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6 Download: 0

노동자 가족 내 성별분업에 관한 사례연구

Title
노동자 가족 내 성별분업에 관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n working class family : the case of male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uthors
김미하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노동자가족성별분업양육 참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전원문누락) 나누어 고찰되었다. 우선 부부가 현재 취업해 있는 고용 구조 중, 장시간 노동이라는 우리나라의 열악한 임노동 조건은 맞벌이 부부 모두에게서 절대적인 필요 양육시간을 빼앗고 있었다. 그러나 양육의 책임에 따라 기혼 여성노동자에게만 허용되는 임노동 시간의 조정 또는 부부의 출퇴근 시간 및 점심시간의 차이 그리고 성 차별적 저임금 조건 등은 기혼 남녀에게 달리 적용되는 가부장제적 성격의 노동 구조로써, 이는 부인 쪽에서 양육의 책임을 맡도록 하는 성별분업을 유지, 강화시키고 있었다. 또한 공,사분리 원칙 하에 이루어지는 남성들의 직장 내 내부 노동시장의 성격 및 여가활동이나 기타 사회활동은 기혼 남성들로 하여금 개별 가정 내 양육의 책임을 소홀히 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 같은 고용구조의 측면 이 외에도 우리 사회에서 최근 크게 문제시되는 양육 사회화 역시 남성의 양육 참여에 간접적이지만,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즉, 현재 우리나라에서 영아탁아 기관의 미비와 공부방 시설의 부족은 여성 특유의 임노동 주기를 형성케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불철저한 양육 사회화의 수준과 더불어 직장 내 부성보호의 결핍은 결혼, 임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초기 가족형성에서부터 남녀의 성별분업을 야기시키고 있었다. 이는 곧 남성의 초기 양육경험을 저해하고, 모-자녀간의 강한 애착관계가 형성되는 결과를 빚어 양육에서의 성별분업이 개별 가족 자체 내에서 재생산 되게 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화된 양육기관에서의 성별분업 (보육교사의 여성화, 탁아소 부모활동에서의 성별분업) 역시 남성의 양육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성의 양육참여에 영향을 주는 세 번째 측면의 요인은 성 역할 태도 및 타인의 영향으로 상정되었으나, 이들 요인들은 위에서 밝힌 부부의 고용구조 및 사회화된 양육기관의 이용이라는 구조적 측면과의 연관 속에서 고려되어야 만이 보다 정확히 양육에서의 성별분업을 이해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Ⅳ장, 요약 및 결론에서는 위의 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본 연구의 의의, 그리고 제한점을 밝혔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맞벌이 부부 각자가 처한 양성(兩性) 일반 범주로써의 자본주의 임노동 구조와 더불어 기혼남녀에게 달리 적용되는 가부장제적 노동 구조 (성 차별적 저임금 구조 혹은 남녀의 임노동 시간의 차이) 역시 개별 가정 내 양육에서의 성별분업의 유지, 강화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간파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비록 대부분의 일상 양육이 사회적 분업으로 대체, 수행된다 해도 여전히 여성의 손에 의해 이루어지는 양육기관에서의 성별분업이라는 현실과 함께, 우리 사회에서 기혼 여성노동자가 갖는 특수한 이중노동의 문제가 저임금, 장시간 임노동 조건이라는 자본주주의 일반 노동구조의 문제영역과 반드시 일치되어 나타난다고만은 볼 수 없다는 논의를 뒷받침 해 주는 것으로 파악된다. 결국, 양육에서의 성별분업 타개를 위해서는 자본주의의 일반적 저임금, 장시간 노동구조 이 외에도 남녀에게 달리 적용되는 가부장제적 노동구조(성 차별적 임금구조, 임노동시간의 남녀차이)의 변화, 그리고 모성 뿐 아니라 아버지들을 위한 육아 휴직 등과 같은 부성보호의 사회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철저한 양육 사회화 시설의 확충과 함께, 사회화된 양육기관에서의 성별분업(보육교사의 여성화, 탁아소 보모 활동에서의 성별분업)을 변화시키려는 방향으로의 실천적 대안 모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어린 자녀를 둔 기혼 여성노동자가 처한 특수한 노동 현실이 과연 자본주의의 보편적 노동구조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보다 신중한 그리고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앞으로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는 문제제기의 역할을 한 의의를 갖는다. 앞으로의 연구는 노동계급의 핵가족 내 성별분업 이 외에, 확대가족과의 혹은 다양한 계층 간의 비교 연구를 통해 <일상 양육 책임의 남녀 공유>를 가능케 하는 여러 요인들이 포괄적으로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This study explores the coujugal share situation of child care in dual-earner family and factors which affect on married men'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Ultimately, it tries to examin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n daily child care can be changed. In chapter Ⅱ, the existing studies on men's involvement in child care was reviewed. They were analyzed into three aspects : wife's and husband's employment status and pattern; the advantage of child-care center; conjugal sex-role attitudes and others' supports. In chapter Ⅲ, first, the situation of the child care share in dual earner family was examined. Husbands' contribution was passively performed by wives' demand. In additions, men did not share the responsibility for tending childre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entering of married, women into the paid labor-force provided an occasion that men got to take part in child care, even though it didn't cause the division of labor in child care to be changed easily. Second, the determinants of men's .participation were explored in three aspects: firstly, men's participation was influenced on by the general problems of the low wage and long hours of work in Korea and even the patriarchal labor structure differently applied to women and men. Besides,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n child care was reinfor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labor market, leisure , and other social activities . Secondly, the insufficient socialization of child care made women form the intrinsic paid-work cycle. Together with the division of labor which appeared in a socialized child care center(e.g. the feminization of chile carer , paternal activities followed according to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 , it operated to restrict men's involvement in child care. Such insufficient socialization level , for example, the lack of an infant care center and of a study room for elementary students and the destitution of paternity benefits in the job prevented men from experiencing their participation just after bearing their children. Also, those factors resulted in forming intensive affection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Accordingly,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n child care was reproduced in an individual family. Thirdly, it was analyzed that the conjugal sex role attitudes and others supports influenced on men's contribution only when those were grasped in connection with above two structural factors. Finally, in conclusion, the inter relationship among above aspec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limitations were indicated. It was discovered tha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pecial problem of dual labor which married women labors meet in our society was influenced on by the mechanism of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of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as well a the realm of the social structure of capitalism . Then in order to change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n child care, practical alternative should be found a s follows: The change of the sexual discriminative structure of wage and of the difference of working hours applied to women and men as well as the change of low wage and long hours working structure on absolute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