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4 Download: 0

바울의 성서 해석 연구

Title
바울의 성서 해석 연구
Other Titles
(A) Research of Paul's Use of the Scriptures
Authors
김성희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바울성서 해석계약공동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Understanding Israel's Scriptures as God's Word for Eschatological Communiny, Paul used it for his theological discussion. But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Paul's hermenutical prinnciple, because he did not directly comment his view on Scripture and hermenutical method. However, modern Bible readers concern about Paul's purpose of using the Scripture and his hermenutical method. So, they look forward to seeing a model for a proper Bible reading. Researches on Paul's hermenutic have been actively carried on since historical criticism. But conclusions have been always limited on historical criterion : How did Paul use the original text exactly! For example, Gardner, Harnack, Bultmann who were affected by Schleiermacher's progeny estimated that Paul had misread the Bible quantly. Because they have been regarded that Paul's reading of the Scripture as peripheral to the core of his religious experience. Secondly, conservative scholars like Ellis, Goppelt, Kaiser defended that Paul' hermenutic was right Christological interpretation. The third, Longeneker who seeks to minimize the gap between Israel's Scripture and Paul's theology justified Paul's methods of interpretation with Jwish hermenutical methods. But these researhes are inclined toward historical basis, so they lost Paul's real purpose of using the Scripture. This thesis concentrates on Paul's letter itself unlike analytic historicism. This method is a literary approach. In order to develop the thesis the writer introduces the definition, "Intertextual Echo," which is popular in Literary Criticism, and applies it to the Chapter 3 of the Second Corinthians. The Chapter 3 of Ⅱ Corinthians is important text that reflects Paul's understanding of the Scripture and its function. In Ⅱ Cor 3, Paul uses it neither seriously nor analyticaly. But he did it in the method of intertextual echo. So he produced new texts echoing old ones, because he understood Israel's Scripture as the narrative of God's slavation. And he was not interested in the text itself, but the experience of the Christian life within the New Covenant Community. In conclusion, this thesis suggests that modern Bible readers must read it with intertextual method within the New Covenant Community like Paul.;바울은 이스라엘 성서를 '종말적 공동체'(escatological community)를 위한 하나님의 말씀으로 이해함과 동시에, 자신의 신학적 변증을 위한 자료로 사용한다. 그러나 바울은 구약 성서에 대한 견해나 해석학적 방법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기 때문에, 그의 서신으로부터 바울의 해석학적 원칙을 추론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완성된 정경'으로 그의 서신을 읽는 독자들에게 바울의 성서 해석 목적 및 방법은 큰 관심사이며 중요한 신학적 사안이다. 바울의 성서해석에 관한 연구는 역사비평 이후 활발하게 진행되어 다양한 연구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전개된 바울의 성서해석에 대한 평가 기준은 바울이 구약 본문을 얼마만큼 정확히 알고 잘 사용하였는가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대답을 추구하는 것에 한정지어졌다. 그리하여 종교적인 경험만을 중요시하는 Schleiermacher계 학자들은 바울의 성서해석이 역사적인 오류를 범한 것이라고 하고, E. Ellis를 비롯한 보수적인 학자들은 원본문으로부터 빗나간 바울의 성서해석을 기독론적 관점이라는 것으로 옹호하며, 양자의 중간적 입장을 취하는 R. Longeneker는 1세기 유대 해석학의 범주로 바울의 해석방법을 정당화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비평의 지배를 받는 성서 연구는 분석적이고 객관적인 연구에 치우친 나머지 이미 완성된 본문 자체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바울의 성서해석 목적의 본질을 간과하였다. 본 논문은 역사비평적 기준으로부터 바울의 성서해석을 연구하는 입장과 달리 이미 완성된 본문을 중요시하여 '바울 서신 그 자체 읽기'로 부터 출발하는 문학비평적 접근을 시도한다. 이것을 위해 현재 문학비평에서 관심되고 있는 '상호텍스트적 반향'(Intertextual echo)이라는 개념을 소개하고 고린도 후서 3장에 적용시켜 바울의 성서읽기 방법 및 목적을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한다. 고린도 후서 3장은 바울의 사도직과 그의 선교의 합법성의 문제를 변호하는 단락으로, 바울의 성서에 대한 이해와 그 기능을 반영하고 있는 중요한 본문이다. 지금까지 역사비평을 통해 진행되어 온 본문 연구는 고린도 후서 3장이 출34:25-39에 대한 미드라쉬이며, 바울은 1세기 유대 해석학의 방법을 사용하여 성서를 해석한다는 것에 한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은 바울의 성서 해석의 이해를 축소시키는 것이며 그의 성서사용 목적 및 동기를 충분히 설명해 주지 못 하였다. 본 논문은 성서를 분석적으로 연구하기에 앞서 본문을 하나의 완성된 문학작품으로 읽는 것에서 출발하여 '상호텍스트적 반향'을 중심으로 고린도 후서 3장을 연구한다. 그 결과 바울은 이스라엘의 성서 자료를 엄밀한 역사적 주석을 통한 원문 그대로의 인용이 아니라, 상호텍스트적으로 사용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고 있음을 살핀다. 또한 성서를 새 계약 공동체 안에서 하나님이 그의 백성을 구원하시는 이야기(narrative)로 이해하고 텍스트 그 자체 보다는 그것을 읽는 독자들의 삶의 변화에 관심하였다는 것을 밝힌다. 그리하여 그의 진정한 성서해석의 전제이자 출발점은 자유로운 영(spirit)의 활동으로 이루어진 '새 계약 공동체의 변화된 삶 '이며, 이것이 바울의 사도직 변호의 근거가 되는 동시에 올바른 성서해석의 증거임을 제시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