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8 Download: 0

투표행태의 지리학적 연구

Title
투표행태의 지리학적 연구
Other Titles
(A) geographical study of the voting behaviour pattern in Korea
Authors
李眞旭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Keywords
투표행태지리학우리나라국회의원 선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다수인에 의해 代表者를 投票로 선출하는 行爲인 선거는 그 結果가 時間 및 장소에 따라 달라진다. 本 論文은 우리나라 國會議員 選擧結果의 空間 特徵과 變化과정을 政治經濟 社倉, 文化 및 人口 要因과 關聯지어 파악하고 特히 都市化의 진행과 野黨 支持의 空間 變化를 地理學的 관점에서 考察하였다. 硏究 資料는 人口 센서스와 中央選擧관리 위원회의 大韓民國 선거사를 기초로 사용하고 문헌 硏究와 資料의 통계 分析 및 지도화를 하였다. 硏究 結果 첫째 都市 地域에서 낮은 投票率을 보였으며 둘째 득표율은 서울, 부산 및 전북 地域에서 항상 野黨의 우월성을 나타냈다. 셋째 當選者數의 空間 變化에서는 農村的록 性格이 强한 地域일수록 傳統的으로 與黨 支持의 性向을 띠었다. 그리고 選擧 結果의 空間 變化를 뚜렷하게 파악 할 수 있는 8대 10대 및 12대 선거에서는 大都市 및 그 영역권에서 탁월한 야당세를 보였으며 選擧區의 人口 要因 및 政治 要因이 選擧 結果에 크게 關聯되었다. 즉 노년 人口 및 불취학 人口가 적고 높은 대졸 인구비를 나타내며 낮은 投票率 및 과잉 有權者數를 가진 地域은 野黨을 支持하는 傾向이 强했다. 그리고 최근에는 점차 社會복지 및 文化 水準이 選擧 結果에 作用하는 중요 要因으로 부각되었다. 끝으로 本 硏究를 통해 발견 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選擧區간의 人口 편차가 극심했으며 都市·農村의 地域격차가 選擧 結果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따라서 選擧區간의 균등한 有權者數의 배분과 주기적으로 選擧區를 재조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This attempt to find our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national assemblymen election in Korea, and the distribution of successor in national assembly election with the policial parties types, to study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voting behaviour,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ting 1 behaviour and landform, For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central election management committee and Ministry of Domestic Affairs.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methods of cartographic for the study of regional voting behaviou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ting behaviour and landform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methods of factor analysis technique. The resul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Fewer people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election in the regional, city while larger participated in the election in the rural area. 2. The city dweller such as Seoul, Pusan, and come parts of Chollabuk-Do took a vote for the minor parties. And The rural are a Dominated by the major partisan 3. Demographic factor and political factor of the 23 variables particularly younger generation, college graduates, influence the voting behaviour, Nowdays the cultural factor and social welfare factor tend to influence the voting behaviou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