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희정-
dc.creator김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8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2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6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212-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의 인간 생활에 있어서 경제 생활은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소비자로서의 기능과 역할은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증대시키는 문제와 깊은 연관이 있게 마련이다. 그동안 경제의 발달과 사회 구조의 급격한 변화는 소비 환경에도 큰 영향을 끼쳐서 소비자 문제가 더욱 복잡, 다양해진 것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소비자가 소비 생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소비자 문제를 자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또한 소비자가 소유하고 있는 자원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소비자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고, 동시에 책임을 다할 수 있는 소비자의 육성, 공정한 경쟁과 효과적인 자극에 의해 경제 제도가 운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좁게는 한 개인이 현명한 소비자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소비자 능력을 개발하고, 넓게는 한 나라의 경제 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소비자 교육이 요청된다고 본다. 소비자 교육은 가치관의 인식, 의사 결정 능력, 비판 의식 및 소비자 시민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강조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능력의 습득은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에서는 교육목표가 수립되고 교육 내용이 설정되어서 피교육자의 수준에 따른 교육이 단계적,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 교육도 학교 교육을 통해서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 교육의 중점이 소비 생활의 기술을 가르치는 데 있는 것이 아니고, 소비자 능력의 양성이라는 인간 교육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소비자 교육은 학교 교육으로서의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에서의 소비자 교육을 경제 교육에 포함되는 하나의 중요한 영역으로서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소비자 교육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소비자 교육의 필요성과 내용을 중심으로 경제 교육과 소비자 교육의 상호 관계를 재규명하고, 한국의 사회과에서 소비자 교육을 살펴봄으로써 민주 시민성을 기르기 위한 소비자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 내용 중의 소비자 교육 내용 모형을 인지적 영역인 소비자 지식과 실천적 영역인 소비자 기능, 정의적 영역인 소비자 가치 · 태도의 3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기본 개념을 정하였다. 이와 같은 소비자 교육 내용 체계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에서 학교 소비자 교육이 강화되어지는 시기라고 할 수 있는 1980년대의 제 4차 교육과정부터 현재의 제 6차 교육과정까지의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 ·검토해 보았다. 교과서 분석은 우선 각 교육과정의 성격들을 알아본 후 각 교과서에 나타난 소비에 관한 내용들이 분석의 기준으로 제시한 소비자 교육의 주요개념과 얼마나 부합되고 있는지 살펴 보고, 전체 사회과 교육에서 소비자 교육 내용에 있어서의 연계성과 비중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내용 설명에 있어서의 특징과 용어, 자료 이용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갈다. 첫째, 제 4차 교육과정기부터 제 6차 교육과정기까지의 소비자 교육이 사회과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았다. 개인이 자신의 생활을 어떻게 준비하고 영위하는가에 대한 영역인 소비 분야의 비중이 이처럼 낮은 것은 개인의 경제적 역할과 태도를 지나치게 경시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분석 기준에서 설정한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소비자 교육에 관한 내용을 살펴 보았을 에 주요 개념들이 골고루 다루어지지 않았고 특히 소비자 지식에 관한 내용이 다른 두 영역에 비해 현격히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4 · 5 · 6차 교육과 정기의 소비자 교육을 비교해 보았을 때 4 · 5차에 비해 6차 교육과정기의 소비자 교육의 내용에서 소비자 기능, 소비자 가치 ·태도 영역의 비중이 늘어났다. 또한 소비자 교육에 관한 주요 개념들이 학년간에 골고루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학교급별로 체계화되어 있지 않고 중복되거나 격차를 보인 개념들이 나타나고 있어 소비자 교육의 내용이 학습자의 흥미나 능력 그리고 경제적인 인지구조의 발달수준과의 연계성 측면에서는 잘 부합되지 못했다. 세째, 사회과 교과서가 목표한 바를 효율적으로 전달하지 위해서 사용한 시각적 자료는 현장 수업에 있어서 학생들로 하여금 경제에 관한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학습 보조 자료가 제시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학교 경제 교육에서의 소비자 교육 내용은 학생들의 발달수준에 맞고 또한 그 내용이 각 학교급별 교육목표에 부합하도록 재구성, 재조직할 필요가 있다. 이에 소비자 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교육은 소비와 관련된 경제 생활의 기본 원리에 대한 이해와 소양을 기초로 사고하는 방법, 선택하는 방법, 고리고 판단하는 방법을 가르치는데 그 주된 목표를 두어야 한다. 둘째, 사회과 교육에서 소비자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져야 한다. 세째, 지나치게 강조된 소비자 지식은 오히려 이론적인 면에 치우치게 되므로 실질적인 영역인 소비자 기능과 정의적인 영역인 소비자 가치 ·태도에 관련된 내용이 균형있게 조화되어야 한다. 또한 균형있게 선정된 소비자 교육 내용들이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학년을 올라가면서 심화 ·확대되어 학교급별 연계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네째, 소비자 교육 관련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 보급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소비자 교육은 민주시민으로서 합리적인 소비 결정을 하기 위한 궁극적 목적에 입각한 과정별 교육이 되어야 한다.;Nowaday Korean economic society is experiencing various changes in relation to its member's daily life as a consumer. As now and diverse commodities and services appear, advertisement overflows, precise information is not so easy to collect, and instead becomes more difficult. Purchase of things by a sole, individual student increase and their behavior as a consumer becomes significant. Instead, their senses of consumption and attitude toward a good consumer have many problems. It is deemed that when the student's view of