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 청와대 보도의 정치학
- Other Titles
- (The) Politics of Presidential Reporting : Analysis of Journalistic Form and Language in Three Korean Newspapers
- Authors
- 전수정
- Issue Date
- 1996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Keywords
- 청와대 보도; 정치학; 한국신문; 대통령보도형식; 언어분석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bstract
- Today's democratic society dictates that the President carries out the affairs of the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will of the people The president, having been elected by the people to represent them, must always consider the interests of the public in his decision-making process. Conversely, the people must have confidence that the decisions made by the President are consistent with the ones supported by themselves. Via the election process, they are complexity their decision making rights to the President. However, the complexity and the structure of our society almost precludes face-to-face contact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people It is with this aspect in which the newspapers (reporting on the President) serve their crucial role; they act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people.
It is the form and linguistic expression of news that determine the popular understanding or perception of any political reality. It is this form and language that breathes life into any political affair and informs the public with not only the reality of the event but also with the value of such activities. The media can play a powerful role in persuading the public as to the importance of the event. This thesis addresses three issue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form and linguistic expression as they pertain to presidential reporting; second, how these characteristics have changed over time and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ir change in Korean politics.
Focusing on the front-pages of three Korean newspapers(chosun Ilbo, Dong-A Ilbo, and Hankyereh Shinmun), I will analyze journalistic farm and language of news reports originating from the Blue House, the Korean Presidential Office, By concentrating on articles dated within the month of March for 1954, 1972, 1985, 1990 and 1994/5, I will be able to study the impact as they pertain to Presidents Lee Seung-Man, Park Chong-Hee, chunn Doo-Hwan, Roh Tae-Woo, Kim Young-Sam respectively. The years selected represent the years in which each President was in the middle of his term.
The analysis of the press coverage(during the mid-90s) of the Blue House shows that the news stories focused mainly on the President. Approximately 70 percent of the articles either directly quoted the President or news sources at the Blue House. The analysis further reveals that the subject word of sentences were more often than not the 'president', strongly presenting the perception that the President held the leading role. The image was that the President ruled over almost all institutions within our society with absolute authority. The implied message(conveyed by the chosen language) was that it was the President who forced his ideas and will onto the people.
Research question #2 deals with historical analysis of presidential reporting dated from the period of 1950 to mid-1990s.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most dramatic changes in the way the President was portrayed in the newspapers articles took during the. 1970s, Incidentally, the beat system and position of the Blue House Spokesperson were also established during this period. Thereafter, the articles took place on a fairly consistent formalistic and linguistic conventions, making only minor adaptations with the changing political climate. It wa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not the prevalent political climate that dictated the form and style of the language with respect to these reports.
The reader, by virtue of the fact that they were constantly exposed to newspaper articles which focus on the President began taking for granted the power exercised by the President. They were inadvertenly misled into believing that the policy making is a personal responsibility of the President. An explanation for this lies partly in the fact that the journalists reporting on the President had access to limited information ; information which was limited and controlled by the Blue House. As political discussion remains strictly within the bounds of discourse defined by the Blue House, the journalists have little independence in interpretation or even in obtaining necessary information.
With respect to linguistic and stylistic formalities, there were very few differences among three newspapers. There existed remarkable similarities among the articles which were based on the information disseminated by the Blue House. The striking difference was revealed in the articles which were not dictated by the Blue House. In such cases, the articles written in the Hankyereh Shinmun were more critical of the political system than were these found in the Chosun Ilbo and the Dong-A Ilbo. Through this analysis,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a newspaper's coverage of the Blue House is affected mainly by rules inherent within the assigned position(at the Blue House) rather than by the political affiliation of the newspaper itself.;현대 민주국가에서는 국민 개개인이 선거제도를 거쳐 자신의 권리를 대통령에게 위임하고, 대통령은 국민의 동의와 신임을 바탕으로 국정을 운영한다. 그러나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 국민이 대통령과 직접 만날 수 있는 기회는 극히 제한되어 있으므로, 신문에서 다뤄지는 대통령에 관한 뉴스는 다수 국민과 대통령을 이어주는 매개체가 된다.
현실 정치에 객관적인 실제로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뉴스의 형식(form)과 언어다. Fowler에 의하면, 현실은 언어와 동떨어져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통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다. Schudson은 뉴스의 내용을 독자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해 주는 것은 바로 뉴스의 형식이라고 말한다. 이같은 시각에서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첫째, 청와대 보도 형식과 언어는 어떠한 성격을 갖는가? 둘째, 현재의 청와대 보도는 어떻게 변해왔는가? 셋째, 한국 사회에서 청와대 보도가 갖는 함의는 무엇인가?
연구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대통령에 대한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중 각 대통령의 임기 중반기인 1954년, 1972년, 1985년, 1990년, 1994·5년 3월, 세 신문의 1면에 실린 청와대에서 나온 대통령 보도를 분석했다.
90년대 중반 공시적 분석의 결과는 청와대 보도가 대통령 개인 위주로 쓰여지고 있으며, 민주주의적 권력 묘사 방식과 거리가 있는 표현들로 구성됐음을 보여 준다. 형식의 측면에서 볼때, 청와대 보도의 70% 정도는 대통령이나 취재원의 말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고 대통령 지칭어는 예외 없이 문장의 맨앞에 쓰이거나 주어로 쓰인다는 일정한 유형이 나타난다.
언어를 분석한 결과는 법과 제도 위에 있는 대통령의 절대 권력자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대통령은 국민에게 인식과 행동을 강요하는 존재로 표상된다. 분석한 신문기사에서 대통령은 그가 등장하는 모든 기사의 주인공으로 다뤄진다. 뿐만 아니라 청와대 보도는 특별한 어휘를 사용해서 대통령의 권위를 표현한다. 이처럼 대통령이 전제 군주와 동일한 존재로 표상되고 있다.
연구문제 2는 1950년대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에 대한 역사적인 분석이며, 계량적인 자료의 분류를 첨가했다. 청와대 보도에서 제시되는 대통령의 이미지에 획기적 변화가 일어난 때는 70년대였다. 이즈음 청와대 안에 기자실이 생기고, 청와대 대변인이 출현하였는데, 이에 맞춰 청와대 보도는 일정한 양식을 갖게 되었다. 그 이후 청와대 보도는 정치적인 상황에 따라 약간의 변동이 있을 뿐, 본질적인 보도 관행은 바뀌지 않았다. 각 정치체제의 성격보다는 청와대 취재의 구조적인 관행이 청와대 보도의 고유한 형식과 언어를 만들어 냈다.
이같이 대통령을 중심으로 구성된 청와대 보도에서 독자들은 대통령의 권력집중을 당연히 여기며, 모든 정책 결정과정을 대통령 개인으로 수용하게 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와대 보도는 기자가 아닌 대통령이 주도한다는 특징을 제시한다. 우리나라 대통령 보도에서 기자나 언론은 전혀 주체적인 판단력을 행사하지 못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기자는 독자에게 대통령의 관점과 활동을 그대로 알려주며, 청와대가 제공하는 해석을 그대로 전달한다. 미디어의 정치적인 토론은 청와대가 정의한 담론의 영역으로 엄격히 제한된다고 할 수 있다.
청와대 보도의 형식과 언어는 세 신문 모두가 비슷했다. 한겨레 신문의 경우, 청와대에서 나오지 않은 대통령 언급 기사는 체제비판적이거나, 부정적인 기사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반면, 청와대 보도에서는 조선일보, 동아일보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세 신문의 비교 결과 역시, 신문의 정론성보다 청와대라는 출입처의 구조적인 관행이 청와대 보도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말해준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