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6 Download: 0

Ernst Krenek의 'String Quartet, No. 7, Op. 96'에 관한 분석연구

Title
Ernst Krenek의 'String Quartet, No. 7, Op. 96'에 관한 분석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 Study on "E. Krenek's String Quartet No. 7, Op. 96"
Authors
홍성재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Keywords
Ernest KrenekString Quartet분석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세기 초에 무조성(Atonality)의 개념을 조직화한 12음기법은 현대음악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기초적인 이론의 자료로 쓰이고 있다. 12음기법에 대한 열렬한 지지자의 한사람이었던 Ernst Krenek은 1931년 이래로 12음기법에 의한 작품을 쓰기 시작했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String Quartet No. 7, op. 96에서는 그의 뛰어난 음악의 독창성과 Jazz의 리듬기법을 볼 수 있는데, 더욱 중요한 것은 음열기법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생애와 작품들을 살펴 본 후 String Quartet, No. 7의 작곡기법을 분석·연구하였다. 이 곡은 다섯악장으로 되어 있으나 쉬지 않고 계속 연주하도록 지시하므로서 단악장 구조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는 첫째, 전 악장에 걸쳐 거듭 재현되고 있는 일곱 개의 선율적 주제요소( (A) (B) (C) (D) (E) (F) (G) )의 조화있는 구성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으며 둘째, 음열의 사용에서 생각할 수 있고, 셋째, 조성에서 볼 수 있다. 즉, 이곡은 원형음열과 Krenek의 'Rotation의 원칙'에 의해 파생된 음열이 사용되는데, 1·2악장은 원음열, 3·4악장은 파생된 음열, 5악장은 두개의 음열을 부분적으로 교합하므로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 곡은 악장과 형식이 분리되어 있을뿐, 그 내용상의 기본적인 배경은 단악장 구조의 통일요소들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곡은 그의 'Rotation의 원칙'에 의해 분석 (음열과 그 구성음의 활용면에서)했다. 하나의 음열에 연접시켜야 할 음열을 선택하는 것은 그 음열간의 첫음끼리의 음정적인 관계로 볼 때 다음과 같은 규칙적인 결론이 생기게 된다. 이는 음열의 파생된 형식인 원형, 전위형, 역행형, 전위역행형으로 분석해 보면 원형 ↔ 전위형과 역행 ↔ 전위역행형 으로의 상호진행은 완전 1도, 단2도, 장2도, 단3도, 장3도, 완전4도, 증4도로 되지만 같은 음열형에서는 증4도로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전위형 ↔ 전위역행형과 원형 ↔ 역행형은 동음으로만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화성적으로는 이 곡이 12음계법으로 되어 있으나 음열사용을 보면 조성이 나타 나므로 이에 따른 화성분석은 전 악장을 한데 묶어 B장·단조 안에서 다른 조성 영역(region)으로의 변화로서 취급할 것이다. 그가 사용한 양식은 근본적으로 서정성이 짙은 대위적인 선율이며 전체적으로 불협화적인 음의 진행이 많은데 (A)~(G) 요소간의 특징은 음정적인 관계, 주제에 따른 고정박자의 사용, 리듬의 상이성 등에서 나타나고 있다. krenek은 200곡이 넘는 작품을 다양한 양식으로 쓴 호기심이 많은 작곡가이다. 위에 언급한 바있는 'Rotation의 원칙'은 그의 새로운 기법의 가능성에 대한 완벽한 이론으로 일정한 틀에 짜여져 있던 전형적인 12음기법을 오히려 자유롭게 완화시킬 수 있는 관계를 제시해 주고 있다.;The 12-tone technique, as a branch of atonality, is being used as a material of basic theory, to understand modern music, Ernst. Krenek, one of the ardent upholders of the 12-tone technique, began writing works with this technique in 1931. In the "String Quartet No.7, Op.96", analyzed in this thesis, one can find his excellent musical originality, rhythmic technique and, a characteristic usage of the 12-tone seri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lies in an analysis of "String Quartet No.7" in regard to his use of series. This work consists of five movements, but it contains the single-movement form as it directs the continuous performance without interruption. Firstly, we can find the authority of meaning in the harmonious constitution of the 7 melodic elements o f the theme, (A) (B) (C) (D) (E) (F) (G) presented throughout the work. Secondly, we can find it in the use of series and, thirdly in the tonality. The resulting set is made according to his 'principle of rotation'; The original set is used in the 1st and 2nd movements, the derived set in the 3rd and 4th movements and lastly, the combination of the parts of the two sets in the 5th movement And we can find the basic background of the content made of unifying element of a single-movement form except in the division of the movements. Elements considered in the analysis of this work are, the use of his 'principle of rotation'(in the sense of the use of the series and pitch construction). And one can find in this work the number-denoted notes, which may be exchanged by the 'principle of rotation' are used with repetition, substitution, abbreviation and, commonness. Seeing in this a sense of harmony, I assert that this work basically contains tonality since it begins and ends with a fixed key. And I'll treat the analysis of harmony as a transition to another key region in B Major-Minor key by binding the whole composition together. His style is basically contrapunctal lyricism and contains lots of dissonant sounds; the characteristics of (A) (B) (C) (D) (E) (F) (G) appear in the interval structure, in the use of specific meters applied to the themes and in the rhythmic differences of each theme. E. Krenek is a very curious composer who has written over 200 works in various styles; enough for us to divide the periods of the works. 1st period (1921-1923) : Atonality 2nd period (1924-1926) : Neo-classicism 3rd period (1926-1931) : Romanticism 4th period (1931-1956) : 12-tone 5th period (1957- ) : series His 'principle of rotation' provides the relationships or another compositional theory, and gives priority to the musical ideas surpassing other works in the 12-tone techniqu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