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고은 시 연구

Title
고은 시 연구
Other Titles
Images Structure and Ontological Variation of G0-Eun's Poetry
Authors
강현정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고은이미지 구조존재론적 전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은은 1958년 등단한 이래 가장 많은 작품수와 다양한 시 세계의 변용으로 시인의 미학적 자기 조형을 보여주는 시인이다. 끊임없이 변모되어 온 그의 시세계에는 한국 현대시의 자취와 정신사, 다양한 방법적 전개가 모두 내재되어 있다. 허무와 존재 탐구, 독특하고 풍부한 이미지 구사, 개성적인 언어 사용 방식은 한국 현대시의 미학적, 인식적 지평을 확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서정시의 자아가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지향적 운동을 하며 이미지와 형태, 주제를 통일하는 응집의 원리가 된다는 전제 하에서 출발한다. 서정적 자아가 이루어내는 자아의 존재론적 전이와 이에 유기적으로 결합·상응하는 형상화 방식의 미학적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초기 시의 내면 지향의 고립적 자아는 화자 지향의 언술 구조를 동반한다. 동경, 몽상, 슬픔, 좌절 등의 정서에 편향되거나 피안 세계를 희구함으로써 현실의 갈등으로부터 도피하려는 정서적 태도를 보인다. 화자 지향의 언술 구조는 자기 독백이나 한탄, 절규 등의 감정에 편향되며 화자 내면의 정서 표출이 중시된다. 초기 시의 공간은 매개공간의 성격, 여성 상징의 공간, 공간의 고립화의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간성을 응축한 개별 공간으로 무덤과 길, 바다가 반복적으로 제시되는데 이들 공간은 모두가 죽음과 소멸을 완성하는 귀의의 상징이며 근원적 공간이다. 집중된 죽음에의 테마 추구는 방랑의식과 병의 모티프를 끌어 온다. 이 시기 허무의식은 소멸과 죽음에 대한 비극적 인식을 상쇄시킬 수 있는 생동하는 현실 세계가 나타나지 않는 하강적 허무의식이다. 초기 시의 몽상은 현실 기능에 의해 억압받는 몽상으로 본질적인 세계에 대한 영혼의 근원적 탐색을 열어주지 못한다. 향암성과 유동성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독특한 이미지 계열은 흐릿하고 비실체적인 과거를 형상화하며 지금의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과 회한, 절망, 피안계에 대한 지향 등 낭만주의에 지배되는 시인의식의 중심점을 보여준다. 초기 시의 '누이' 이미지는 시인의 상상적 세계로 여성적 죽음에의 몰입은 자연의 소멸과 변전을 지연시키고 낭만적 세계에 편향되도록 자아를 이끈다. 중기 시에서는 대립적 가치들이 통합되면서 새로운 의미 창조의 지평으로 나아간다. 상승적 허무의식이 지닌 응축과 확산의 역동성은 존재의 전이를 가능케 하며, 흩어지고 유동적이고 분산적인 것에서 응축되고 역동적인 이미지로의 이행을 동반한다. 극렬한 해체와 부정을 통해 시 속에 새롭게 구성되는 자아는 <어린이>, <몸>, <신생의 말>의 형태로 제시된다. 초기의 사사적(私事的) 세계는 중기 시에서 공적인 세계로 확장된다. 중기 시는 청자 지향의 언술구조를 보이며 비교적 평이한 구어체를 활용한 수사법과 리듬이 도입되어 시의 의미전달이 용이해 진다. 중기 시의 공간적 특성은 구체적 현실 공간의 등장, 중심공간으로서의 <강물>과 <거리>, 내면 공간으로의 응축을 통해 안과 밖의 세계를 아우르는 공간적 확장이다. 시의 중심 시간은 초월적 시간에 집중된다. 중기 시에서의 '죽음'은 존재의 새로운 전환, 가치의 재구성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통과제의적이다. 이 시기의 허무의식은 자아와 세계의 근원적 회복으로 나아가는 상승적 힘과 역동성을 지닌다. 허무의식은 더욱 철저화되고 현실적 근거들을 확보해 간다. 중기 시에선 자아가 대상을 명징하고 구체적으로 응시한다. 이미지 사용법에선 초기 시가 흩어지고 유동적인 것, 기체화된 것 등 죽음과 결합된 이미지들이 주로 사용되었던 반면 중기 시에선 <황금>, <쇠> 등의 광물적 이미지, 순수응결의 <소금> 이미지, 맵찬 <겨울>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제시되어 자아의 응결성과 견고성을 강조한다. 존재의 전이는 중기 시에서 몸으로의 변용과 신생의 말로 집중된다. 새로운 존재는 <새로 태어난 말>, <어린 목소리>, <잠자면서 자라나는 아이>, <어린스님>, <몸> 등으로 구체화된다. 결론적으로 시인의 초기 시에서 중기 시는 시적 자아가 하강적 허무의식을 극복하고 내면 지향의 고립적 자아에서, 현실 세계의 적극적 내면화를 통해 내적 동일성을 확보해 가는 초자아로 자신의 존재를 전이해 가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본고는 고은 시에 나타나는 존재의 변이와 이미지 구조를 살펴봄으로써 고은의 시가 환기하는 시인의식의 정신적 위상과 미학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고은 시의 인식적, 미학적 지평을 체계화하는 이러한 작업은 시기별, 주제별로 한정되어 온 기존의 연구를 극복하고 한 시인의 시 세계에 대한 좀 더 심화된 해석과 평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덧붙여 동시대 시인들과의 비교를 통해 시사적 범주를 확대하고 고은 시의 후기까지를 포괄하는 후속 작업이 보완될 때 단절된 평가를 극복하고 연구 작업에 완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Go-Eun has shown a poet's aesthetic self-modeling with the most poems and the transformatin of various poems since his appearance in 1958. In his continuously transfigured poem world, the warks and mental history, and various methodological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peotry are immanent. Exploring nihilism and existence, commanding unique and abundant images and using individualistic language has extended the Aesthetic-and epistemological ground of modern Korean poetry. This thesis starts under the premise that self in a lyric makes a relationship-oriented movement with the world and becomes the principle of unifying image, shape and the subject, and it is intended to examin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ontological variation made by lyrical self and organically corresponding figuration methods. Alienated, the inside-oriented self in early poems accompanies narrator-oriented language structure. It also shows that an emotional structure. It also shows that an emotional attitude to escape from conflicts in reality by recollecting the other side of the world and inclining toward emotion like yearning, a dream, sorrow and depression. narrator-oriented language structrue leans to emotion such as a monologue, lamentation, and