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0 Download: 0

취업모의 격리불안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Title
취업모의 격리불안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Variables Employed Mothers' Separated-Anxiety
Authors
이영미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취업모격리불안변인 분석Employed Mother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separate anxiety of employed mothers. It is to investigate the correalations between the separate anxiety of employed mother and the employed mother's personal variables, child's variables, day care center's quality perceived by employed mother. For the above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eparate anxiety of employed mother according to h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eparate anxiety of employed mother according to her child's age, sex, and birth order? 3. Is there any ealations between the separate anxiety of employed mother and day care center's quality perceived by her? 4. What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among the day care center's quality subscale perceived by employed mother that influences her separate anxie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8 employed mothers who send their children to 16 other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the separate anxiety of employed mother, evaluation of day care center's quality, background of the mother and the child. Based on the measured data,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correlation have been gained using th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ful-reg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parate anxiety of employed mother according to her personal background had some difference in 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The mothers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had more separate anxiety. And according to the occupation, the mothers who are employed to administration work had the highest separate anxiety, followed by official work and service/sales work. Second, the separate anxiety of employed mother according to her child's background had some difference in the child's age. The mothers with children under 3-years had higher separate anxiety than the mothers with children over 3-year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the child's sex and birth order. Third, the separate anxiety of employed mother and day care center's quality perceived by her had negative(-) correalations. The higher the day care center's quality was, the lower the separate anxiety was. Forth, the most infuluence among the day care center's quality perceived by employed mother that influences her separate anxiety was the educational domain. The next factor was the physical aspect. But the phycological domain, the environmental domain, and the social aspect had no correlations. Through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variables of the separate anxiety of employed mother. The employed mother's personal variables. and the child's variables had some correlations. And the day care center's quality had some correlations. The separate anxiety becomes lower when day care center's quality becomes higher. And also the most effective factor that influences the separate anxiety was educational domain.;본 연구에서는 탁아로 인한 취업모의 격리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해보고자 취업모의 개인적인 변인과 자녀의 변인과 격리불안과의 관계 그리고 취업모가 지각한 탁아의 질과 취업모의 격리불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려는 것으로 취업모를 위한 양질의 탁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탁아의 사회 정책적 지원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취업모의 격리불안은 어떠한가? 1-1. 취업모의 격리불안이 취업모의 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취업모의 격리불안이 자녀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취업모의 격리불안과 취업모가 인식하는 탁아의 질은 상관이 있는가? 3. 취업모가 인식한 탁아의 질의 하위 차원 중에서 어느 요인이 취업모의 격리불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선정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16곳의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취업모 318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질문지를 사용하여 어머니의 격리불안, 탁아기관의 질에 대한 평가, 어머니와 자녀에 대한 배경 등을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One-way ANOVA, t-검증, 단순상관계수, 중다회귀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개인 배경특성에 따른 격리불안은 취업모의 학력과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학력이 높을수록 격리불안은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에 따라서는 관리직 취업모들이 가장 높은 격리불안을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사무직, 판매/서비스직의 순서였다. 그러나 취업모의 나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취업모 자녀의 배경특성에 따른 격리불안의 수준은 자녀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3세미만의 자녀를 둔 취업모들이 3세이상의 자녀를 둔 취업모보다 격리불안의 수준이 높았다. 그러나 자녀의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탁아의 질과 격리불안간에는 모두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탁아의 질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취업모의 격리불안은 낮게 나타났다. 탁아의 질과 격리불안간에는 유사한 정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탁아의 질 인식의 하위 다섯 차원 중에서 교육적 차원이 가장 영향력이 있었고 그 다음이 물리적 차원이 영향력이 있다. 그러나 심리적 차원, 환경적 차원, 사회적 차원의 경우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나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의 고찰을 통해 본 연구는 취업모의 배경과 취업모 자녀의 배경을 통해 탁아로 인하여 일어나는 취업모 격리불안의 변인을 분석해보았다. 취업모의 사회 문화적인 배경에 의하여 격리불안의 수준은 달라지며 취업모가 인식하는 탁아의 질이 취업모의 격리불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즉, 양질의 탁아를 경험할수록 취업모의 격리불안은 줄어듦을 알 수 있었으며, 탁아의 질의 다섯 차원 중 격리불안에 보다 중요하게 영향을 주는 차원은 교육적, 물리적 차원임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