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7 Download: 0

민주 시민성 교육 내용의 계열성에 관한 연구

Title
민주 시민성 교육 내용의 계열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quence of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uthors
최정윤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Keywords
사회생활학민주시민성민주시민성교육계열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다가오는 21세기는 정보화·세계화뿐 아니라 경쟁성과 상호 의존성, 다양성의 존중 등과 같은 특성이 여실히 드러날 것이며, 아울러 사회 각 부문에서 많은 사회 문제가 등장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사회에 적응하여 미래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책임 있고 훌륭한 민주 시민의 육성이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하다. 사회과교육은 바로 이러한 사회, 국가적 요구를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과다. 왜냐하면 다른 교과목에 비해 시대적 변화와 당면하고 있는 사회 문제, 시대적 상황 등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인류학, 지리학등 여러 가지 다양한 학문의 기초위에 시민성 함양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을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학습할 수 있도록 선정·조직해 놓은 교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민주시민성 교육에 대한 사회과의 위상은 실로 크다고 아니 할 수 없다. 하지만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사회과가 교육시켜야 할 내용을 선정·조직하기 위한 기준을 세우기란 결코 쉽지 않으며, 따라서 민주 시민성 교육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는 사회과는 이를 위한 교육 내용도 학자마다 그 정의가 다르고, 특히 선정된 내용을 어떠한 순서로 배열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끊임이 없었다. 그 이유는 계열성의 원리는 곧 학습 효과로 연결되기에 사회과 교육의 질을 결정한다고까지 생각해 볼 수 있어 내용 배열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이처럼 사회과 교육과정의 민주 시민성 교육 개발에서 실질적으로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가 바로 계열성이라는 것에는 모두 인식을 함께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어떠한 순서에 따라 내용을 배열하고 교수, 학습할 것인가에 대한 확실한 원칙이나 원리가 발견되고 있지 않다. 비록 지금까지 내용 배열의 측면에서 학습자의 경험과 흥미를 중심으로, 그리고 지식의 구조를 강조한다는 등의 논의가 많았지만 실제 교육과정의 구성에서 그것이 어느정도 현실성과 학습적 효과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이에 대한 실질적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과 민주 시민성 교육 내용의 계열적 중요성을 인식하여 개정된 제 6차 사회과 교육과정 민주 시민성 교육 내용의 계열성을 살펴보고 분석함으로써 우리의 민주 시민성 교육 문제점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려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민주 시민성 교육 내용의 계열성에 대한 실제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민주시민성 교육의 개념과 내용 전개를 통해 그 성격을 알아본 후 내용 배열에 적용되는 원리를 전통적 원리와 새로운 원리의 모색으로 나누어 학자와 함께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사회과 계열성 변천에 대해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민주 시민성 교육 내용의 계열성 분석을 위한 틀을 탐색하기 위해 먼저 심층 면접을 통한 교사들의 민주 시민성 교육 계열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후 현행 초·중등학교 사회과 민주 시민성 교육 내용 배열의 실제를 고찰하여 함께 비교하여 보았다. 그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교육 내용에서의 계열성은 매우 잘 조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직접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의 소재를 찾아 인지적, 정의적, 기능적인 계열성이 잘 이어질 수 있도록 내용이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중학교, 고등학교로 학교급별이 높아질수록 학문 체계만을 중심으로 하여 지식의 구조를 강조하여 교육 내용으로 조직하고 있었다. 따라서 고등학교에서의 계열성이 초등학교, 중학교와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이 분석되었다. 이것은 실제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생활 속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을 간과한 것이라 할 것이다. 특히 고등학교 교사들은 교과서의 내용이 학문 중심의 나선형적 구조로 인해 과중한 학습 내용과 동일한 개념을 심화, 발전시키는 데 있어 단편적인 지식 나열, 그리고 이로 인한 암기 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될 수밖에 없다는 비판을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적 상황을 고려하여 민주 시민성 교육 내용 배열에 있어 개선해야 할 과제를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 시민성 교육 내용의 계열성에 있어 초·중·고등학교의 발전적 단계를 고려하여 단절을 최소화하는 연계적인 내용 배열로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지식 나열과 내용의 반복적 제시라는 개선점을 보완하기 위해 능력 중심의 내용을 구성하여 학년마다 상이한 소재를 선정, 심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효율적인 교수, 학습 활동을 위해 교사들의 계열성에 대한 인식을 습득하고 이를 통해 전반적인 내용 배열 체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도 우리나라 민주 시민성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내용 배열에 가장 적합한 계열성 원리를 발견하고, 개발하기 위한 보다 많은 연구와 노력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Social studies is the integrated study of th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to promote civic competence. The primary purpose of social studies is to help young people develop the ability to make informed and reasoned decisions for the public good as democratic citizens of culturally diverse, democratic society in an interdependent word. That is, the central purpose of social studies is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most of all, social studies should be prepare young people to put into practice what they learn in school as they fulfill their obligations as citizens, deciding and acting responsibly when confronted by personal and social issues and problems.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successive education from kindergarten to 12 grade in social studies, and sequence, too. This study is based on sequence study which has been done so far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I am going to examine the reason why social studies should moinly charge in democratic education.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quence in Korean social studies, and to suggest proper and desirable direction of seqnence. To achive those goal, I analyzed and examined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of the 6th curriculm.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the sequence of textbook is well structured. Considering of a learner's development level, the textbook treat both concept explanation and actual pradtice. But in high school, the most content of texrbooks are composed of only explanation.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f textbooks by concepts, the higher the grade is, the further the sequence is. But it is analyzed that the gap between each grade is very big. Third, in social studies curriculm the break of sequence in high school caused too much quantity of learning and cramming education, From these result, the following tasks were put forth in order to improve upon the reality of education in Korea and to update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ith in social studies. First, the sequence which is effective on the practical learning spot should be constructed. Second, in social studies curriculm, the sequence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should be considered. Third, we shoul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to increase experience related to various social problems at school, and avoid knowledge-focused contents. Finally, there should be more interests and study to develop the most adequate sequence theory to our count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