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5 Download: 0

여성해방신학의 입장에서 본 기독론에 대한 연구

Title
여성해방신학의 입장에서 본 기독론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rist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eminist Theology of Liberation
Authors
金秀娟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여성해방신학입장기독론기독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예수그리스도가 누구인가'하는 질문에 오늘날 여성의 입장에서 대답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여성의 경험과 전망에서 그 질문에 답한다는 것은 이제까지 배제된 여성의 경험과 구원/해방을 위한 투쟁의 경험을 기독론의 테두리 안에서 의미있게 해석하려는 것이다. 서론은 전통적인 기독론의 내용이 여성 억압의 도로 사용되어 왔음을 구체적인 문제로서 제기하였고, 또한 이 글의 목적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철학적 해석학, 역사비판학 등이 억압적인 상황을 비판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방법론으로 사용되었음을 밝혔다. Ⅱ장은 문제제기의 타당성을 보이기 위해 가부장적인 억압적 기독론의 이미지와 특히 전통적인 속죄-기독론의 내용을 분석하고 비판하였다. Ⅲ장은 억압적인 가부장적 기독론에 대한 여성신학자들의 비판과 대안을 검토하였으며, 특히 탈기독교 여성신학자 메리 데일리, 기독교 개혁주의 입장의 로즈마리 류터, 흑인 여성신학자 재클린 그랜트, 그리고 아시안-아메리칸 여성신학자 리타 브락의 기독론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Ⅳ장은 한국 여성신학의 기독론을 소개하고 평가하였고, 역사비판학과 해석학의 입장에서 본 그리스도를 제시하여 비판적 평가의 하나의 틀로서 여성해방적인 기독론이 가능함을 보이고, 그러한 기독론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결론에서는 이 논문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의의를 제시하였고, 아울러 한계를 제시하여 앞으로의 과제로 삼았다.;It is my intention to present an answer as to who Jesus Christ is from the standpoint of women in our society. To answer that from women's point of view is meaningful, for women's experience of opression and also struggle for liberation/salvation can best be explaned in the realm of Christology. And nowadays opression is detected in a more complex and subtle way through the mechanism of patriarchy and patriarchal Christ symbol, so a christology as a critical hermeneutical framework, i.e., a power of transforming is sought in this paper. Christology is being applied to recognize the oppressive situation that women may be facing and encourage them to struggle with their critical viewpoint. In the introduction, the discrimination againt women and politic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it is being suggested as a discussion topic, and historical-critical approach and hermeneutical philosophy as a methodology is also suggested. And in chapter Ⅱ, opressive patriachal christ symbol and atonement christology have been introduced and analized to prove the pertinence of the topic as the focal point of the discussion. And then in chapter Ⅲ, the criticism and proposals by woman theologian who share the similar view on patriarchal christology have been reviewed. A close attention has been paid to radical post-christian Mary Daly, reformist Rosemary Radford Ruether, black theologian Jacquelyn Grant, and Asian-American Rita Nakashima Brock. And in chapter Ⅳ, Korean image of Christ is being introduced and analized. And a christology from a perspective of the critical feminist theology of liberation, i.e., a christology as a feminist interpretive framework is being suggested. In conclusion the thesis is being summarized with a few suggestions. Due to the limitation on the study of thesis, the possibility for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