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손미경-
dc.creator손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9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4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2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457-
dc.description.abstractNew musical modes and usage have developed on new aesthetic bases at every tim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frequent use and expansion of the chromatic scale transformed the previous tonal system in the 19th century. This developed into atonal music. In the whole of the 20th century many composers used this new modality in their works with various foms.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work based on this atonal concept, "Two Songs for Soprano and Piano" through the content of the poems and the relations of pitches. This is a work to Lee, Hae-In's two poems, "The Ring of Flowers" and "To Pleasure". Each poem, of which the content and the subject is pleasure, is divided into sections according to the division by paragraphs. The formation of the melodies is also composed by the division of paragraphs so that one paragraph has one melody. In the first piece, the song is metaphoring the pleasure which is compared to the ring of flowers using augmented fourths and minor seconds. The content of the poem and the six figures related to it are knitted together organically. The pleasure that is the subject of the music is emphasized in the second piece, also. However, that is derived from the perfect fifth. This music expresses the will of the poet strongly in the augmented triad. The pleasure of the second song is compared to water. The image is represented by the use of the whole-tone scale. Through this work, the attempt was to show that the beauty of poems could be expressed through changes of structure such as pitches, figures, rhythm and form effectively, not necessarily through the beauty of melody itself.;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별로 새로운 미(美)적 기준에 의해서 새로운 음악 양식과 어법이 변화 발전되었는데, 특히 19세기 말부터 전통적 개념의 반음음계의 빈번한 사용과 확장으로 기존의 도성체계가 무너지고 무도음악으로 전환되었다. 무조음악의 양태는 20세기 전반에 걸쳐 여러 작곡자들의 작품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무조적 개념을 기초로 하여 쓰여진 본인의 작품 "Two Songs for Soprano and Piano"를 분석한 것이다. 이 곡은 이해인의 2개의 시(詩)인 "풀꽃반지"와 "기쁨에게"에 곡을 붙인 것으로써 두 시는 모두 '기쁨'을 주제로 삼고 있다. 따라서, 곡의 구조면에서는 '기쁨'을 강조하는 음정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첫곡에서는 증4도(tritone)와 단2도를 중심음정으로 삼았고, 둘째곡에서는 완전5도를 중심으로 작곡하였다. 또한 곡의 형식에 있어서는 시의 연의 구분에 따라 첫곡은 6개의 단락으로, 둘째곡은 5단락으로 각각 구성하였다. 그 외에도 시의 내용과 연관된 여러개의 음형(figure)이 유기적으로 엮어져서 곡 전체를 이끌어 가고 있다. 전반적으로 시(詩)의 서정적 이미지와 현대적 음악어법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 급진적인 현대적 기법이나 음향 효과의 사용을 배제하였다. 본 곡을 통하여 시의 아름다움이 단순한 선율적인 아름다움에만 의존하기보다 음악적 내용과 구성에 있어서 음정, 음형, 리듬과 형식 등의 구조적 변화를 통해 시적 아름다움이 효과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 1 Ⅱ. 작품분석 = 2 A. 풀꽃반지 = 2 [1] 구조와 형식 = 3 (1) 주요음정 및 음형(Figure) = 3 (2) 형식 = 7 [2] Section 연구 = 8 B. 기쁨에게 = 31 [1] 구조와 형식 = 32 (1) 주요음정 및 음형(Figure) = 32 (2) 형식 = 37 [2] Section 연구 = 38 Ⅲ. 결론 = 55 참고문헌 Abstract Two Songs for Soprano and Piano-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193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손미경-
dc.subject구조-
dc.subject음형-
dc.subject형식-
dc.title손미경의 "Two Songs for Soprano and Piano"(1997),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Mikyung Sohn's "Two Songs for Soprano and Piano"-
dc.format.page56, 1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