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지윤-
dc.creator송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4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1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2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89-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i)to understand the disordered parent-child relationships of Reactive Attachment Disorder(RAD) (ii)to invest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attachment patterns through the strange situation procedure and the attachment behavior through Attachment Q-Se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2-4 year-old children(20 attachment disordered children, 20 normal children). The attachment relationships were assessed by the attachment Q-set(AQS; Waters, 1987). The patterns of attachment were assessed by the Strange Situation Procedu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ing.: 1. Wh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he attachment security and the attachment dependency, the security of RA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and the depedenc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RAD group and normal group. 2. Wh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he subscales of AQS, RAD group turned out to be lower in 'compliance' 'smooth interaction with mother' 'proximity to mother' 'interaction with other adults' and to be higher in 'Fussy/Difficult'. 3. Wh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he 90 items of AQS, there were the 36 items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nt between two groups. The 36 items described the specific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D children. 4. When relationships between SSP and AQ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The attachment security was lined up D > A > C and the depedency was lined up C > A > D. With regard to subcales, In group C 'compliance' was lowest and 'fussy/difficult' 'physical contact with mother' were highest. In group A 'proximity to mother' was lowest and 'interaction with other adults' was highest. In group D 'fussy/ difficult' was lowest and any other factors('compliance', 'proximity with mother', 'interaction with other adults') were between group A and C.;본 연구는 현재의 진단 체계로 진단된 반응성 애착장애 임상군을 대상으로 가정에서 주 양육자와의 애착 관계를 정상아동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또 낯선상황절차(stranger situation procedure, Ainsworth, Blehar, Waters & Wall, 1978)의 애착 유형 분류가 가정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 낯선상황절차의 유형 분포에 따른 애착 Q-Set(Attachment Q-Set, Waters & Dean 1987)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4세의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 20명과 정상 아동 20명이였다. 가정에서의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애착 Q-set을 사용하였고,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애착유형을 분류하기 위해서 낯선상황절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애착 Q-set의 애착 안정성 점수는 애착장애 집단이 정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애착 의존성 점수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Pederson과 Morgan(1995)의 하위 척도와 Waters와 Posada(1995)의 하위 척도를 애착장애 집단과 정상 집단에 비교한 결과 애착장애 집단이 정상 집단보다 까다로움 척도 점수가 더 높았고, 순종 척도, 어머니와 원활한 상호작용 척도 어머니와 근접성 척도, 다른 성인과의 상호작용 척도 점수는 더 낮았다. 그리고 어머니와의 신체적 접촉 척도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애착 Q-set의 90문항 중 36문항에서 애착장애 집단과 정상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 문항들은 애착장애 아동의 애착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을 제공해주었다. 4. 낯선상황절차의 유형 분류에 따른 애착 Q-set점수를 살펴본 결과 애착 안정성 점수는 불안-회피(A) 집단과 불안-저항(C) 집단이 유사하며, 불안-비조직/비일관(D) 집단은 약간 더 높았다. 애착 의존성 점수는 C 집단이 가장 높았다. 애착 Q-set의 하위 척도에 대해서는 C 집단이 신체적 근접성 척도와 까다로움 척도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른 성인과의 상호작용 척도의 점수는 가장 낮았다. A 집단은 근접성 척도 점수가 낮았고, 다른 성인과의 상호작용 척도점수가 가장 높았다. D 집단은 까다로움 척도가 가장 낮았고, 대부분 나머지 척도(순종 척도, 근접성 척도, 다른 성인과의 상호작용 척도)는 A 집단과 C 집단의 중간 정도의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애착 문제가 실험실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지속됨이 밝혀졌다. 그리고 본 연구는 애착장애 아동의 구체적인 행동과 특징을 기술해주었다. 또 본 연구는 낯선상황절차의 유형 분류와 가정에서의 애착 행동이 연관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6 A. 애착 = 6 B. 반응성 애착장애 = 9 C. 애착 Q-set과 애착 = 17 Ⅱ. 연구 방법 = 22 A. 연구 대상 = 22 B. 측정 도구 및 평가 = 24 C. 연구 절차 = 28 D. 자료 처리 = 29 Ⅳ. 연구 결과 = 30 A. 애착 Q-set의 애착 안정성, 애착 의존성에 대한 애착장애 집단과 정상 집단의 비교 = 30 B. 애착 Q-set의 하위척도 점수에 대한 애착장애 집단과 정상 집단 비교 = 31 C. 애착Q-set의 각 문항에 대한 애착장애 집단과 정상 집단의 비교 = 33 D. 애착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낮선상황절차의 애착 유형 분류에 따른 애착 Q-set의 애착 안정성, 애착 의존성, 하위척도 = 36 Ⅴ. 결론 및 논의 = 38 참고문헌 = 47 부록 = 55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079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애착장애-
dc.subject아동-
dc.subject애착-
dc.subjectQ-set-
dc.title애착장애 아동의 애착 Q-set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ttachment Relationships in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 Q-Sort Home Observation-
dc.format.pagevi, 6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