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양태표현의 '모양이다'구문 연구

Title
양태표현의 '모양이다'구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dality Expression 'moyang-i-ta-'
Authors
김정혜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양태표현모양이다구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현대국어에서 문장 '비가 올 모양이다'에 나타나는 '모양이다'가 화자의 추측을 나타내는 양태표현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 '모양이다'구문의 의미와 통사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양이다'구문은 명사구보문 구성으로서 이와 동일한 구성의 '것같다'나 '듯하다'등과 비교할 때, 통사적으로 다른 제약이 따를 뿐 아니라 이들이 쓰이는 발화상황에서도 차이가 난다. 이러한 차이는 '모양이다'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들의 어휘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문법화, 명사구 보문, 서술어 '이다', 서법과 양태 등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모양'의 어휘적 특성과 기능 변환에 대해 논의하고, [추측]을 나타내는 '모양이다'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론적 특성에 대해 논의한다. 2장에서는 '모양'의 어휘적 특성을 살펴본다. 먼저 '모양'과 유의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살펴보고, 이들중 '모양'만이 문법화된 것은 이것이 추상적, 관념적 의미를 가졌기 때문으로 설명된다. 또한 '모양'과 함께 문법화 과정에 있는 명사들을 살펴보고, '모양'이 특정한 통합관계에서 의미기능의 변화를 입어 양태소나 격조사나 부사형어미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현상을 기능의 변환이라는 관점에서 논의한다. 3장에서는 [추측]을 나타내는 '모양이다'구문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에 대해 논의한다. 먼저 '모양이다'와 의미와 통사적 구성이 비슷한 '것같다', '듯하다'구문의 보문 명사들의 의미자질을 살펴보고, 이들의 보문자 선택제약, 보문의 인칭과 서술어 제약등을 살펴본다. '모양이다'는 그 보문의 내용이 '화자가 지각할 수 있는 외적 사태'로 한정되는데, 이는 보문명사 '모양'의 어휘적 의미에 기인하는 것이며, '은가 보다'가 '모양이다'와 통사적 제약이나 발화상황에서 비슷한 면을 보이는 것은 이것이 지각동사 '보다'를 가지고 있기 때문임을 보였다. 또한 '모양이다'구문을 서술어로 가지는 상위문은 서법이나 시제, 내포화와 관계화, 높임의 '-시-'등이 제약된다. 이러한 통사적 제약은 추정문이 명령문이나 청유문에는 나타날 수 없고, 문장의 주어가 분명치 않다는 일반적인 특성과 부합하는 것으로서, '모양이다'의 경우에는 '모양'과 '이다'가 하나의 성분으로 결합하여 '겠'에 해당하는 양태성을 나타내기 때문임을 논의하였다. 4장은 이 연구의 결론으로서 지금까지의 논의를 마무리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본고는 양태표현의 '모양이다'의 통사론적 의미론적 특성을 논의하기 위해 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것같다', '듯하다', '은가 보다'등과 비교하였다. '모양'은 특정한 통합관계에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 경우에도 어휘적 의미와 완전히 단절되지 않은 채 통사적 제약에 관여하는 것은 '모양'이 문법화의 초기단계에 있는 단어이기 때문으로 보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syntax and the semantics of the modality expression, 'moyang-i-da' in the sentence, 'pi-gao-1 moyang-i-ta' meaning 'it seems to be raining'. 'Moyang-i-da' is a noun complement construction and is distinguished from 'ko^(˘)t-katta' and 'to^(˘)t-hada' by syntax and context. I have postulat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constructions are due to the lexical features of those constituents. In doing this, I employed a lexical approach along with a syntactic approach to describ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moyang-i-da'. In this way, I employed the concepts of grammaticalization and functional transformations based on preceding studies of bound nouns, noun complements, the verb 'i-da', mood and modality. Chapter 2 deals with the lexical meanings of 'moyang'. Firstly I presented the synonymy of 'moyang ', arguing that the reason 'moyang ' is grammarticalized is due to it's exclusive abstract and conceptual meanings. In addition to this, I showed examples of the other nouns which behave in the same manner, discussing the functional transformations of 'moyang' from lexical morpheme to the grammatical functions including modality, a particle and an adverbial suffix. Chapter 3 dicusses the syntax and semantics of 'moyang-i-ta' which repesents [presumption]. Firstly, I dealt with the meanings of the head nouns of 'moyang-i-ta' and 'ko^(˘)t-katta' and 'tat-hada', and their comlementizer selectional restrictions, persons and predicate verb restrictions. I argued that 'moyang-i-da' needs propositions which imply that the speaker can perceive from the outward situation due to it's lexical meaning of shape, figure, appearence. In other construction, 'u˘n-ga-bota' exhibits similar behavior with 'moyang-i-ta' in syntax and context, it is also explaining that it has the perceptive verb 'po-da( to see)'. Secondly, the fact that the matrix sentenses of 'moyang-i-da' lay restrictions on mood, tense, embeddings, relativizations, and the honorific suffix 'si ' is also dealt with. Such restrictriction as these are coincident with the syntactic restrictions of presumptive sentences, which do not appear in the imperative or propositive, resulting in an ambiguity surrounding to subjects of these sentences. I also argued that in 'moyang-i-da' construction, 'moyang' and 'i-ta' combine together and represent modality similiar to 'ket'. Finally, chapter 4 deals with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rough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describe the syntax and the semantics of 'moyang-i-da' construction as a kind of modality expression in comparison to 'ko(˘)t-katta', 'tat-hada', and 'u^(˘)n-ga-bota'. 'Moyang' performs some grammatical functions when it is in specific syntactic cnstructions, although does'nt lose its lexical meaning entirely whilst involved in syntax. This means that 'moyang' is the noun which dictates the first step of grammatical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