value, awarences and habits as a consumer do not form in good shape, our society in the future will have more difficulties since students are not only consumers now but also the subject of consumption in the future. Nevertheless, it has been so poor that schools suggest some concrete plans which are practical and fundamental in improving the contents of school's consum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establish the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program in social studies, and is to collect basic, systematic data regarding consumer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on the 4th · 5th · 6th curriculum. To achieve those goals, I analyzed and examined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from the 4th curriculum to the 6th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I first studied the character of each course. And I studi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equences of the basic concept. The consumer education is an overall education of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inalienable basic human rights and daily lifes, so the scope it has to deal with is very wide and the way scholars classify this field is different from one another. Considering scholars various ideas in the light of social studies' goal of training democratic citizens, I have classified the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into three domain. These three domains are 1) consumer's knowledge as a cognitive domain 2) consumer's skill as a practical domain, and 3) consumer's value and attitude as a domain of friendly feelings. And I chose the basic concepts for each domain. That is, consumer's knowledge was classified into eight basic concepts; consumer's skill was classified into four basic concepts; consumer's value and attitude was classified into two basic concepts. A total of these fourteen basic concepts was incorporated into the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With the help of the content system of consumer education I analyzed, I have found some characteristic of consumer education in social studies. First, the portion of consumer education from the 4th to 6th curriculum is very low. Consumer education was rated 3.91, 5.6%, 8.5% in the 4th, 5th and 6th curriculums. This shows that consumer education in social studies has not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part. Second, the ordering of the rates of topics of each domain that attracted importance was 1) the domains of consumer's knowledge 2) the domains of consumer's skill 3) the domains of consumer's value and attitude . The domains of consumer's knowledge was quantitatively emphasized, compared to other two domains. Third, the consumer education in the 6th curriculun is outstandingly progressed, especially, the domain of consumer's skill and value · attitude have appeared compared with the 4th and 5th educational course. From these findings, I suggest some tasks which consumer education should solve to understand the consumer education and to organize the content of consumer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s follows. First, the portion of consumer education in social studies should be elevated. Second, the main concepts of consumer education should be equally distributed, that is, the domain of consumer's skill and value + attitude should be balanced in harmony. Third, according to the students' intelligence, the proper concepts have to be presented. Fourth, we can use some materials such as graphs and statistical charts. They might help us express the complicated contents simple. Finally, the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should not be confined to small areas such as saving and thrift, but be enlarged to wide areas where consumer's right and justice are perceived. That is, an ultimate goal of training democratic citizens to make a rational consumption decision should be achieved in consumer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경제 교육의 성격 및 사회과 교육과의 관계 = 6 B. 경제교육에 있어서의 소비자 교육의 중요성 = 11 1. 소비자 교육의 개념 및 의의 = 11 2. 경제 교육에서의 소비자 교육의 목표와 내용 = 16 3. 소비자 교육 교육과정 구성상의 연계성 = 28 Ⅲ. 소비자교육에 관한 내용분석 = 32 A. 분석기준 및 분석방법 = 32 1. 분석의 틀 = 32 2. 분석기준 및 분석방법 = 35 B. 각 교육과정기의 소비자 교육 내용 분석 = 40 1. 제 4차 교육과정기의 소비자교육 = 40 2. 제 5차 교육과정기의 소비자교육 = 51 3. 제 6차 교육과정기의 소비자 교육 = 67 Ⅳ. 결론 및 제언 = 78 참고문헌 = 87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304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사회과-
dc.subject소비자 교육-
dc.subject교과서-
dc.subject교육과정기-
dc.title사회과 소비자 교육의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제4·5·6차 교육과정기 초,중,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tical Study on the Consumer Education in Social Studies-
dc.format.pageviii, 9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