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신인사제도가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신인사제도가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THE NEW PERSONNEL-SYSTEM ON JOB BEHAVIOR OF ORGANIZATIONAL PERSONNEL
Authors
이희정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신인사제도조직구성원직무태도사무직 노동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의 대기업은 변화하고 있는 환경에 대처하고 생존하기 위해서 다양한 경영합리화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영합리화 전략의 일환으로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신인사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기존의 연공서열식 인사제도는 종업원들에게 능력발휘의 기회를 제대로 주지 못하고 만성적인 승진적체와 그에 따른 인사상의 불만을 가중시켜 왔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할 때 종래의 인사급여제도에 있어서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측면을 개선하고, 조직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려는 기업의 합리화 노력은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노동자의 입장에서는 신인사제도의 기본 취지를 인정하더라도 신인사제도의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노동강도의 증가나 노동자간의 경쟁의 강화, 기업합리화의 목적으로 취해지는 감원으로 인한 불안 등은 수용하기 어렵다는 점 또한 지나칠 수 없는 사실이다. 신인사제도 둥 경영합리화과정에서 노동자는 자신의 미래에 대한 불안이 증가함과 동시에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아지면, 직무와 조직에의 참여가 증가하기보다 감소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서 본 연구는 '감원-감량쇼크'라는 한국 사회 현실을 토대로 첫째, 기업들의 경영합리화전략 중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능력주의적 인사·노무관리 체제' 즉 '신인사제도'의 도입으로 나타나는 사무직 노동자의 노동강도 증가와 고용불안 등의 노동자의 반응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신인사제도'의 통제적 성격을 밝히고자 했다. 둘째, 신인사정책이라는 조직의 새로운 전략하에서 나타나는 노동자들의 반응이 사무직 노동자의 직무몰입과 조직헌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사례기업으로 경영합리화의 도입과 함께 신인사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S기업을 선정하여, S기업의 사무직 노동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은 우선 기존에 출판된 각종 자료와 사내자료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신인사제도의 내용과 S기업의 신인사제도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구체적인 분석의 기초자료로 삼았고, 구체적인 조사는 질문지를 사용한 양적조사를 선택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결과분석에 사용된 질문지 수는 S기업의 사무관리직, 영업직, 연구개발직의 사무직 노동자를 대상으로한 290부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사무직 노동자는 신인사제도에 대해 동의하는 경향을 보이며 직무에 대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반면, 직무에 관한 스트레스와 고용불안도 강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동자들이 능력주의의 원칙을 받아들이면서 근무시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기업이 원하는 능력을 쌓기 위해 노력하게 되는 신인사제도가 갖고 있는 통제적 성격을 보여주었다. 둘째, 개인적 변인에 따른 영향을 보면 상위직급의 노동자는 능력주의하에서 자신의 능력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는 동시에 노동강도를 강하게 느끼고 있었고, 자원이 부족한 고졸과 여성 집단은 상대적으로 고용불안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능력주의의 평가기준이 개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노동자들 간의 경쟁과 함께 계층간, 개인간의 분열을 통해 개별 통제의 가능성을 높이는 능력주의적 인사제도가 가지고 있는 개별화 경향을 보여준다. 셋째, 신인사제도에 대한 견해는 자율성, 노력의지, 고용불안, 인간관계, 의사소통의 변수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노동자의 반응변수 중 노력의지, 인간관계, 고용불안은 직무몰입에 고용불안과 인간관계는 다시 조직헌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논문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이 도입하고 있는 신인사제도의 노동통제적 성격을 구체적으로 연구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능력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인사제도가 지니는 노동통제 성격을 보여주었다. 둘째,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합리화의 방편으로 시행되는 신인사제도가 노동통제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하더라도 이에 적용을 받는 사무직 노동자가 받아들이는 반응에 따라서 조직헌신과 직무몰입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는 점을 보여 주었다는데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첫째, 본 연구는 개별 기업에 대한 사례 연구로서 연구결과를 다른 기업에 일반화 시킬 때 기업의 특성이 고려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둘째, 직무스트레스 개념을 축소해서 사용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셋째, 연구방법의 문제에 있어서 질문지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질문지를 잘못 구성하여 사용하지 못한 변수가 있었고, 양적 조사가 지니는 한계로서 본 연구에서 정한 변수 이외의 다른 요인이 조직 구성원의 헌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고찰이 어려웠다. 다음의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조직헌신과 직무몰입의 결과가 실제적으로 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가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의 한국사회의 사무직 노동자는 능력주의적 인사제도의 도입과 함께 고용불안을 많이 느끼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사실에서 더 나아가 고용불안이 노동자 개개인과 가족 구성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회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Recently, to meet with the demands of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to stay alive, large enterprises are coming up with various kinds of rationalized management strategies. Also, as link to these rationalized management strategies, the new personnel-system is being introduc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The ong existing rank form of personnel-system does not give employees a chance to show their abilities and slow promotion is adding weight to the personnel's dissatisfaction. With regard to these circumstances, the enterprise's rationalized effort to renew the unfair and unreasonable side of the traditional personnel-allowance system and find a way to contribute to an active organization has an positive side to it. But from the workers' point of view - though they acknowledge the basic purpose of the new personnel-system - the increase in the degree of labor, the intensification of rivalry among workers, the anxiety resulting from lay off, an objective of rationalization of the enterprises, being