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0 Download: 0

學習者 統制 프로그램 類型과 統制 所在가 學習에 미치는 效果 分析

Title
學習者 統制 프로그램 類型과 統制 所在가 學習에 미치는 效果 分析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ree Types of Learner Control Programs and the Locus of Control on Learning
Authors
金玟希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Keywords
학습자통제 프로그램 유형통제 소재학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3가지 유형의 학습자 통제 프로그램(LeanPlus Type learner Control, FullMinus Type Learner Control, Hypertext-Oriented Learner Control)과 통제 소재(내적 통제 소재, 외적 통제 소재)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인지 심리학의 이론에 근거를 둔 학습자 통제는 속도(pace), 교수 계열 (instructional sequence), 내용(content), 제시(display) 또는 전략(strategy) 등에 대해 학습자에게 교수적 결정을 허락하는 설계 전략이다. 학습자 통제 프로그램은 개인이 자신의 인지 구조에 맞게 자극을 변형, 구조화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때문에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학습자 통제 프로그램은 3가지로 LeanPlus Type learner Control, FullMinus Type Learner Control과 Hypertext-Oriented Learner Control 이다. LeanPlus는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교수내용만을 제시하고 학습자에게 부가적으로 학습 내용을 찾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FullMinus는 학습자에게 완전한 교수 내용이 갖추어진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교수 내용을 뛰어 넘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Hypertext-Oriented는 학습자가 그들의 필요와 관심, 인지 스타일에 따라 마음대로 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하여 모든 프로그램은 학습자에게 속도 통제(pace control), 계열 통제(sequence control), 내용 통제(content control)를 허락하였다. 또 제시 또는 전략 통제(display or strategy control) 중 전략요소의 유형, 제시 수, 제시계열에 대한 통제가 허락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3가지 유형의 학습자 통제 프로그램과 학습자의 통제 소재에 따라 학습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2. 3가지 유형의 학습자 통제 프로그램과 학습자의 통제 소재에 따라 학습자가 선택한 학습의 양에 차이가 있는가? 3. 3가지 유형의 학습자 통제 프로그램과 학습자의 통제 소재에 따라 학습 시간에 차이가 있는가? 4. 학습자가 선택한 학습의 양과 학습 성취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3가지 유형의 학습자 통제 프로그램과 학습자의 통제 소재에 따라 학습 성취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3가지 유형의 학습자 통제 프로그램과 학습자의 통제 소재에 따라 학습자가 선택한 학습의 양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3가지 유형의 학습자 통제 프로그램과 학습자의 통제 소재에 따라 학습 시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학습자가 선택한 학습의 양과 학습 성취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3가지 유형의 학습자 통제 프로그램과 통제 소재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학습 성취도, 학습의 양, 학습 시간, 학습자가 선택한 학습의 양과 학습 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실험을 설계하였다. 실험집단은 학습자의 통제 소재와 학습자 통제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6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실험 집단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대학의 동일 전공 2, 3학년 학생 92명이었다. 이들을 Rotter의 I-E Scale를 번안한 검사지로 통제 소재 검사를 실시하여, 중앙치(14점)를 기준으로 내적 통제 소재 경향을 갖는 사람과 외적 통제 소재 경향을 갖는 사람으로 분류하였고, 검사 결과에 의해 각 통제 소재집단에 따라 무선적으로 3가지 프로그램의 유형에 할당하였다. 이 중 실험에 참가한 62명의 자료만을 분석하였다. 실험은 1995년 10월 4일부터 10월 10일 사이에 실시되었다. CAI 프로그램 학습이 시작되기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습이 끝난 후에는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성취도에 있어서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세 집단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못하였다(F=.865, df=2, p=.427). 또 내적 통제 소재 경향을 보이는 집단과 외적 통제 소재 경향을 보이는 집단의 학습자들도 학습 성취도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다(F=.084, df=1, p=.618). 또 프로그램 유형과 통제 소재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선택한 화면의 총 수에 대한 차이는 LeanPlus 집단(평균 75개)과 FullMinus 집단(평균 115개)의 평균 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 .05). 그러나 통제 소재 집단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상호작용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F= .004, df=2, P= .996). LeanPlus와 FullMinus 두 집단간 부연설명 화면을 선택한 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F=34.438 df=1, p< .001). 즉 FullMinus 집단이 LeanPlus 집단보다 약 7배 정도 더 많은 부연설명 화면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CAI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하는 동안 학습자들이 선택한 부연설명 화면의 수는 통제 소재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 .036, df=1, p= .851). 또 통제 소재와 프로그램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F= .090, df=1, p = .766). 셋째,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학습 시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F= .413, df=2, p= .663). 그러나 통제 소재에 따라 프로그램에서 걸린 전체 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3.293, df=1, p< .05). 즉 내적 통제 소재 경향을 가지는 집단의 학습자들이(평균 29.36분) 외적 통제 소재 경향을 갖는 집단의 학습자들(평균 22.09분)보다 학습 시간이 더 오래 걸렸다. 프로그램 유형과 통제 소재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자들이 부연설명 화면에서 걸린 시간은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F=16.445, df=1, p< .001)를 보이고 있는데, FullMinus 집단이 LeanPlus 집단보다 약 4배 이상(약 10분 이상)의 시간을 보냈다. 