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朝鮮朝 醫書에 관한 書誌的 硏究

Title
朝鮮朝 醫書에 관한 書誌的 硏究
Other Titles
(A) Bibliographic Study on Medical Books of the Chosun Dynasty
Authors
김효연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eywords
조선조의서서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질병을 극복하려는 오랜 노력, 경험, 훈련의 과정은 의학의 성립을 유도하였고 의학적 지식의 교류를 통해 자신들의 환경에 맞게 수정하면서 의학은 더욱 발전하였으며 지금도 계속 성장해 가고 있다. 조선조의 의학은 그 발달정도를 보았을 때 현재의 의약학사 및 한의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선조 의학을 기록한 의서를 통하여 당시에 요구되었던 의학적인 정보가 의서에 어떻게 반영되어 이용되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조선조에 편찬, 간행된 의서들을 정리한 후 이 가운데 직접 접근이 가능한 36종의 의서를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서 실시하였다. 조선조에 간행된 의서의 간행목적별 분석을 통해서 조선조에 의서간행의 배경과 당시 필요로 했던 의학적 정보의 성격에 대해서 고찰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의서간행의 목적은 구체적으로 크게 3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첫번째 목적은 기존에 있던 의서의 구성이나 내용이 이용하기에 불편하므로 이를 개선하고자 간행하였고, 두번째는 중국의 의서등이 향토적인 상황에 맞지 않으므로 향토에 맞는 의서를 간행하고자 하였으며, 세번째 이유는 전국에서 치발하는 전염병의 대책과 예방을 위해 의서를 간행하고 있었다. 이외에도 개인적으로 의학적인 지식이나 경험을 기록하고자 의서를 간행하기도 하였다. 조선조 의서에 대한 주제별 분석을 통해서 구급의서류나 의학 전반을 다루고 있는 총서적인 형태의 의서가 많이 간행되었다. 의서의 체제 분석을 통해 특정한 내용 전개방식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구급의서와 총서적인 의서들에서는 크게 「鄕藥集成方」의 내용 전개와 「東醫寶鑑」의 내용 전개로 구분해 볼 수 있었다. 대부분이 일반적으로 증상을 언급한 뒤 그에 따른 약방과 처방전을 제시하고 있었고 약방과 증상들을 참조할 수 있는 구성 방식을 가지고 있는 의서들도 있었다. 이밖에도 한문으로 된 의서에 언해를 병행하는 방식으로 언해본이 간행되고 있다는 점, 형태적으로는 대부분 목판본의 형태로 있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이 조선조 의서의 기타 특징으로 나타났다. 인용문헌의 분석을 통해서 당시에 필요로 했던 정보들은 대부분 중국 明에서 간행된 의서에 수록된 정보를 많이 인용하고 있었다. 조선초기에는 「聖惠方」과 같이 宋代의 의서들과 고려시대의 향약서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를 많이 인용한 반면에 「東醫寶鑑」이 간행된 이후에는 「醫學入門」과 같이 明에서 간행된 의서들을 주로 인용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국내 의서에 대한 인용은 조선조 의서 특히 「東醫寶鑑」에 대한 의존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 조선조 의서의 전반적인 특징은 우선 국가 관여하의 의서간행으로 사회적 요구에 많이 의존해서 의서의 간행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이것은 의서의 간행목적과 주제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내용적으로 보면 총괄적으로 전 주제분야를 모두 다루고 있는 의서가 많이 간행되었으며 보기에 적절하게 짜여지고 적당한 내용을 수록한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의서, 당면한 질병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의 의서들을 간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수록된 의학정보가 주로 明에서 간행된 기초 의학적인 내용의 의서들을 주로 인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인 요구에 맞추어 최신 정보를 의서에 수록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needs of the medical science knowledge and to grasp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medical books that was written and printed and was used by oriental doctor in Chosun dynasty. To achieve the desired goals, Literature Survey and analysis of medical books were used in parallel. Particularly, through Literature Survey, it is to clarify medical books written, printed, distributed and used in the Chosun dynasty. And then actual examination was carried out with medical book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collec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entral Library,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and the Korea University Central Library. It was analysed in various aspects of bibliographic: the goals of writing and printing, the systems of the contents, the subjects and the citation literatures of the medical books at that times. The findings of these analysis are follows : First, by analysis of the aims of publishing medical books in Chosun dynasty, it is to overcome and prevent an infectious diseases by distributing medical books which have the medical knowledges relevant to the diseases, to improve the content, the system, the item existing medical books, and to write the one's personal opinions and experiances of the medical science. Second, by the analysis of the system of the medical books in the Chosun dynasty, there were continuing efforts to find easily contents of the medical books between connected items. Third, by the analysis of the citation literatures, medical books in the Chosun dynasty mostly cited medical books printed in China, especially 『Sungheabang (聖惠方)』 printed in Song dynasty was cited in the former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Eouhakibmoon(醫學入門)』 printed in the Muying dynasty in the latter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result, medical books in the Chosun dynasty were written and printed adjusting to the social needs of medical science, collecting to the updated inform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