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5 Download: 0

여성노인의 자가간호역량과 생활만족도

Title
여성노인의 자가간호역량과 생활만족도
Other Titles
Self-care agenc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old woman
Authors
김태연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여성노인자가간호역량생활만족간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여성노인의 평균수명이 남성노인보다 높음에 따라 60대 이상의 노령 인구중 여성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러나 여성노인은 남성노인보다 만성질환의 유병율이 높고, 만성질환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더 많은 지장을 받고 있다. 한편, Nicholas(1990)는 노인에게 있어 자가간호는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하였으므로, 자가간호를 통한 건강의 증진은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먼저 간호사는 여성노인이 자가간호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사정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자가간호를 할 수 있는 능력을 Orem은 자가간호역량이라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자가간호역량과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가간호 전략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간호학에서의 여성노인에 대한 관심을 고무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내에 소재한 2곳의 노인정과 노인대학에서 임의 표집한 60세 이상의 여성노인 60명이었다. 자료는 질문지를 이용한 개인면접을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1996년 4월 1일 부터 4월 30일 까지 였다. 연구도구로 소향숙(1990)이 번역한 Geden and Taylor(1988)의 Self-As Carer Inventory와 윤진(1982)이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표준화시킨 『노인 생활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altion Coefficient 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나이는 70-74세가 25%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정도는 무학이 51.7%로 가장 많았고, 종교는 기독교가 73.3%로 가장 많았는데 이것은 교회에서 운영하는 노인대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직업의 경우를 보면, 직업이 없는 여성노인이 91.7%로 가장 많았고, 과거직업을 살펴보면 무직이 48.3%로 가장 많아 대부분의 여성노인이 전업주부였음을 알 수 있다. 결혼상태는 사별하여 독신인 여성노인이 66.7%, 배우자와 함께 사는 여성노인이 33.3%로서 대부분의 여성노인이 무배우자인 독신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거유형은 결혼한 아들과 함께 사는 여성노인이 48.3%로 가장 많았으며, 사회활동은 종교활동이 65%의 가장 많았다. 한달 용돈은 10만원에서 15만원 미만이 18.3%, 7만원에서 10만원 미만이 16.7%, 15만원에서 20만원 미만이 16.7%, 3만원에서 5만원 미만이 13.3%, 20만원에서 30만원 미만이 11.7%, 30만원 이상이 10%였다. 2. 여성노인의 자가간호역량의 평균 평점은 3.61점 (SD=1.05)으로 중 정도의 자가간호역량을 나타내었다. 요인별 자가간호역량의 평균평점은 신체적 기술이 4.15, 자기관리에 대한 주의력이 4.15, 자기조절에 관한 인식이 3.95, 인지적 측면이 3.32, 정보추구행위 3.29, 의사결정 및 판단과정이 3.14의 순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기술에서는 "자신을 돌보는 일은 가족의 생활 무리없이 잘 맞는다"가 4.47로 9문항중 가장 높았고, "내가 일단 새로운 건강관리 방식을 채택하게 되면 일상생활방식에 무리없이 적응한다"가 3.3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기관리에 대한 주의력은 "나 자신을 돌본다는 것은 내게 중요한 일이다"가 5.03으로 가장 높았으며 "내가 평소에 좋게 생각하지 않았지만, 그것이 나에게 최선의 건강관리 방법이라면 그대로 따르겠다"가 3.43으로 낮게 나타났다. 자기조절에 관한 인식은 "나 자신을 돌보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힘(에너지)이 필요한 지를 안다"가 3.95로 나타났다. 인지적 측면은 "건강관리를 위해 전문가가 나에게 지시한 사항을 반드시 지킨다"가 4.00으로 11문항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나는 건강관리를 위해 매일 지켜야 할 규칙을 가지고 있다"는 2.4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보추구행위에서는 "나의 건강관리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가 3.97로 높게 나타났으며 "몸에 이상이 있을 때 나는 건강에 도움이 될 만한 자료들을 찾아본다"가 2.48로 낮게 나타났다. 의사결정 및 판단과정에서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지켜야 할 사항들을 나는 잘 알고 있다"가 3.47로 높게 나타났으며 "나는 건강관리에 대한 어떤 결정을 내리기 전에 여러 가지 방법들의 장·단점을 알아 보는 편이다"가 2.83으로 났게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정도, 결혼상태, 사회활동, 용돈에 따른 자가간호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무학인 여성노인의 자가간호역량이 가장 낮았고, 국민학교 졸업, 고등학교 졸업, 대학교 졸업 이상의 순서로 높았으며, 배우자와 함께 사는 여성노인이 사별하여 독신인 여성노인보다 높았다. 또한 학습활동을 하는 여성노인의 자가간호역량이 가장 높았고 노인회, 노인정 등의 노인모임활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이 가장 낮았다. 