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조선미술전람회 출품 산수화 연구

Title
조선미술전람회 출품 산수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landscapes exhibited Chosun Art Exhibition
Authors
김우경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조선미술전람회산수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에서 사회·문화적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서 19세기 말부터 이어진 혼란과 갈등은 20세기가 되면 한층 더 심화되어간다. 또한 새로운 서구문물의 유입과 일본의 강점에 따른 문화적인 영향은 화단에도 그 영향력을 파급시키게 되었다. 조선미술전람회는 1922년에 조선총독부 주관으로 설립된 대규모의 공모전이다.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조선미술전람회는 운영체제, 심사방법 둥에서 일본화하려는 정치적인 목적으로 인한 부정적인 요소도 갖고 있지만, 대규모의 공모전이었으므로 미술의 대중화나 작가들의 작품 발표회장 및 신인 작가들의 등용문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면모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성격의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입선된 산수화들은 대략 6가지 경향으로 분석하였다. 20세기 이전의 산수화 전통적 형식을 고수하고자 하였던 고전적인 산수화, 전통적인 산수화의 형식위에서 실경을 추구하면서 변화를 주고자 했던 실경 지향적 산수화, 전원 소재 산수화, 대(對)자연 풍경화, 도시 소재 풍경화, 실험적 산수화, 이렇게 6가지 경향으로 분석하였다. 동양의 산수화에 있어서 소재는 자연의 본질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표현되는 수단인 반면, 서양의 풍경화는 자연을 표현할 때, 시각적이고 조형적인 관찰에 의한 사실화를 추구하고 있다. 풍경화가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기록한다는 점에서는 동서양이 일치하지만, 자연을 관찰하는 시각은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20세기 초만 격변하는 시대에 한국의 산수화가들이 변화를 받아들이고 조화시키는지에 대해서 위의 6가지 경향은 변화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소재면에서는 다양한 소재들이 하나의 조화를 이루어내던 것에서 한 소재가 중심이 되고 나머지는 배경을 이루게 된다. 구도면에서는 전통적인 구도가 무너지면서 근경지향, 즉 대상 중심의 구도로 변하며, 기법면에서는 원근법, 명암법이 들어가면서 점차 사실경을 사생해놓은 방법으로 그리고 있다. 그러한 변화는 전통적인 산수화에 부분적으로 시도되다가 점차 그 영역을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또한 변화의 단계 단계가 하나의 양식화되어 모두 공존하고 있다는 것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수적인 분위기의 형식적인 전통 산수화를 제작하던 산수화단에 대해서 조선미술전람회는 보수적인 전통 산수화 뿐만 아니라 변화를 수용하여 다양한 실험 작품들을 발표하고 일정한 양식을 형성하고 있었고, 당시 조선미술전람회의 성격으로 미루어 하나의 시대양식을 이끌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선미술전람회의 산수화단은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여 다양한 양식의 작품을 발표할 수 있는 장소이며, 동양의 산수화에서 서양의 풍경화에로의 이행과정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한 시대양식을 이끌어 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Social disorder and conflicts in Korea which began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ere intensified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culture and the occupation of Japan had impacts on Korea culture even dn the artist 'world. The Chosun Art Exhibition was a large-scale open competition hel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a part of Japan's cultural policy in 1922. In fact, it had many negative aspects caused by its political intention of Japanization in terms of operation system and screening method. Despite these negative aspects, thanks to its characteristics of a large-scale open competition it played positive roles in giving painters opportunities to exhibit their works, recriting new ones and popularizing arts. The winning landscapes In the Chosun Art Exhibition are roughly analized into six trends. The six trends are a classical landscape which tends to adhere to the traditional method of the late 19th century, a landscape painting which pursues real landscape and gives variety to the traditional landscape at the same time, a landscape painting of which subject matter is pastoal scenery, a landscape painting with nature, one of which subject matter is urban scenery and the last experimental landscape. This clssification is based on their subject matters. Subject matter in the oriental landscape had a symbolic meaning as a means to express nature while the western landscape was in pursuit of realistic painting based on visual and formative observation in expressing nature. Even though the oriental and the west had consensus on that landscape reflects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the orienal point of view to observe nature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 With regard to the way the Korean landscape painters took and settled the difference, the above six groups show its transition process. The landscape circle of the Chosun Art Exhibition was a place where new changes could be made and a variety of style of art works could be exhibited. Besides,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showing the transition from the oriental landscape to the western landscap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