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8 Download: 0

島嶼지역 여성의 요실금 경험 과정에 관한 연구

Title
島嶼지역 여성의 요실금 경험 과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Discovering Island Women's Experience of Urinary Incontience
Authors
주민선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Keywords
도서지역여성요실금경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central organizing construct about the experience of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after exploring, describing, and analyzing the experience of urinary incontinence process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the Grounded Theory Method developed by Strauss & Corbin(l990) which is useful in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nd gaining a new perspective in this area. An interview with island women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theoretical sensitivity.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April, 2, 1998 to May, 16, 1998. The sample consist of ten women, who was experiencing of Urinary Incontinenc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The finding indicate that their were 87 kinds of concepts including 'aging', 'delivery', 'powerlessness' and that there were 10 kinds of categories like 'experiencing the change of their body', 'exploring the origin', 'feeling the negative mood', 'being anxious about their problem as a disease', 'perceiving their problem as a discomfort that the medical care isn't required to', 'hiding their problem as private affair', 'searching self-methods to manage their problem in their daily life', 'desiring their problem won't be getting worse', 'feeling at easy after they heard the experiences of other women', 'getting accustomed to their problem spontaneously'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the women who participated this study. The structure that derived from four core categories, these are 'experiencing it as the body change like yoke', 'perceiving the change as a problem by their own way', 'coping with strategies of their own', 'accepting it spontaneously without trouble' is 'living a daily life by being accustomed to their body change'.;우리 나라에서는 1990년대에 경제 성장과 더불어 생활의 여유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요실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요실금은 전 연령층에 있고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여성에게 주목할 만한 건강 문제이며, 남성보다 2∼3배 높은 이환율을 나타내고 있다. 요실금은 대상자 및 가족, 간호 제공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며 관리 영역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도서지역은 의료 시설의 부족과 대상자들의 인식 부족으로 치료가 저조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도서지역 여성의 요실금 경험을 총체적으로 묘사하고, 경험 과정이 어떠한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전인적인 간호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998년 4월 2일부터 5월 16일까지 비지시적, 비구조적 심층면담 및 참여관찰방법, 메모를 통하여 비뇨기과 전문의로부터 요실금을 진단 받은 총 10명의 여성의 참여로 이루어졌다. 연구 분석은 Strauss & Corbin(1990)이 개발한 근거 이론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개념화, 범주화, 핵심 범주화, 그리고 구조순으로 이루어졌고, 87개의 개념과 10개의 범주 '몸의 변화를 경험하기', '근원을 탐색하기', '부정적인 느낌 받기', '병으로 여기고 걱정하기', '치료의 절실함이 없는 불편감으로 인식하기', '나혼자만의 문제로 숨기기', '일상생활에서 관리를 위한 자가방법 찾기', '악화되지 않기를 바라기', '타인의 경험을 듣고, 안도하기', '저절로 몸에 배기'가 도출되었고, 핵심범주로 '멍에스러운 몸의 변화를 경험하기', '변화를 나름대로의 문제로 인식하기', '자신만의 전략으로 대처하기',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로 나타났다. 구조는 '몸의 변화에 익숙해지므로서 일상의 삶을 살아가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간호연구측면 : 본 연구에서는 요실금 여성의 경험에 대해 과정을 서술하고 구조를 파악하였으나 이론개발에까지 도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반복연구를 통해서 이론의 개발 및 관리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참여자의 연령별, 요실금 경험 기간별로 구분하여 경험과정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시지역 거주 여성의 경험과정과도 비교해 보아야 할 것이다. 간호실무측면 : 여성의 요실금이 여성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요실금관리를 위한 간호중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간호교육측면 : 여성의 요실금 자가관리를 증진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