통제 소재의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2.79)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 상호작용 효과 또한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자들이 스크린 당 보낸 시간을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비교해 보면 LeanPlus 집단의 학습자들이 한 스크린에서 다른 집단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반면 FullMinus 집단과 Hypertext-Oriented 집단은 LeanPlus 집단보다 한 스크린에서 적은 시간을 보냈다.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스크린 당 보낸 시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F=8.872, df=2, p= .001). 그러나 스크린 당 보낸 시간의 차이에 대한 통제 소재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CAI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하는 동안 선택한 화면의 총 수와 학습 성취간의 상관은 γ= .2552로 상관이 낮았다. 그러나 Hypertext-Oriented-내적 통제 소재 경향의 집단(γ= .5389), LeanPlus-외적 통제 소재 경향의 집단 (γ= .4649)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한 부연설명 화면의 수와 학습 성취간에는 γ= .0757로 상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인 상관을 보이는 집단도 있었다. 특히 LeanPlus-내적 통제 소재 경향의 집단은 γ= -.4509로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학습자 통제 프로그램 유형과 통제 소재에 따른 학습 성취도의 차이는 없으며,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학습 성취도에 있어서 학습자의 통제 소재는 학습자 통제 프로그램 유형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자들이 선택한 학습의 양과 관련하여, 완전한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집단의 학습자들(FullMinus)은 핵심 내용만을 기본적으로 제공받는 집단의 학습자들(LeanPlus)보다 더 많은 학습의 양을 선택한다. 이것은 학습자들은 교수 프로그램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교수의 양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 학습자의 통제 소재는 학습자들이 학습 내용을 선택하는 정도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학습 시간에 있어서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는 반면, 통제 소재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다. 즉 내적 통제 소재 경향을 갖는 집단의 학습자들은 외적 통제 소재 경향을 갖는 학습자들보다 학습 시간이 더 길다. 이것은 내적 통제 소재 경향의 학습자들이 외적 통제 소재 경향의 학습자들보다 학습 과제의 목표를 추구하는 데 있어서 더 지속적임을 시사한다. 부연설명 화면과 스크린 당 보낸 시간에 대해 통제 소재에 따른 차이는 없지만,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부연설명 화면에서 FullMinus 집단의 학습자들은 LeanPlus 집단의 학습자들보다 더 오랜 시간을 보낸다. 또 기본적으로 더 적은 교수를 제공받고 있다고 느끼는 집단의 학습자들 (LeanPlus)은 그렇지 않은 집단의 학습자들(FullMinus, Hypertext-Oriented)보다 한 화면에서 더 오랜 시간을 보낸다. 넷째, 학습자들이 선택한 화면의 총 수와 학습 성취, 선택한 부연설명 화면의 수와 학습 성취는 관련성이 적다. 앞에서 얻은 결론에 근거하여 CAT 설계시 고려해야 할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이 성인이지 때문에, 이 제언은 성인 학습자를 위한 프로그램 설계시 가장 적절하게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학습자들이 새로운 내용을 학습할 때는 적절한 학습 전략을 가지기 어려우므로 학습자 통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LeanPlus, FullMinus 프로그램이 Hypertext-Oriented 프로그램과는 달리 핵심내용을 꼭 보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했는 데도 불구하고 학습 성취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는 경우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지각할 수 있을 정도로 학습에 대한 통제권을 주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하이퍼텍스트의 경우 방향감의 상실로. 학습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학습 진행에 매한 advisement를 제공한다면 더 높은 학습 성취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습자들은 그들에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교수 프로그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과 학습내용, 학습분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정도의 통제를 학습자가 할 수 있도록 CAI 프로그램을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학습자들이 학습에 대한 통제를 하고 있다고 인식하게 하면서, 중요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통제를 사용한다면 학습 내용을 학습자들이 놓치는 일은 없을 것이며, 또한 학습 성취도 높아질 것이다. 넷째, 내적 통제 소재 집단의 학습자들이 외적 통제 소재 집단의 학습자들보다 학습 과제의 목표를 추구하는 데 더 진취적이고 지속적인 태도를 보인다. 따라서 CAI 프로그램은 외적 통제 소재자들이 자신의 행동에 관하여 사고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게 하는 데 즉 학습에 대한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는 신념을 갖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어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연습 문제에 대한 피드백에서 이러한 전략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일반적으로 학습자가 많은 교수 내용을 선택할수록 학습 성취가 증가하기는 하지만, 학습 분량이 너무 많으면 학습자는 학습 도중 흥미를 잃기 쉽다. 따라서 학습자의 주의를 오랫동안 집중시킬 수 있고,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 예를 들어 그래픽,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in effect of three types of learner control programs(LeanPlus, FullMinus and Hypertext-Oriented) and the locus of control(internal and external) and how these two interact with learning. The learner control based on the cognitive theory of psychology is a design strategy which allows the learners to make instructional decisions on the learning pace, instructional sequence. content, display or strategy. The three learner control programs used in this study are LeanPlus, FullMinus and Hypertext- Oriented. LeanPlus, a core instructional program is presented and learners are expected to request additional instruction if they need it. In the FullMinus. a full instructional program is the default, but learners can opt to bypass elements of instruction that they don't need(Hicken, 1991). Hypertext-Oriented program lets learners to set up the order freely according to their own interest, need and cognitive sty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ll programs allow learners to control the pace, sequence, content, and the type, number, and order of strategy components among the display or strategy. Purposed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es learner's achievement differ when students learn with LeanPlus, FullMinus or Hypertext- Oriented program, and whether they have internal or external locus of control? 