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교사의 일과 은퇴에 대한 태도 연구

Title
교사의 일과 은퇴에 대한 태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TTITUDE TOWARDS WORK AND RETIREMENT : COMPARING MALE AND FEMALE TEACHERS
Authors
호정화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교사은퇴태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an industrialized society, retirement is the transitional point between middle and old age, and one of the biggest life event experienced entering into senescence. So adaptation to the retirement is important for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The adaptation process to retirement would be easy if one's attitude towards retirement is positive. The attitude towards work is an important factor forming the attitude towards retirement. Retirement means the stoppage of work and its related activities. If one attatches great importance to work, his/her attitude toward retirement would become nevative. Women's work attitude has been regarded negatively and secondarily comparing to men's. Thus women have been supposed not to undergone serious life transition and adaptation problem as men do. But work outside the home can become central life interest to women, and old working women have been shown to anticipate various retirement problems. So women's work and retirement must be central research issue of social geront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ttitude toward work and its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retirement comparing male and female teachers. Many other variables except the work domain ha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retirement. And the influence may be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So the difference between major variables between sex also has been analyzed. The attitude toward work is composed of 4 categories; work commitment, job satisfaction, worker role conflict, and interest on promotion. The attitude toward retirement scale consists of 20 items expressing the life after retirment. The background varialbes is composed of 2 categories; individual/attitudinal and famiry/social-activity. The sample for the study was 339 teacher(l78 male, 161 female) 50-64 years old. As a research method, questionary survey was conducted.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women's work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s higher than men's. Work is the main source of self-identity and satisfaction for women. Women feel worker role conflict more seriously than men. The interest to promotion is same between sex. The variables affecting work attitude are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The intimacy between famil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women's work attitude. Men's work attitude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econd, the attitude toward retirement is favorable both men and women, and women's is more favorable than men. Third, the attitude toward work has effect only on women's attitude toward retirement. Work commitment and interest to promotion affect significantly to retirement attitude; if the work commitment and interest to promotion are high, women form negative attitude towardss retiremnt. Men's retirement attitude is not influence by work attitude. The difference between sex is due to the importance of work in middle age. Men distribute his energy and interest concentrated on work to other life domain life leisure and family. So the meaning of retirement doesn't connected with work. But, in middle age, women are got freed from the family obligations and start to seek personal succees in job area. The meaning of retirment is connected with work and can be seen as an interruption to her career. Forth, the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 the attitude towardss retirement are differenc between sex. Men's retirement attitude is affected by the expect of economic situation and the degree of economic preparation after retirment, attitude towardss leisure and sex-role attitude. If his expectation to the economic situation is favorable, the degree of preparation was high, leisure attitude is favorable, his attitude towardss retirment become positive. But if he has the traditional sex-role attitude, retirement become negativellly. In case of women, the retirement attitude is affected by the degree of economic preparation after retirement, the intimacy between family, the number of leisure after retirement. The work attitude is also important factor shaping the retirement attitude. If the economic preparation is concrete, the family relationship is intimate and one has many leisure activities avairable after retirement, the attitude towards retirement become positive. This sex difference in factors affecting retirement attitude is due to the different life condition between men and women. So the meaning of retirement becomes also differnt. The research on retirement must take into account the sex differenc as an important factor and retirement program must be specialized between sex.;한국 사회는 노인 인구의 증가와 기대 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급속히 노령화되고 있으며 노년기의 삶의 질은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주된 관심사가 되었다. 