showed in the process of practice, are all difficult to accomodate to and it is a fact that can't be overlooked. Like the new personnel-system, the process of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increases the workers' anxiety about one's future as well as the level of stress. As a result,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one's job and organization may have the effect of decreasing rather than increasing. Given these problems and baring oneself in the ‘lay off-reduction in quantity shock’ that defines Korean society nowaday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 of all to determine the workers' reaction to the increase in the degree of labor and the insecurity of employment, all of which are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the ‘new personnel-system’ and part of the enterprise's rationalized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these premise, I intend to examine the control aspect of the ‘new personnel-system’. the second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the worker's reactions under the organizations's new strategy called the new personnel policy, affect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business workers.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ives, I have chosen as a case-study S enterprise, which is adopting the new personnel-system in line with the introduction of rationalized management and studied it's workers. My method of research first involved the inspection of the general contents of the new personnel-system as well as the new personnel-system specific to th S enterprise, based on every kind of existing published data. This was my basic data for concrete analysis, while choosing the quantitative approach by running a statistical analysis by way of questionnaires for a more specific research. The office workers in management, operations, research and development, were the object of 290 questionnaires in the result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most business workers show a tendency to approve of the new personnel-system and make great effort concerning their work.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at stress and insecurity of employment are being strongly felt as well. As the workers accept the ability-centered principle, the effort to comply to what the enterprise requires, occurs not only during working hours, but also in everyday life, revealing the control aspect of the new personnel-system. Secondly, when you look at the effects of personal variables, the workers at a higher rank were working hard to improve one's own ability under ability-centeredness while feeling the degree of labor more strongly. Also, high school graduates and women who lack resources, fee; relative anxiety towards employment. This is because the evaluation standard of the ability-centeredness is the individual. This fact shows the individualized tendency of the ability-centered personnel-system which raises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 control by promoting competition among workers and division among classes and individuals. Third, opinions concerning the new personnel-system affect self control, will of effort, insecurity of employment,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It has been shown, that among these reaction variables, will of effort, relationships, and insecurity of employme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job involvement and in turn insecurity of employment and relationships also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ignificance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studies the labor-control aspect of the new personnel-system introduced by the enterprise. For this research, the labor-control characteristic of the new personnel-system based on ability-centeredness was explored. Second, although the new personnel-system, as a means of rationalization and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has a labor-control aspect, it has been pointed out by the reaction of the office workers,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could decrease. But this thesis is first, a research of individual cases and when you generalize the result to another enterprise, the characteristics of that enterprise must be considered. Second, it has limitations since the abridged concept of stress from jobs has been used. Third, in the method of research, there were variables that could not be used due to misorganization of the questionnaires in the process of inquiry Also, since the quantitative research had limitations, it was difficult to consider the effects of other factor excluding the fixed variables on the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personnel. The next research would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by including the actual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on the productivity of the enterprise. Also, business workers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have been shown to be feeling an insecurity of employmen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ability-centered personnel-system. Progressing form this fact, I think a sociological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insecurity of employment on the individual's family is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