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4 Download: 0

완벽주의와 자기-감시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Title
완벽주의와 자기-감시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erfectionism and Self-monitoring on Anxiety
Authors
박주영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완벽주의자기감시불안심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완벽주의 경향성 및 자기-감시 경향성이 불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나아가 불안의 종류에 따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적 변인인 완벽 주의 경향성과 자기-감시 경향성간의 관계를 밝혀보려고 하였다. 본 연구는 104명의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완벽주의 경향성의 측정 도구로는 한기연(1993)이 번역, 요인분석하고 홍혜영 (1995)이 재요인분석한 Hewitt과 Flett(1991)의 MP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을 사용하였다. 자기-감시 경향성의 측정도구로는 Snyder(1974)가 제작, 요인분석 하였고 우리나라에서 김상기(1992)가 번역하여 요인분석한 SMS (Self-Monitoring Scale)을 사용하였다. 불안 수준의 측정도구로는 Spielberger등이 제작하였고 박외숙(1980)이 번역하여 사용했던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반적인 완벽주의 경향성 및 하위요인들 그리고 상태 및 특성불안의 수준은 여자 대학생들의 학년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다. 2. 자기-감시 경향성이 낮은 집단이 자기-감시 경향성이 높은 집단보다 특성불안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태불안 대해서는 두 집단간의 차이가 없었다. 3. 자기지향적인 완벽주의가 상태불안과 정적인 상관(r=.25)을 보임으로써 자기지향적인 완벽주의가 강할수록 상태불안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타인지향적 완벽주의(r=.34), 완벽주의 총점(r=.26)은 특성불안과 정적인 상관을 보임으로써 타인지향적 완벽주의, 완벽주의 총점이 높을수록 특성불안을 더욱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자기-감시 경향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완벽주의 하위요인과 총점이 상태불안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타인지향적인 완벽주의와 총점은 특성불안과 정적인 상관(r=.41)을 나타냈다. 이로써 자기-감시 경향성이 높은 사람들은 완벽주의 총점이 높고 타인지향적인 완벽주의가 강할수록 특성불안을 더 느낀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자기-감시 경향성이 낮은 집단의 경우 자기지향적인 완벽주의와 상태불안간에 정적인 상관관계(r=.37)가 있었으며 완벽주의 총점(r=.39)과 타인지향적인 완벽주의(r=.41)가 특성불안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로써 자기-감시 경향성이 낮은 사람들은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강할수록 상태불안이 높고, 완벽주의 총점이 높고 타인지향적인 완벽주의가 강할수록 특성불안을 더 느낀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5. 자기지향적인 완벽주의가 상태불안에 대해(4.9%), 그리고 타인지향적 완벽주의(12.7%)와 자기-감시 경향성(10.7%)이 특성불안에 대해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The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tic dispositon, self-monitoring disposition and anxiety,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disposition and self-monitoring disposition which effect on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university students female 104. The measurement for perfectionism wa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constructed by Hewitt and Flett(1991), translated and processed by factor-analysis by Kiyeon Han(1993), reprocessed by factor-analysis by Hyeyoung Hong(1996). The measurement for self-monitoring disposition was Self-monitoring Scale(SMS) constructed and processed by factor analysis by Snyder(1974), translated and processed by factor-analysis by Sangki Kim in Korea(1992). The measurement for measuring level of two kinds of anxiety wa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developed by Spielberger(l964) and translated and used by Oeesook Park(1980).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by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1. Each levels of state, trait anxiety on total perfectionistic disposition and its subfactors were not different in grade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2. Low-self monitors were appeared to feel trait anxiety more than high-self monitors. 3.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tate anxiety, so it was suggested that the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was, the higher state anxiety was. And other-oriented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rait anxiety so, the higher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total perfectionism was, the higher trait anxiety was. 4. In case of high-self monitors,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total perfectionis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rait anxiety. In case of low-self monitors,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oriented perfectonism and state anxiety, and total perfectionism and toher-oriented perfectionis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rait anxiety. 5. Self-oriented perfectionism was the strongest perdictor of state anxiety and other-oriented perfectionism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trait anxie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ind the facts that the relations of total perfectionism and its subfactors on strait, trait anxiety and the relations of self-monitoring dispoition on state, trait anxiety. Also we find some predictors of subfactors of perfectionism and self -monitoring disposition on strait, trait anx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