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선-
dc.creator김영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8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3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1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374-
dc.description.abstract산업자본주의에 토대를 두고 있는 현재의 한국사회가 조선시대의 봉건적 생산양식과 다름에도 불구하고 유교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는 나름대로의 상대적 자율성을 지닌채 재생산되고 있다. 현재 우리사회의 가부장적 기제를 파헤치고 해체하기 위해서 그 변화와 지속의 과정을 확연히 드러내는 선행작업으로 조선사회에서 유교를 매개로 한 여성억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반한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시대 가부장제가 유교 이데올로기를 매개로 생활세계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여성과 남성을 공간분리시키고 공적 영역으로부터 여성을 배제하여 그들에 대한 통제와 지배를 강화하였는지 고찰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공간통제의 결과 강화되고 있는 가부장제 매커니즘을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분석사료로 삼은 것은 조선시대 국가통치의 법률근간을 형성하였던 『經國大典』과 여성들에게 유교 이데올로기를 내면화시키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써 사용되었던 女性敎訓書 등이다. 그리고 경상북도 경주군 강동면 양동리의 양반 동족마을을 조사대상지로 선정하여 여성구술사(feminist oral history)방법 중 생애사(life history)방법을 사용하여 그곳 할머니들을 심층면접하였다. 또한 가옥내에서의 구체적인 여성통제기술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형적인 양반층 상류가옥인 香壇을 실측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초기 주자학을 신봉하는 양반관료들의 불교억제라는 정치적 목적으로 인해 여성의 외출금지가 『經國大典』속에 법조항으로 규정되었다. 또한 유교 이데올로기의 女性斃面 원칙에 근거하여 그간 공적영역에서 이루어졌던 여성의 모든 활동은 남성에 의해 대리처리되어 결국 가옥내부로만 행동반경이 축소된다. 둘째, 유교의 內外法에 근거한 男女有別의 이데올로기는 가옥구조에 반영됨으로써 조선중기부터 양반층 상류가옥은 口字形의 폐쇄형태고 변화되면 여성과 남성의 영역이 엄격히 분리된다. 양반층 상류가옥 사랑채의 큰사랑은 마을전체 주민들의 감시에 용이한 가시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옥내 가족구성원들의 통제를 가능케 하는 전략적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구조가 가부장에 의한 여성통제의 기술을 효과적으로 지지한다. 셋째, 유교 이데올로기의 남녀 공간분리와 여성유폐의 원칙은 가사노동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최적의 조건을 조성하는 이념적 기반이 될 수 있었다. 폐쇄적인 안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여성의 재생산 노동의 이익은 가부장제를 유지하는 물적 토대를 형성하였으며, 이에 기반하여 남성들은 부계친 중심의 친족체계 강화와 공적영역에서의 지식생산과 정보유통, 권력의 재생산을 이룩할 수 있었다. 넷째, 국가와 가부장간의 상호연결차원의 여성교훈서 발간과 여성교육의 전담은 유교 이데올로기를 하나의 정당성으로 삼아서 조선시대 여성들을 신분을 초월하여 열녀로 만들려는 성(sexuality)통제와 성별분업에 기반한 가사노동을 성심껏 수행하도록 하려는 노동통제의 의도가 담겨져 있다. 공간이 가부장적 권력에 의한 여성통제의 핵심적 場이 되는 이유는 위와 같은 남녀분리의 물리적 구조가 여성에 대한 성통제와 노동통제를 가능케하는 효과적인 통제도구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외부세계와 정보 및 인적 교류와 단절된 채 폐쇄구조의 안채에서 과다한 가사노동에 시달렸던 여성들은 '婦德'을 '法道'로써 규정한 女性敎訓書를 통해 태어나면서부터 사회화된다. 이러한 유교 이데올로기의 내면화는 여성의 '체념'이나 '순응' 등의 행위로 표출됨으로써 가부장제의 강화와 여성의식의 무력화로 이어지고 있다. 그간 공간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던 사회과학이론들은 산업자본주의 이후 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자본의 공간재편 움직임과 근대적 감시공간을 중심으로 한 일상의 미세한 권력통제기술 등에 촛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시켜 왔다. 이러한 방법론을 일터와 가정이 분리되지 않았던 봉건시대의 가옥에 촛점을 맞추어 여성에 대한 공간통제와 남녀권력관계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조선시대 가부장제의 여성지배구조를 밝히고자 했다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ies is to exam how the patriarchy is excluded women in the public sphere and separated sexes in daily life at house space through the medium of Confucian tene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make a selection of the Yang-Dong village in Young-Nam area, participates in it's community, and interviews old female residents by the use of life history methodology. At the same time, I analyze historical materials which is both