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미정-
dc.creator박미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3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0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328-
dc.description.abstract내담자의 부정적/긍정적 자기공개와 내담자의 성별이 상담자의 내담자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는 상담초기에 상담자가 내담자를 평가할 때 상담자의 성고정관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웠다. 첫째, 내담자가 자기공개를 부정적으로 할 때 여자 내담자에 비해서 남자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평가가 더 부정적일 것이다. 둘째, 내담자가 자기공개를 긍정적으로 할 때 여자 내담자에 비해서 남자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평가가 더 긍정적일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대구지역의 일반대학원이나 교육대학원에서 상담심리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들, 그리고 서울지역의 상담기관에서 근무하는 상담자들이었다. 실험절차는 내담자의 자기공개 내용과 내담자의 성별에 따른 각 조건에 해당하는 모의상담장면 비디오를 피험자들에게 보여주면서 자신이 상담장면에서의 상담자라고 생생하게 상상하라고 지시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담자 반응 양식 질문지와 내담자 평가 질문지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으로는 이원변량분석과 단순주효과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분석 결과, 첫째, 내담자가 자기공개를 부정적으로 할 때는 내담자에 대한 전반적인 지각과 임상적인 인상/판단에서 여자 내담자에 비해서 남자 내담자에 대해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내담자에 대한 호감도 평가에서는 내담자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내담자가 자기공개를 긍정적으로 할 때는 내담자 평가에 있어서 내담자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실제 상담장면에서는 내담자가 긍정적 자기공개를 할 때보다 부정적 자기공개를 하는 비율이 더 높다는 것을 고려해봤을 때 상담자들은 내담자가 여자일 때보다 남자일 때 내담자의 문제를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담자들이 내담자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성고정관념이 끼치는 영향을 줄이고 내담자를 한 인간으로서 있는 그대로 평가할 수 있도록 훈련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client's negative/positive self-disclosure and the client's sex on the counselor's ratings of the cl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at the counselor's gender stereotype affects the counselor's ratings of the client at the beginning of counseling session. The hypothesis is as follows: The counselor will evaluate the male client more negatively than the female client when the client disclose himself/herself negatively, and the counselor will evaluate the male client more positively than the female client when the client disclose himself/herself positively. Subjects were 80 counselors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conditions ''the male client who disclose himself negatively", "the female client who disclose herself negatively", ''the male client who disclose himself positively", and "the female client who disclose herself positively". The subjects saw one of four video-taped analogue counseling sessions and then evaluated the client. The measures to evaluate the client were Counselor Reaction Form Questionnaire (Howell & Highlen, 1981) which is composed of the attractiveness and the clinical impression about client, and Client Rating Questionnaire (Lee, Barak, & Uhlemann, 1999) which is composed of the overall perception and clinical judgment about client. The experiment was designed by 2(client's self-disclosure style) × (client's sex) and ANOVA and test of simple main effect were applied to analys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who saw male client disclosed himself negatively evaluated the client more negatively in the overall perception and the clinical impression/judgment about client than the subjects who saw female client disclosed herself negatively.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unselor's ratings of client between the subjects who saw male client disclosed himself positively and the subjects who saw female client disclosed herself posi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counselor tend to evaluate the male client more negatively than the female client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unselor's gender stereotype when the client disclose himself/herself negatively at the beginning of counseling s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표목차 = ⅴ 그림목차 = ⅵ 요약 = ⅶ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 문제와 가설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내담자의 자기공개 = 5 1. 자기공개의 정의와 유형 = 5 2. 내담자의 자기공개에 관한 연구들 = 7 B. 성고정관념 = 10 1. 성고정관념의 정의 = 10 2. 성고정관념의 내용 = 11 C. 상담자의 성고정관념과 내담자에 대한 평가 = 14 Ⅲ. 연구 방법 = 20 A. 연구 대상 = 20 B. 도구 = 20 1. 자극 상담 = 20 2. 상담자 반응 양식 질문지 = 22 3. 내담자 평가 질문지 = 23 C. 연구 절차 = 24 D. 자료 분석 = 25 Ⅳ. 연구 결과 = 26 A. 내담자의 자기공개와 성별이 상담자의 내담자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 26 B. 내담자의 자기공개와 성별이 상담자의 내담자에 대한 임상적인 인상에 미치는 영향 = 27 C. 내담자의 자기공개와 성별이 상담자의 내담자에 대한 전반적인 지각에 미치는 영향 = 30 D. 내담자의 자기공개와 성별이 상담자의 내담자에 대한 임상적인 판단에 미치는 영향 = 32 Ⅴ. 논의 = 36 참고문헌 = 41 부록 1. 상담대본 1-내담자의 부정적 자기공개 = 49 상담대본 2-내담자의 긍정적 자기공개 = 53 부록 2. 상담자 반응 양식 질문지 = 58 부록 3. 내담자 평가 질문지 = 60 부록 4. 내담자의 부정적/긍정적 자기공개에 대한 타당도 측정 질문지 = 61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953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내담자-
dc.subject자기공개-
dc.subject성별-
dc.subject상담자-
dc.subject평가-
dc.title내담자의 자기공개와 성별이 상담자의 내담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the client's self-disclosure and sex on the counselor's ratings of the client-
dc.format.pagevii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