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9 Download: 0

심리극을 통한 사회성과 대인간 갈등해결방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심리극을 통한 사회성과 대인간 갈등해결방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ociability and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Mode Changes In Group Counseling Psychodrama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심리극사회성대인간 갈등해결방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심리극이 사회성과 대인간 갈등 해결 방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심리극을 이용한 효과적인 대인관계 훈련"이라는 광고를 통해 자발적으로 찾아온 고등학교 1, 2학년 1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들은 6회의 심리극을 경험하는 집단과 그 기간동안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나누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과 대인간 갈등 해결 방식의 사용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였다.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하여는 두가지 척도를 사용하였는데, 성격진단 검사 하위척도 중 사회성척도와 Trower, Bryand & Argyle(1978)이 개발한 사회적 장면척도를 홍경자·김선남(1987)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대인간 갈등 해결 방식의 측정은 Sternberg와 Dobson(1987)이 개발한 16개의 갈등 해결 방식 척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심리극 경험후 심리극 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성격 측면에 속하는 사회성에 있어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심리극 경험후 심리극 집단과 통제집단간에는 여러가지 사회적 장면에서 느끼는 불편감에 있어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심리극 집단은 심리극을 경험하기전 보다 경험 후에 사회적 장면 척도에 있어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인 반면, 통제집단은 사회적 장면척도의 사전·사후검사의 차가 의미있지 않았다. 3. 심리극이 대인간 갈등 해결 방식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심리극 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해 본 결과 심리극은 능동적 갈등 해결 방식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심리극 집단에서 심리극을 받기 전 보다 심리극을 받은 후에 능동적 갈등 완화방식을 유의미하게 더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심리극 집단에서 심리극을 받기전 보다 심리극을 받은 후 능동적 갈등 적화 방식은 유의미하게 더 적게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심리극 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할 때 심리극의 경험이 수동적 갈등 해결방식 사용에는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동적 갈등 완화 방식과 수동적 갈등 격화 방식 모두에 대하여 심리극 집단이 심리극 경험 전과 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심리극이 비교적 안정된 성격특성인 사회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았으나 사회적 장면에서 느끼는 불편감에 대하여 다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대인간 갈등 해결 방식중 수동적인 방식 사용보다는 능동적인 방식 사용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능동적 갈등 완화방식 사용은 증대시키고, 갈등 격화 방식 사용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This study tries to measure changes of sociability and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modes through the process of a group counseling psychodrama.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undergrate high school students 16 in number who came voluntarily after they read advertisements of "effec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raining by psychodrama". They were assigned equally to the psychodrama group and participated in a total of 6 group sessions and control group. This study evaluated changes of sociability and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modes. The sociability evaluation used two tests; the sociability scale, developed by Sangro, Kim et a1.(1969), and the social scene scale developed by Kyngja, Hong et al. (1987) The measurements used were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modes developed by Sternberg et a1.(198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 1. After participating in the psychodram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r sociability concerning personality aspects between the psychodrama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 After participating in the psychodram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social scene scale. But in the case of the psychodrama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sychodrama, while in case of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pre-post test. 3. The result of change through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modes and through the process of group counseling psychodrama were as follow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active conflict resolution mode. (1) The psychodrama group showed increased use of the active conflict mitigation mod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sychodrama. (2) The psychodrama group showed a decreased active conflict intensify mod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sychodrama.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passive conflict resolution mode. There were no signiflicant differences with the passive conflict mitigation mode and the passive conflict intensify mod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group counseling psychodrama was not a positive change on sociability regarding personality aspect, but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ocial scene scale. In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modes, i he group counseling psychodrama cre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active confilct resolution mode more than the passive conflict resolution mode. The increased active conflict mitigation mode especially decreased the active conflict intens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