Kyoung-kuk-dae-seun(經國大典 a state law in Choson dynasty) and Ye-seoung-kou-hun-se(女性敎訓書 books for wome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ith the beginning of the Choson dynasty, the acculturation of Confusion tenets was pursued on a very large scale ranging from the political institution to the concrete human relations of various kinds. In the early days of the Choson dynasty, the dissemination of "Sam-Kang" ethics(三綱五倫) or the moral principles of the Three Bonds was persistently pursued through the rigid enforcement of family etiquette written by Chu-ja(朱子), publication of "Sam-kang-hang-sil-do"(三綱行實圖) for extensive diffusion. Confucianism was the prominent factors affecting the housing phenomena during the Choson dynasty. Worshipping ancestors was the deep-rooted limiting factor in housing phenomena. Ancestral shrine was kept in the house, which enforced the worshipping ancestors sentiment, strong bond with the clan, elder dominance and patriarchal system. These traditions provided the bases forcing the descendants live in the same house uses where the ancestors lived. During the Choson dynasty the formation of house was organized to reinforce confinement of the female members of the family add to emphasize the patriarchy's authority based on the tendency to keep the opposite sex away. the living section(Sarang-chaea)had more majestic apparence and the living section of the female members(An-chae)had □ shape in house remaining in areas where the tradition of predominance of men over women was strong. The principal criteria for the space occupation were sex segregation and lineup of family hierarchy, and consideration was made in house formation to separate sexes in daily life. finding was that the continuation of family line was a important factor in space occupation giving less considerations to the off-springs other than the first son. Women of Choson dynasty overworked in An-chae from birth to death. The skill for women's confinement support the patriarchy's control of women in house spa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1. 문제제기 및 이론적 논의 = 1 2. 연구내용 = 11 가. 연구시기 : 조선시대 = 11 나. 연구대상 : 양반층 여성 = 13 3. 연구방법 = 15 4. 연구과정 = 20 가. 조사지역 선정 = 20 나. 진입과 조사과정 = 22 Ⅱ. 조선시대 여성에 대한 국가의 신분규정 및 지배체계 = 25 1. 유교원리에 기반한 조선의 통치권력구조 = 25 2. 국가와 가부장간의 상호 여성통제구조 = 33 가. 국가의 정절이데올로기 강조와 정표정책 = 33 나. 여성교훈서 저술·보급체계와 내면화과정 = 37 Ⅲ. 양동마을의 사회·지리적 배경 = 42 Ⅳ. 공간통제 = 48 1. 가옥의 물리적 통제장치 = 48 가. 피지배층을 위압하는 상징체로서의 가옥 : 가사·가대·장식 = 48 나. 마을 통행자들에 대한 감시장치로서의 가옥 : 위치·구조 = 50 다. 남녀분리 및 통제장치의 물리적 핵 : 벽과 문 = 54 2. 남성의 공간 = 57 가. 가부장권 재강화 토대로서의 공간 : 사랑채 = 57 (1) 長子의 방의 이동과 가부장권 이양과의 관계 = 57 (2) 외부와의 정보공유의 장 = 62 나. 관료진출과 유교이념 재생산의 장 : 책방·서고 = 65 다. 부계친 영속화의 상징공간 : 사당·제묘 = 69 3. 여성의 공간 = 74 가.혼인을 매개로 변화되는 공간 : 親家에서 媤家로 = 74 나. 가부장제의 물적 토대를 이루는 재생산공간 : 부엌과 안방, 며느방 = 79 (1) 여성의 방의 이동과 가사통제권 이양과의 관계 = 79 (2) 침범되어지는 공간 : 새방 = 83 (3) 가사노동의 공간 = 87 Ⅴ. 결론 = 97 참고문헌 = 101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886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선시대-
dc.subject양반가옥-
dc.subject공간구조-
dc.subject여성통제-
dc.title조선시대 양반가옥의 공간구조를 통해 본 여성통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영남 良洞마을 香壇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trol of Women through the Yang-Ban(兩班) House structure in the Choson Dynasty : in case of the Hang-Dan(香壇) at Yang-Dong Village in Young-Nam area-
dc.format.pagev, 10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