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물을 매개로 한 수변공간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물을 매개로 한 수변공간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isual Quality Enhancement for The Riverside Environment
Authors
이해련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Keywords
수변공간환경디자인한강시민공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Generally, we can think that the urban culture has been formed ana developed on the riverside. It proves the historic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urban area and water that the central area of almost all cities with a long history locates on the riverside. Namely, water is very important fector to human existence and the development of urban area. The environment of river, the importance of which has been shrouded in urbanization and mechanization after the nineteenth century's Industrial Revolution, is seriously thought about its importance concerning the recovery of humanity and return to the nature. Also the desire for the riverside environment for leisure behavior that is caused the economic extension and the increase of leisure time stimulates the intention of the waterfront development in urban area. Urban river, usually, includes plentiful open space for leisure sports, and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of being attractive public space. So we can consider that a new design method different to the general landscape design is needed for presenting 근he function of river itself. The landscape of river has a certain meaning with various factors which compose the environment including river. But Han-River Development Plan, which had been promoted by Seoul city since 80's made the riverside of Han-River from Jamsil to Haengju Bridge indiscriminately with no characteristics. These indiscriminate developments require introduction of new approach for design method in respect of urban beautification and land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rogressive model that can furnish exciting space of amenity to the urban dwellers in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ism. This study is concidered from the angle of water and urban waterfront in case of Han-River Public Park, and the Method and process of the study are; Chap.1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2 Theoretical study for environmental desig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water and urban landscape, urban area and river landscape and ecological viewpoint about environment are concidered in this chapter. Chap.3 The status and problems of Han-River Public Park. In this chapter, the status of case area is researched into and analyzed the problems. The contents are as following; Inferiority of the Han-River's landscape Poor plan and design without consideration of site Lack of historic space and culture space Lack of access road and safety destruc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Chap.4 Pre-Plan for environmental design The goal ana standards of design are presented in this chapter with the base of analysis in previous chapter following; Creating Han-River as a symbolic image in Seoul Creating the comfortable riverside park for people Creating the recovery space for ecological environment Creating the natural educational space for children Creating the terminal space for water-transportation Chap.5 Presentation of alternatives Chap.6 Conclusion We can understand the value of water, and the recognition of the beau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landscape development through this study. Also, it car be thought that there are many room for development of the waterfront design, and we have to create not only riverside but also human life style.;도시의 문화는 수변에서 형성되어 발전해 왔다. 오랜 역사를 갖는 도시의 도심부의 입지가 수변 가까이에 있음이 바로 물과 도시발전의 역사성을 한 마디로 말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인간생활과 도시의 발전은 물을 바탕으로 발전해 왔다. 그리고 산업혁명 추 도시화 및 기계화의 그늘속에 가리어 관심속에서 벗어났던 하천의 환경은 매몰된 인간성의 회복과 자연에 대한 복귀가 논의되면서 다시 한번 그 중요성이 거론되었다. 한편 세계적인 경계신장과 여가시간 증가에서 오는 여가 활용을 위한 수변에 대한 동경은 도시속의 새로운 수변발전에 큰 자극이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도시의 하천은 자연성이 풍부한 녹지공간인 동시에 다양한 여가활동이 가능한 공공공간으로서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하천 본래의 기능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설계와는 달리 하천경관을 위한 설계방법이 필요하다. 하천경관이란 하천을 비롯한 그 환경을 이루는 요소 요소들이 모여서 전체를 이루며 그 전체가 어떤 의미를 갖게 된다. 그러나 80년대부터 서울시에서 추진하여 온 한강종합개발계획은 요소요소의 집합인 경관을 무시한 채, 잠실에서 행주대교에 이르기까지 똑같은 얼굴로 만들어 버렸다. 이러한 일률적인 개발은 도시미학적 측면과 토지이용의 측면에 있어서 새로운 디자인적 접근방법에 의한 설계형식의 토입을 재고케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주의적 관점에서 도시하천의 자연성을 꾀하는 한편 도시민의 여가활동을 위한 쾌적하고 활동적인 공간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발전적인 모형 사례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물과 도시수변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고찰되었으며, 한강시민공원을 사례대상지로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과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제1장 :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2장 : 환경디자인을 위한 이론적 연구로 요소로서의 물과 도시경관과의 관계, 도시와 하천경관과의 관계 그리고 환경에 대한 생태주의적 관점에 대하여 관련서적과 연구논문을 통해 고찰하였다. 제3장 : 기존 수변공원의 사례로 한강시민공원의 시설 및 이용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한강경관의 불량 ○ 수공간을 무시한 육역중심의 시설 ○ 역사 및 문화공간의 단절 ○ 한강변 접근로의 부족과 안전성 결여 ○ 생태공간의 파괴 제4장 : 3장에서 정리된 문제점과 사례대상지의 경관 및 현황분석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환경디자인 계획의 방향설정을 제시하였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서울시의 상징적 존재로서의 한강 만들기 ○ 서울시민을 위한 쾌적한 강변휴식공간 만들기 ○ 자연생태계의 수복을 위한 공간 만들기 ○ 자연학습적 공간 만들기 ○ 한강을 이용한 수상교통의 거점공간 만들기 제5장 : 앞의 연구를 근거로 대상지의 공간이용계획의 4가지 대안을 제시한 다음 평가에 의해서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제6장 : 결론으로 연구를 맺는다. 이상의 과정에 의한 연구를 통하여 잊고 있었던 물의 가치를 다시한번 인식할 수 있었고 미적인 인식에 대한 시민의식의 향상이야말로 미적인 경관의 개발적 측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라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에 따른 실천의 시작으로 수변공공공간 환경디자인 연구에 의의를 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