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3 Download: 0

청소년의 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청소년의 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Adolescent Violence
Authors
최자은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청소년폭력사회복지Violenc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2,3년 사이 학교내외에서 발생하는 청소년 폭력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한 연구들을 보면 청소년 폭력이 아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행위의 주체 또한 비행청소년들 뿐 아니라 일반청소년들로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청소년들의 행동이 자극, 강화 및 인지적 통제하에서 학습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해 본다면 폭력행동 또한 이를 주위에서 관찰하거나 직접 당해본 경험이 많을수록 타인에게 폭력을 많이 행사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청소년들의 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정, 학교, 친구집단, 대중매체를 통해 학습되는 폭력은 이들의 폭력행동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 즉 부모, 교사의 폭력적 훈육, 친구집단을 통한 폭력피해,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폭력경험들이 많을수록 청소년들이 폭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가해행동을 많이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 교사의 폭력적 훈육, 친구집단을 통해 경험한 폭력피해, 대중매체를 통한 폭력경험, 청소년들의 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 정도를 살펴보며 부모, 교사, 친구집단, 대중매체를 통한 폭력의 학습과 청소년들의 태도와 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 변수들의 태도와 행동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 폭력문제에 대해 보다 근본적인 접근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에 재학중인 2학년 남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서울을 방위상 5개 지역으로 나누어 각 지역마다 한 학교씩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또한 각 학교마다 2학년 학급 중 한 학급을 선정, 집단식 면접방법으로 응답자가 설문지에 직접 기입하도록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이춘화 (1995), 연진영(1992), 김준호(1997) 등이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중학생 20명을 대상으로 1997년 10월 16, 17일에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본조사는 1997년 11월 3일에서 15일까지 실시되었으며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2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PC를 이용하여 Cronbach's α, 기술적 통계, 단순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다단계 다중회귀분석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모, 교사, 친구집단, 대중매체를 통한 폭력의 학습은 모두 대상자들의 폭력에 대한 태도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상자들은 주요 생활영역에서 폭력학습의 경험을 많이 할수록 폭력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부모의 신체적 폭력(r=.158, p<.05), 교사의 신체적 폭력(r=.294, p<.01), 대중매체의 신체적 폭력(r=.194, p<.01)과 언어적 폭력(r=.188, p<.01)이 폭력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각 변수들의 태도에 대한 설명력을 검증하기 위해 다단계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한 결과 교사의 신체적 폭력(Beta=.276, p<.01)과 대중매체의 신체적 폭력 (Beta=.225, p<.05)이 대상자의 폭력에 대한 태도에 큰 영향력을 끼쳤다. 2. 부모의 신체적 폭력(r=.253, p<.001) 언어적 폭력(r=.222, p<.01), 교사의 신체적 폭력(r=.418, p<.001)과 언어적 폭력(r=.277, p<.001), 친구집단을 통한 폭력피해경험(r=.171, p<.05), 대중매체의 신체적 폭력(r=.349, p<.001), 언어적 폭력 (r=.325, p<.001) 모두 대상자들의 폭력행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특히 교사의 신체적 폭력, 대중매체의 신체적 폭력과 언어적 폭력은 다른 변수들에 비해 r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김준호(1997)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그리고 각 변수들이 폭력행동에 대해 갖는 설명력을 다단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교사의 신체적 폭력(Beta=.283, p<.01)이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들의 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동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r값은 .446(p<.001)로 나타났다. 이는 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동이 독립변수들과 각각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동시에 이 두 변수 사이에서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춘화(1995)의 연구결과와도 비슷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주요생활환경에서 학습되는 폭력이 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동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교사와 대중매체의 신체적 폭력이 청소년들의 태도와 행동에 대해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러한 폭력의 학습이 태도와 같은 인지적 측면보다 타인에게 직접적인 해를 끼치는 폭력행동과 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가지며 영향력 또한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점들을 통해 청소년 폭력문제해결에 있어서 청소년 개인적 측면 뿐 아니라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접근방법을 모색해야만 함을 알 수 있다.;Violence in schools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of society in recent 2,3 years. According to other study, there are many forms of violence and it has been wide ranged that violence has been committed by general students as well as juvenile delinquent. This study developed a theoritical concept in terms of the social learnig theory with stimulus, reinforcement, and cognitive management. In that, students who have been experienced or observed violent disciplinary practices tend to more easily forming aggressive behavior. Especially the violent discipine using violence with their living condition factors contributes to approval of violence. In sum, the parent's and teacher's violent disciplinary pratices, victimization by friends, aggression by mediating factors, which contribute to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violence that might be likely to conduct into another involvement of violence. This study in of primary importance to study the mechanism that is involved in causing violent behaviors, and tries to analyze the effect and examine relation of the parent's and teacher's disciplinary practices, victimization by friends, aggression by mediating factors,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violence. For that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of the second year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in Seoul. The procedure for sampling respondents the multiple stratified sampling method, which grouped Seoul into five districts and random sampled a school each. Every school selected a class from second year classes, and respondents directly made up questionary in group interview. Lee Chun-Wha(l995), Yeon Jin-Young(l992), and Kim Jun-Ho(l997)'s instrumentation modified and complemented are used. The middle school 20 students paritcipated in pre-test in 16, 17 Ocotber, 1997 and survey was practiced from 3 to 15 November. The data for statistics for analysis were 202. The SPSSAMN PC was used to perform all necessary computations. Descriptives, Pearson's correlation, and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survey showed that the learning of violence from parents, teachers, friends, and media is linked to the attitude toward violence. Students who have been experienced violent disciplinary practices tend to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violence. In particulary, physical violence from parents(r=.l58, p<.05), physical violence from teachers(r=.294, p<.011, physical violence from media(r=.l94, p<.01>, and verbal violence from media(r=l88, p<.01) related to the attitude toward violence. The result using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o examine attitude toword violence show the physical violence of teacher(Beta=.276, p<.01) and media(Beta=.225, p<.05) contributed to the attitude toward violence. 2. Physical violence(r=.253, p<.00l) and verbal violence(r=.222, p<.01) from parents, physical violence(r=.418, p<.00l) and verbal violence(r=.277, p<.00l) from teachers, victimization by friends(r=.l71, p<.05), and physical violence(r=349, p<.00l) and verbal violence(r=325, p<.001) from media were related to the violent behavior. Physical violece from teachers and physialcal violence and verbal violence from media were higher than the other things, which is in accord with Kim Jun-Ho(lW7)'s study. The result using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o examine the violent behavior show that physical violence from teachers(Beta=.286, p<.01) is powerful. 3. The relation of the attitude to the behavior toward violence were by r=.446(p<.00l). According to the data, we fi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and the behavior is brought closer together and is linked to other variables. These result is alike to Lee Chun-Wha(l995)'s study. On basis of the main resul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violence might come from student's living condition factors, especially physical violence from their teachers and media. Besides,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se learning of violence is essentially based on the violent behavior which victimization is directly occured rather than attitude. In that, it seems important to find the establishment of particular treatment programs and services systems, which must have a central position in the environments as well as the person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