screaming, and expressing a narrator's inside emotion in emphasized. Special characteristics in early poems are examined putting gravity on the character of mediating space, women- symbolizing space, the alienation of space. The meanings of a tomb, a road, and the sea are analyzed as individual space condensing this space. This space is the symbol of faith completing death and extinction and becomes fundamental space. Concentrated theme pursit of death draws the motive of wandering and a disease. Consciousness of nihil in this period has an descending aspect in that the real world which can offset tragic consciousness toward extinction and death A dream in early poems is the repressed one by reality function, and doesn't open the fundamental search of the spirit. A unique image combining permanency and fludity shows the vague, unrealistic past, and the core of a poet's consciousness such as regret, remorse, prospect, and orientation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world. 'Sister' image in early poems shows the poet's imaginary world. by leaning of feminine death, he intended to concentrate on the romantic world, delaying the extinction and change of nature Poems in middle period, proceed foward the ground of creating new meaning unifying confrontin valye. the dynamic of condensation and expansion, which ascending vanity consciousness has, makes the truth of being possible, and accompanies changes from scattered, fluid, and sporadic ones to condensed and dynamic ones. Self newly composed through extreme dissolution and denical is suggested as , , . The poet's personal world had expanded to the public world. Poems in middle period show listemer-oriented language structure and faciliates the delivery of meaning in a poem by introducing comparatively easy rhetoric and rhythm. Special characteristics of poems in middle period can be defined as special expansion includ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world through condensation into the inside space. Major time of poems in middle period shows concentration on surpassing time. 'Death' in poems in middle period is transitional in that it is oriented to a new transition of being, reconstruction of value. Nihilism in this period has ascending power and dynamic proceeding to the fundamental recovery of self and the world. Poems in middle period secure more thorough and realistic foundations. In poems in middle period, self names an object and gives a specific gaze at it. In image use, combined images such as scattered, fluid and sporadic ones are used in early poems whereas mineral image such as , , purely condensed image such as and image are repetitively suggested and emphasize the condessaiton and solidation of self in middle period's poems. The falsity and truth of being are focused on the transfiguration of the body and the new born word. New beings are specified as , , , , and . As a result, poems from early to middle period show a series of process that peotic self overcomes descending consciousness of nihil and transforms its being from alienated, the inside-oriented self to superego securing inner identity through the positive inner desciption of real world. This thesis is intended to examine the spiritual status and aesthetics ventilated by Go-Eun's poems. The meaning of this thesis can be found at 1. the point trying a general study including the poet's unique thoughts and language use, overcoming the limits of study work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point of view, 2. the point trying to approach 'nihilism', estimated as the poet's core thought, more systematically, 3. the point systematically suggesting the changes and turning point of the poems in early and middle period, by analyzing time and space consciousness, language use method, image structure, the aspects of self, and language structure. The work systemizing the cognitive, aesthetic ground of Go-Eun's poems will make the new translation of a poet's poetry world possible. Additionally, severed evaluation will be overcomed and the completeness of study work will be secured when a contemporary category is expanded through comparring it with other contemporary poets and post work including Go-Eun's poem in late period is suppleme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