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수종-
dc.creator박수종-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9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6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2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60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환경 문제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유치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환경 교육과 부모 대상 환경 교육의 현황과 교사의 인식, 제 5 차 유치원 교육과정 중에 나타난 환경 교육과 환경 교육 관련 연수 현황과 교사의 인식 그리고 공·사립 유치원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앞으로 유아 환경교육의 나아갈 방향과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각 항목에 대해 공·사립 유치원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1. 환경 문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 환경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몇 현황은 어떠한가? 3. 제 5 차 유치원 교육과정 중에 나타난 환경 교육 내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현황은 어떠한가? 4. 부모 대상 환경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현황은 어떠한가? 5. 환경 교육 관련 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현황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47 곳의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04 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여러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제작하여 사용했으며 연구도구의 문항 구성은 교사의 신상에 관한 영역이 4 문항, 유아 환경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영역이 8 문항, 유아 환경교육 현황에 관한 문항이 14 문항, 그리고 유아 환경교육을 위한 지원요구 및 문제점에 관한 영역이 3 문항으로 총 29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질문지의 타당도는 유아교육과 교수 2 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자료의 처리는 유아 환경교육 현황과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공·사립 유치원에 따라 문항별 반응 빈도(f)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x^(2)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 오염 상태의 심각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정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사립 유치원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환경 오염 상태에 대해 많은 유치원 교사들이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가장 심각한 환경 문제로는 대기오염, 마시는 물의 오염, 냄새 및 쓰레기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현황은 다음과 같고, 이러 한 결과는 공·사립 유치원에 따른 전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단지, 유아 환경교육을 위한 지원 요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 환경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든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었고, 실제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체계적으로 잘 하고 있는 교사는 소수였다. 왜냐하면, 잘하고 있다고 대답한 교사는 매우 소수였고, 대부분이 하고 있는 편이라고 대답했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환경 교육을 "하루 일과 중 환경 교육이 필요한 상황이 생길때마다 그때 그때 실시한다"고 응답하였고, 주로 이야기 나누기와 동화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교육 내용 중 가장 많이 다룬 것으로는 '쓰레기 분기수거'와 '절약하기'로 나타났다. 유아 환경교육을 위해 갖추고 있는 고정 시설로는 쓰레기 분리수거통, 폐품 수집함등이 있었고, 효과적인 자료로 생각하는 것은 현장학습, VTR 영상자료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유아 환경교육시의 문제점들 중 가장 문제시되는 것으로 교육자료 및 참고자료의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교사의 업무부담으로 인한 환경 교육 준비시간의 부족, 환경 교육에 대한 지식의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요구사항으로는 실제 환경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시청각 자료 및 교구와 현장학습과 전학을 위한 지원을 바라고 있었고, 갖추어야 할 고정시설로는 쓰레기 분리수거통과 동물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 5 차 유치원 교육과정 중에 환경교육 내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현황은 다음과 같고, 이 결과에 대한 공·사립 유치원에 따른 부분적인 차이가 있었다. 제 5 차 유치원 교육과정 중에 환경 교육 내용이 있다는 사실은 대다수의 교사가 알고 있었다. 알고 있는 내용은 주로 '오염 문제'와 '쓰레기 분리수거'에 치중되어 있었고, 이같은 결과는 공·사립 유치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알고 있는 내용은 교사들이 실제 활용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 대상 환경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연식 및 현황은 다음과 같고, 공·사립 유치원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 환경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부모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든 교사가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실시한 교사는 매우 소수였고, 실시 방법도 가정 통신문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그 내용도 역시 '쓰레기 분리수거'나 '각종 오염 문제'에 치중되어 있었다. 다섯째, 환경 교육 관련 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현황은 다음과 같고, 공·사립 유치원에 따른 차이는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환경 교육 관련 연수 참여의사는 매우 높은 반면 실제 참여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소수로 나타났다. 연수 참여 경험은 공·사립 유치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수 내용은 '환경 오염 실태에 관한 이론', '분리수거' 등으로 실제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conditions and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e environment education for kindergarten children and parents, and the study and training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lected and it was investigated i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for each question. 1. How does kindergarten teacher percei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2. What is the current conditions and teachers's perception about the environment education for children? 3. What is the current conditions and the teachers's perception about the fifth kindergarten curriculum to the educational field? 4. What is the current conditions and the teachers's perception about the environment education for parents? 5. What is the current conditions and teachers's perception about the study and training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04 teachers being in 47 kindergartens in Seoul. In this study, based upon the previous studies, the tool was made by myself and used. The tool consists of 29 questions in total 4 questions for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 carrier, 8 questions for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about the environment education, 14 questions for the current conditions of environment education, and 3 questions for the demands and the problems in environment education for children. The adequacy of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by 2 professo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Ewha womans university. The methods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percentage, and χ^(2)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tha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re very seriou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Second, all the teachers perceived the necessity of environment education for children. Although most teachers actually performed the environment education for children, the number of teachers who systematically performed the education was only a few. It was shown that most teachers performed the education only in case of need during a daily lesson. As the methods for education, they mainly used talking with the children and fairy tales. The topics most frequently selected were the separate disposal of wastes and the saving of materia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he first serious among the problems which were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was the lack of materials for education and reference. The second was the lack of preparation time for education. The third was the lack of knowledge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And the demands were audio-visual materials and the support for the field study and an observation tri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in the demands. Third, most teachers knew the environment education-related contents in the fifth kindergarten curriculum. The known contents were limited to the problems of pollution and the separate disposal. And it was also shown that the known contents were practically applied by most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in the content which was perceived and applied by teachers. Fourth, although they perceived that the environment education for parents was needed in order to perform effective education for children, the number of teachers who actually performed the education for parents was only a few. As the method of education for parents, home correspondence was mainly used and the content of home correspondence was limited to the separate disposal of wastes and the problems of various kinds of pollu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Fifth, although most teachers expressed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the study and training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number of teachers who actually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raining was a few. It was show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 and the teachers in private was significant. That is, the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 mo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raining than those in private kindergarten. It was also shown that the topics of study and training were the theory of the actual condition of pollution and the separate disposal of wastes, which might be unuseful. in practical appli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유아 환경 교육의 정의 및 목적 = 5 B. 유아 환경교육의 내용 = 10 C. 제5차 유치원 교육 과정과 영국 National Curriculum중에 나타난 환경 교육 = 16 D. 유아 환경교육 방법 = 24 E. 유아 환경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 = 31 Ⅲ. 연구방법 = 34 A. 연구대상 = 34 B. 연구도구 = 35 C. 연구절차 = 39 D. 자료분석 = 40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41 A. 환경 문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41 B.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현황 = 43 C.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 중에 나타난 환경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현황 = 54 D. 부모 대상 환경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현황 = 59 E. 환경 교육 관련 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현황 = 63 Ⅴ. 논의 및 결론 = 68 A. 요약 및 논의 = 68 B. 결론 및 제언 = 75 참고문헌 = 78 부록 = 82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780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치원-
dc.subject환경교육-
dc.subject교사-
dc.subject인식-
dc.title유치원의 환경교육 현황과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urrent conditions and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environment education for kindergarten dhildren-
dc.format.pageix, 9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