한달 용돈 액수가 1-3만원 미만인 여성노인이 가장 낮고 30만원 이상인 여성 노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의 평균평점은 2.29점(SD=0.49)으로 중정도의 생활만족도를 나타내었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정도, 종교, 사회활동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대학교 졸업 이상인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불교를 종교로 갖는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회, 노인정등의 노인모임활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가 가장 낮았고 학습활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이 가장 높았다. 6. 여성노인의 자가간호역량과 생활만족도는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5326, P<0.001). 요인별 자가간호역량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도 자가간호역량의 정보추구행위(r=0.2180, P>0.01)를 제외한 인지적 측면(r=0.4685, P<0.001), 신체적 기술(r=0.6345, P<0.001), 의사결정 및 판단과정(r=0.3698, P<0.01), 자기조절에 관한 인식(r=0.3547, P<0.01), 자기관리에 대한 주의력(r=0.4321, P<0.001)이 생활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서 자가간호역량이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자가간호역량의 요인별 분석에서 신체적 기술, 자기관리에 대한 주의력의 점수에 비해 인지적 측면, 정보추구행위, 의사결정 및 판단 과정의 점수가 낮았으므로 간호사는 여성노인의 신체적 능력과 학습능력을 고려한 개별적인 건강상담과 교육을 통하여 여성노인의 전체적인 자가간호역량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앞으로 여성노인은 더욱 증가할 것이며, 이들은 복합적이며 만성적인 건강문제를 지니고 더 오랜 세월을 살아가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여성노인의 건강문제에 더욱 관심을 갖고, 이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실무와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여성노인들에게 간호사가 자신의 건강증진을 위해 매우 유용한 인적자원임을 인식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론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여성노인의 자가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 여성노인의 자가간호역량과 자가간호 그리고 건강상태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4. 여성노인이 수행하고 있는 자가간호 또는 건강습관을 사정하여 실제적일 자가간호 전략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The old woman lives longer than the old man but they has many heath problems. Many research for life satisfaction of the old has suggested that life satisfaction of the old woman is lower than the old man. One of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is the old's perceived health. Self - care is the good nursing intervention improving health. And self-care agency Is the power doing self-care.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self-care agenc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old woma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us to prepare the basic data to deveplop self-care strategy improving the old woman's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60 persons, over age 60 years, who were conveniece sampled the old woman from 2 old schools and 2 senior citizen's centers in Seoul. Data was collected during personal interviews with a questionnaire from April 1, 1996 to April 30, 1996. The measurement tool were Self - As Carer Inventory devloped by Geden and Taylor and translated by So, Hyang Sook(1990), and Life satisfaction Tool deloned by Yun, Jin(1982). Data was analyzed by the S.A.S. computer program and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irzed as follows; 1. The mean of self-care agency was 3.61 (SD=1.05) and this means that the old woman had moderate self-care agency. 2. The mean of life satisfaction was 2.29 (SD=0.49) and this means a moderat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exists among the old woman. 3.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are agency and life satisfaction(r=0.5326, p=0.0001). Therefore,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the old woman, it is necessary to provide nursing interventions for encouraging self-care.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self-care agency of the old woman was a factor in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the old woman who is lower than the old man. So nurse who works in the community with the old woman have to access the old woman's self-care agency and encourage self-ca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