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3 Download: 0

빌립보서의 그리스도 찬가(빌2:6-11)에 대한 연구

Title
빌립보서의 그리스도 찬가(빌2:6-11)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Das) Studium ueber die christliche Hymne (Phil 2, 6-11) in dem Plilipperbrief
Authors
김호경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빌립보서그리스도찬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빌립보 찬가(빌2:6-11)는 초대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그리스도론적 이해를 반영하는 본문이다. 찬가에 나타난 그리스도론적 이해는 고의적 관점, 윤리적 관점, 구원론적 관점 등으로 연구되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윤리적 관점과 구원론적 관점을 비판하면서 찬가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시도하고자 한다. 찬가에 나타난 그리스도를 윤리적으로 보는 관점은 찬가를 유대적 전승과 연결시며, 이들 학자들은 주로 찬가의 문맥으로부터 윤리적인 해석을 끌어낸다. 반면 찬가에 나타난 그리스도를 구원론적으로 보는 관점은 찬가를 헬라적 이방신화의 영향으로 보며, 이들 학자들을 찬가의 문맥보다 찬가 자체의 분석에 주력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관점들의 방법론을 비판하며 각각의 방법론에 결여된 점들을 강화하였고, 특히 사회사적 방법론을 첨가하여 빌립보 공동체원들에게 찬가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찬가에 대한 주석의 결과는 찬가의 그리스도론적 이해가 구원론적이라는 것이다. 찬가는 '하나님의 종'이라는 초대 공동체에 널리 펴진 초기의 그리스도론을 반영한다. 그리고 이러한 그리스도의 사역에 대한 이해는 '낮아짐과 올리워짐'이라는 찬가의 주제에서 잘 드러난다. 찬가는 하나님의 종으로서 죽기까지 복종할 그리스도가 주로 올리워진 사건이 하나님의 구원계획 속에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구원론적인 그리스도 찬가는 설교적 문맥 가운데 놓여있다. 바울은 'εν Xρισγω~.라는 그의 특유의 표현과 함께 찬가를 윤리적인 요구의 근거로 제시한다. 빌립보 공동체는 유대적 율법주의자들의 출현으로 어려움에 처해있었다. 바울은 이러한 상합에 대해, 그들의 적대자들의 주장과 상반되는 빌립보 찬가를 통해서 그리스도인들에게 고난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게한다. 곧 찬가는 그리스도 복음의 구원론적 근거이며, 동시에 고난의 상황 속에서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로써의 행위를 요구하는 근거이다. 그러므로 찬가의 그리스도론을 윤리적인 것으로나, 구원론적인 것으로 양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찬가의 그리스도론이 윤리적이며 구원론적이라는 것을 제시한다.;Phil 2,6-11 ist einer Text, der das christologische Verstaendnis der fruehen christlichen Gemeinde zeigt. Die Gesichtpunkte ueber das christologische Verstaendnis der Hymne sind dogmatisch, ethisch und soteriologisch studiert worden. Die Forscher, die den ethischen Gesichtpunkt behaupten, betonen, dass die Hymne unter dem Einfluss der juedischen Tradition ist. Sie interpretieren die Hymne in dem Verhaeltnis mit anderen Verse des Philipperbriefes. Aber die Forscher, die den soteriologischen Gesicht Punkt behaupten, betonen, dass die Hymne unter dem Einfluss der hellenistischen Erloesung-Mythe ist. Sie interpretieren nur durch die analyse ueber die Hymne. Aber in diesem Artikel kritisiere ich die Grenze des ethischen Gesichtpunkts und des soteriologischen Gesichtpuhkts und ich wollte neues Verstaendnis ueber Phil 2,6ff Hymne durch die Ergaenzung der sociologischen Methode erreichen. Mein Resultat durch die Exegese des Textes ist, dass die Hymne unter dem Einfluss der 'Ebed-Jawe' Tradition ist. Der Titel 'Ebed-Jawe' zeigt das christologische Verstaendnie der fruehen christlischen Gemeinde, und er laesst Christus der Hymne mit dem thema 'Erniedrigung und Erhoehung' soteriologisch verstehen. Und die sociologische Methode ueber die Hymne zeight deutlich, wie Paulus und Philippergemeinde Christus der Hymne verstehen. Die Gemeinde steht gegen den Gegner, der die juedische gesetzliche Vollkommen-heit behaupten. Deshalb stellt Paulus der Gemeinde die Hymne vor, um die Bedeutung des Christentums im Leiden zu erkennen lassen. Christus der Hymne zeigt, welche Bedeutung das Leiden fuer Christian hat und wie Christian das Leiden empfangen sollten. Deshalb kann der Hymne nicht ethische Bedeutung oder soteriologische Bedeutung getrennt werden. Phil 2,6-11 zeigt ethisches und soteriologisches Verstaendnis ueber Christus. Nur dieses Verstaendnis der Hymne verhindert, dass wir die Hymn als bedeutungslosen dogmatischen Worten versteh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