산업사회에서 노년기는 은퇴와 함께 시작되며 은퇴에 대한 성공적인 적응은 노년기의 삶의 질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많은 연구 결과 은퇴 전에 은퇴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지닐수록 은퇴 후의 적응은 수월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에 대한 태도 형성에 있어서 일에 대한 태도는 중요한 기반으로 작용한다. 개인의 삶에서 일이 지니는 의미와 중요성이 클수록 일의 중단을 의미하는 은퇴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이 되는 것이다. 일과 은퇴의 의미는 성에 따라 달리 가정된다. 여성의 경우 일은 삶에서 부차적인 중요성만을 지니는 것으로 여겨지며, 은퇴로 인한 변화와 상실을 남성보다 적게 경험할 것이라는 가정이 존재한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일은 여성의 삶에서도 다른 영역으로 대체될 수 없는 중요성과 의미를 지니며, 은퇴로 인한 일 역할의 상실은 심각한 적응의 문제를 낳게 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의 일과 은퇴에 관한 실제적인 논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의식을 기반으로 하여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일에 대한 태도가 은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일 이외의 다른 개인적·심리적 변인과 가족·사회 활동 변인이 은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50세 이상, 64세 이하의 초·중·고등학교 교사로 한정하였다. 조사 방법은 설문지법을 택하였으며, 9월 15일부터 10월 3일까지 18일간에 걸쳐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430부를 배부하였으며 총 33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일에 대한 태도는 일에 대한 헌신도와 직업 만족도, 직업인 역할 갈등도와 승진에 대한 관심도로 측정하였다. 남녀 모두 일에 대한 높은 헌신도를 나타내었으며 보통 정도의 만족도를 지니고 있었다. 직업인 역할 수행으로 인한 역할 갈등은 별로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승진에 대한 관심 정도는 높지 않았다. 일에 대한 태도에 있어 남녀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가정과는 반대로 여성이 남성보다 일에 대하여 높은 헌신도를 지니고 있었으며 자신의 직업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 갈등의 정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승진에 대한 관심 정도는 남녀간에 차이가 없었다. 은퇴에 대해서는 조사 대상자 모두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여성의 은퇴에 대한 태도가 남성보다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차이는 다른 변인들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은퇴에 대한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은 성에 따라 차이가 났다. 남성의 경우는 은퇴 후의 경제 사정에 대한 예측과 생계 계획 정도, 성역할 태도, 그리고 여가에 대한 태도가 은퇴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은퇴 후의 예상되는 경제 사정이 긍정적일수록, 생계 계획이 구체적으로 서 있을수록, 여가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닐수록 은퇴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 되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를 내면화할수록 은퇴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이 되었다. 여성의 경우는 직위와 은퇴 후의 생계 계획 정도, 가족 친밀도와 은퇴 후에도 즐길 수 있는 여가의 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위가 높을수록, 은퇴 후의 생계 계획이 구체적으로 서 있을수록 은퇴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 되었다. 또한 가족과의 관계가 친밀할수록, 은퇴 후 즐길 수 있는 여가의 수가 많을수록 은퇴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게 된다. 일에 대한 태도는 여성의 경우에만 은퇴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일에 대한 헌신이 높을수록, 승진에 대한 관심 정도가 높을수록 은퇴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이 되었다. 이는 기존의 이론적 가정과 일치하는 것으로 일이 개인의 삶에서 자아 정체감과 만족의 중요한 기반이 되고, 직업 영역에서 성취되지 못한 목표가 있을수록 은퇴는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남성의 경우 일에 대한 태도는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가 지니는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에 대한 태도는 여성의 경우에만 은퇴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 사회에서 남성의 경우 일과 은퇴에 대한 태도의 관련성에 관한 가정은 지지되지 못하였다. 이는 남성의 일 역할의 상실이라는 심리적 측면보다, 은퇴 후 경제와 여가 측면에 관련된 실제적인 평가가 은퇴에 대한 태도 형성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여성의 일과 은퇴에 대한 가정은 지지되지 못하였다. 사회적 가정에 의하면 여성이 일에 대하여 낮은 헌신을 지니며, 그에 따라 은퇴로 인한 일 역할의 상실감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여성의 삶에서 일은 정체감과 만족의 기반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에 대한 태도는 은퇴에 대한 태도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남녀의 은퇴에 대한 태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과 여성의 은퇴에 대한 태도는 서로 별개의 것으로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반 위에서 은퇴에 접근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은퇴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성별이 중요한 변인으로 논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성별에 따라 세분화된 은퇴 준비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