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여성의 외모 관리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Title
여성의 외모 관리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Other Titles
(A) Feminst study on Women's Practices to Have Slender, Beautiful Bodies : With a Focus on the 'Diet' Experiences
Authors
한설아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여성외모 관리여성주의다이어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10년동안 여성의 외모 관리 합법으로 급속하게 부각되고 있는 여성들의 다이어트 실천이 변화하는 성별 권력 관계의 정치학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 여성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탐구해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 상승을 선언하는 담론들이 팽배한 1990년대 후반의 상황에서 점차 여성들의 외모가 사회적 권력으로서의 의미를 공고히하고, 여성의 삶에서 외모 관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확대되는 현상에 대해 여성학적 관점에서 설명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몸에 대한 규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 실천을 통해 여성의 몸과 욕망이라는 가장 '개인화'된 영역에서 가부장적 권력이 어떠한 방식으로 강화되진 재생산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여성의 외모 관리의 문제를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본능이나, 단순한 건강 관리의 차원으로 탈정치화시키려는 모든 담론들에 도전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상징 자본으로서의 외모의 의미가 극대화되는 20대 이하의 여성들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경험을 심층 면접기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이와 함께 연구자의 다이어트 산업 참여 경험과, PC통신에 올라온 여성들의 다이어트 경험, 그리고 각종 출판, 영상 매체의 자료를 보조자료로서 참고 하였다.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이어트라는 외모 관리에 대한 여성들의 욕망은 성, 노동, 가족 등의 제도와 사회적 담론들에 의하여 정상화된 남성적 시선의 내면화를 통하여 구성된다. 둘째, 이러한 이성적 외모에 대한 여성의 욕망은 과학/의학 담론에 의해 정상화되고 소비 자본주의에 의해 하나의 소비 욕망으로 전화된다. 셋째, 본격적인 다이어트 경험이 결과하는 자아와 일상의 재조직속에서 여성들은 외모 관리에 길들여지고 몸의 상태에 따라 조율되는 독특한 주체성을 획득한다. 넷째, 이렇게 다이어트 경험을 통하여 여성들이 독특한 몸-주체(feminine body-subject)로 구성됨에 따라 외모의 권력과 자본으로서의 의미는 여성 스스로에 의해 적극적으로 긍정적으로 여성을 육체적 존재로 환원함으로써 강화되는 성별 권력 관계는 보다 정교한 방식으로 재생산된다. 그러므로 여성들이 다이어트를 비롯한 외모 관리 실천을 점차 중요한 삶의 양식으로 간주하고 하나의 사회적 권력으로 인지하는 현상을 여성 권력의 실질적인 증가로 간주해서는 안될 것이다.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이러한 현상은 첫째, 1990년대 들어 전반적인 여성 의식의 고양과 여성 운동의 대중화로 인해 증대된 자아 실현과 사회적 권력에 대한 여성의 욕구와 에너지가 철저하게 '개인화'된 '외모관리'의 영역으로 집중됨으로써 소모되고, 둘째, 이러한 과정에서 이성애제도를 비롯한 가부장제의 결정적 토대인 성별화된 몸(genderd body)이 여성들 스스로의 실천에 의해 재생산되는 가부장적 권력의 현대화로 이해되어야할 것이다.;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minist implication of women's practices to have slender, beautiful bodies, especially 'diet' that has been generalized among women during this 10 years. In doing so,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phenomenon that gradually women's beauty has been regarded as social 'power', and disciplinary practices for this beauty becomes important more and more in the women's lives at the times when the discourses declaring women's liberation are universalized. And examining how gendered relations of power are reproduced and consolidated in the 'most privatized' area, namely women's desire and body, this study is to challenge all the discourses that depoliticize the effect of women's disciplinary practices for beauty into the matter of women's instinct for beauty or health care. The main research techniques used for this study is depth-interview of women under the age of 30 whose beautiful bodies are considered as the greatest social symbolic capital. And as supplementary material, this study referred researcher's own experience having participated in the diet industry, women's writing about diet experiences on personal computer network, and the materials dealing with related issues in printing and visual medi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men's desire for the diet to have slender, 'beautiful' bodies is constructed through internalization of male gaze that is normalized by social discourses and such institutions as heterosexuality, labor market, family and the mass media. Second, this desire for ideal body is normalized by scientific/medical discourse that justify women's diet for beauty as simple health care, and is converted into desire to consume the diet commodities by mechanism of consumer capitalism. Third, as a disciplinary practice of diet have women's self and every day lives reorganized, women gets peculiar subjectivity controlled by body's state, concretely speaking, the degree of directing their own hunger and appetite, and weight variation. Finally, as women is constructed into feminine body-subject in this disciplinary practices, they voluntarily accept the social power of women's beauty. As a result, gendered relations of Power that have been consolidated by reducing women to physical being are reproduced more elaborate ways. Therefore, this study is to maintain that despite women consider practices for beauty as central ways of life and as ways of achieving social power, it should pit be regarded as real empowerment of women. Rather it should be understood as modernization of patriarchal power. That is, women's desire and energy for self improvement and social power generated by feminist discourses and women's movement is concentrated on and exhausted in the counterproductive practice for beauty. And paradoxically, gendered body as the base of production of patriarchy is reproduced by women's own practi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