2. Does the use of options differ when students learn with Leanplus, FullMinus or Hypertext- Oriented program, and whether they have internal or external locus of control? 3. Does time-in-program differ when students learn with LeanPlus, FullMinus or Hypertext- Oriented program, and whether they have internal or external locus of control? 4. How are selection of options and achivement related to each other? From the locus of control test(reversed Rotter's I-E Scale) result, 62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internal and external. The subjects in each group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treatment groups-LeanPlus, FullMinus, and Hypertext- Oriented.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In achieveme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program typ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p= .427). Als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locus of control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p= .618) and so was the interactive effect. 2. The total amount of instructional elements used for learners in the two FullMinus groups was 115.17 compared to 75.33 for learners in the LeanPlus groups, a significant difference(p< .05). The use of options between the LeanPlus and FullMinus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 .001). The FullMinus group(54.00) had more use of options than the LeanPlus group(8.49). 3. The average time spent using total instructional elements for learners in the two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s was 29.36 minutes compared to 22.09 minutes for learners in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s, a difference of nearly 7 minutes, which was highly significant(p< .05). The average time spent using options for learners shows significant statistically difference(p<.001) as the FullMinus group took more time than the LeanPlus group. The time spent per screen by learners i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LeanPlus group spent more time per screen than the other groups. 4. The total amount of the elements used during the CAI program and the achievement showed a low correlation of γ= .2552. The correlation γ= .0757 shows that the elements of the options used and the achivements are not rarely correlated to each other. Above result gives these conclusion: 1. In achivement the locus of control doesn't affect the types of learner control program. 2. FullMinus sbjects uses a greater amount of instructional elements than others. That is showed that learners tend to depend on default programs. 3.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takes more time to complete the programs than others. And the group that feels they are provided with less instruction spent more time per screen than the opposite group. 4. There was a low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amount of the instructional elements used and posttest scores and also between elements of option used and posttest scores. Some guidelines are recommended for the design of CAI on the basis of the result from the present study. Becaus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 the guidelines are most appropriate for a adult audience. 1. When learners start a new lesson it seems hard for them to use learner control. It is more effective tot allow them to control themselves when they perceive the subject. Hypertext-Oriented can especially be more effective when it's provided with some advisement through the learning pace. 2. Learners tend to depend on the default instructional program. When designing the program, appropriate chance of control should be given to learners considering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traits to the content and the amount of learnings. 3. CAI program should be designed for the learners to attribute the achievement to their own efforts. 4. Because too many instructional elements could decrease learner's interest, CAI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hold a learner's attention strongly and to draw their interest in learning such as using graphics, images and animations in the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