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7 Download: 0

益齊 詠史詩 硏究

Title
益齊 詠史詩 硏究
Other Titles
(The) Study of Ikjae's Young Sa Poetry
Authors
李和淑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익제영사시시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益齋 李 齋賢은 道統文學 입각한 古文倡導의 기수로서 麗末의 새로운 文風을 開進시킨 인물이다. 本硏究는 그의 詩文學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한 試圖로서 詠史詩에 內在된 歷史意識을 고찰하여 益齋文學이 지향한 道의 내용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益齋의 詠史詩에 內在된 역사의식은 사실을 근거로 한 엄격한 도덕주의의 입장에서 역사를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고, 그 판단기준은 「通鑑綱目」에 드러난 朱子의 史觀과 相通하는 것이었다. 또한 그 의식의 수준은 과도기나 도입기의 미숙성으로 간과하기에는 체계의 완벽함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므로 性理學을 載道의 內容으로 하는 麗末의 文學에 있어서 益齋가 詩意의 올바른 역사적 사회적 의의를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비판은 再考될 여지가 있으며, 적어도 영사시에 나타난 역사의식의 측면에서 익재는 성리학에 입각한 올바른 詩意를 표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익재의 일반 史書類에 나타난 史觀은 前者의 입장과는 달리 논리적이고 이상적인 역사의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비논리적이며 현실안주의 의식이 농후하였다. 결국 익재의 영사시가 그의 역사에 대한 이상이 실현되고 있는 것이라면 사서류는 익재의 현실이 강하게 반영된 것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차이는 첫째, 집필태도에서 익재의 史書들이 王命에 의한 官撰史書로서 제약이 있었던 반면, 영사시는 자유로운 마음의 상태에서 지어질 수 있었고, 둘째 집필시기에 있어서 史書들이 익재가 世事에 뜻을 잃었던 末年에 제작된 것인 반면 영사시는 全生涯를 걸쳐 그가 가졌던 역사적 관심이 표현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익재에게 있어서 영상시는 현실을 떠나 이상을 만끽할 수 있었던 정신적 피안처로서 그의 道가 실현된 場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東文選」所載 漢詩를 中心으로 살펴본 詠史詩의 특징은 時代의 전환기에 많이 作詩된다는 시기적인 특성과 작가의식이 다른 漢詩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영사시들 가운데에서 익재 영사시는 그 수량적인 우세와 역사의식의 우수성으로 한국 영사시를 대표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익재 시문학을 연구함에 있어서 영사시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한계가 있으나, 文·史·哲을 함께 했던 익재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영사시의 연구는 그의 성리학적 작가의식을 극명하게 밝혀볼 수 있었다고 하겠다.;Ikjae Yi Je Hyun raised and developed new literary spirit of the end of Korea (高麗) This study is an attempt to understand his literature highly, and I tried to study about the contents of To (道) to which his literature pointed by considering the consciousness of history expressed in Young-Sa Poetry. (which sings historical event) Thus it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consciousness of history expressed in Young Sa Poetry tends to recognize the history moralistically basing on historical fact, and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between his standard of judgement and the historical view of Ju Hee (朱熹) at Tong Gam Gang Mok (通鑑綱目) The level of his consciousness is too perfect in the system to be seen as immaturity of a transitional period. Therefore, in the literature at the end of the Korea, the comment which Ikjae didn't present the historic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the poetical meaning hightly is open to reconsideration. At least he presented the poetical meaning based on confucianistic metaphysics (性理學) highl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onsciousness of history expressed in Young-Sa Poetry. On the other hand, his view of history expressed in other historical books were not logical & had many realistic thought differently from the former position. His Young Sa Poetry realized the ideal about history, while the historical books were reflected the reality strongly. This difference is due to following facts. First, in the attitude of writing, the historical books were restricted because they were made by King's order, while Young Sa Poetry was made in free condition. Second, in the time of writing, the former was made in the last phase of his life when he lost the interest about wordly affairs, while the latter is expressed the historical concern which he had throughout his life. Thus Young Sa Poetry is a field realized To (道 ) as mental shelter in which he left real life and enjoyed ideal. In consiquence of considering the Chinese Poetry of Tong Mun Sun (東文選), Young Sa Poetry was made in a transitional period and expressed the consciousness of writer, in comparison with other poetry. Ikjae's Young Sa Poetry can represent Korean Young Sa Poetry because of excess in quantity & superiority in consciousness of history. Finally, this thesis is studied only Young Sa Poetry but considering about his characteristics which was made by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the study about Young Sa Poetry can reveal his consciousness of writer of confucianistic metaphysics clear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