자인의 획일화 경향의 폐해를 느끼고 있는 현 시점에서, 큐비즘의 순수한 조형사상을 현대적으로 해석해본 연구는 여러 환경 중에서 박물관 디자인이라는 부분적인 내용을 연구한 것이지만, 이러한 내용은 앞으로의 전체 환경디자인에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고 인간에게 영향을 주는 모든 환경디자인에 응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When we visit another country, the first place to go to would be either a museum or an art gallery. For it should be the most effective way so that we can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at place through culture and history in a short time. It can be alleged that a museum must be an important cultural space because we can experience their life, history and art there. Although the immanent functions and social roles in milieus of exhibitions are totally changing in global tendency, Korean museums are still in the early modernism Based on the increasing needs of cultural spaces following the improvement of level of life, increase of spare-time and augmentation of foreign tourists, it should be the right moment for us to improve culture-spaces more than ever. According to these cultural chang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environmental design of 「The National Museum of Design」 through the transparency and space-time of the Cubism. By understanding formative properties of the Cubism, which especially focused both on transparency and space-time, I'd like to propose the environment as an art and the exhibition-environment as a way of communication. As it were, it can be valued as a new approach on condition that formative feature is interpreted with 'modem' terms and the "Digital Technology" is not used a tool of representation but a tool of thinking in terms of design. Moreover, it can be argued that formative language of the Cubism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the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experimental and creative design process. Therfore,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can be addressed as these. Firstly, if we make environmental design of museum with funtional property and fomative property, it can be a good example against the existing environmental design of museums because new environment would have the aesthetic values. Secondly, when we design from the pure formative concepts it would be a symbolic, metaphorical and creative environmental design. Thirdly, the fact that the basic request of museum-environment is completed, the efficient space is made for the support of formative property in that space itself, and the function as environmental design, would provide us with the efficiency of space design. Fourthly, the design should be approached inclusively because the environmemt of museum contains the complex and various functions like a exhibition, education, research, custody and rest. Finally, the new culture-space created visually and conceptually will provide vitality to the city and the space for culture to the people. In conclusion, at the present time, the tendency of generalization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design has come to the fore as a problem. In this situation, though it is just a museum-design as a part of all environment this research, which can be interpreted the pure formative idea of the Cubism, will be applied to the total environmental design and adopted to all environmental design which influenced to the peop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