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0 Download: 0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Title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body image and self esteem for the Hemodialysis patient
Authors
안재현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혈액투석환자신체자아존중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oday, as the science of medicine and technology has developed, the human's span of life is longer. It is the trend that the dominant forms of disease have been changing from acute disease to chronic disease. Treating Chronic disease is an important factor to preserve the health of modern people. The patients of chronic disease can control their health problems but they can't be cured. Therefore chronic diseas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patient who has physical, mental, and social problems living throughout their lifetime. In case of the patient with a chronic disease who has a physical obstacle with the health problem which has continued for a long time, the patient will be uncertain about the future, worry about death, and the relationship and the change of function within the family and social group. The chronic patient has to face the economic burden resulting from the loss of health, the frustration associated with the disease, the possibility of giving up life. For the benefit of the patient with a chronic disease, care taking for such patients should not only be focused on treating symtoms but also be helped for better living. Renal function is seriously impaired by chronic renal failure. Therefore, renal function can not recover a better state for a short period. In order preserve life, the kidneys should be either implanted or given medical treatment of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for a long period. Hemodialysis patients experience the loss of sex appetite, complications, the fear of death and infection, the stress of limited food, and the big economic burden after a long period of treatment. The patient of hemodialysis will have the loss of job, the decline of economic power, and limited intake of water and food. The change of responsibility and function within a family, the decline of long-term goals which guide life, and the change of life style of the patient bring about the greatest changes for the patient. When patients can't achieve the success which they established before, the patients feel frustration and this brings the loss of self esteem to them. Finally, the loss of function of the physical system extend to the lower self concept. The psychological dissatisfaction that results as a patient adapts to his stress about his change of hemodialysis a relationship to his self esteem; it affects the patient. The patient can experience the matter of self adjustment not only in the loss of physical function and physical ability but also in dissatisfaction about his own physical appearance. Therefore, nurses should help the patient of hemodialysis to live as a human being of value and to have an optimal, peaceful life. In order to admit and accept their matters, the nurse should help to support the patient's social adjustment and mental satisfaction. Those are the central functions of nurs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termine the perception of the body image and degree of self esteem of the hemodialysis patient and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body image and self esteem. As the objec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chose 140 patients above 20 years old who are in the hemodialysis room of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y were diagnosed with chronic renal failure so they had been hemodialyzed for more than one month.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for 114 patient6ws out of 140. They also collected data from normal adults above 20 years old who do not have the physical anomaly in appearance, and acute or chronic disease out of 140 persons living in Seoul. The other group collected data for 119 normal adults out of 140. The instruments of study used for this survey were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developed by Osgood, the Tennessee Self Concept Scale by Fitts, and the Body Cathexis Scale by Secord & Jourad. The study also used Resenberg's the Self Esteem Scale with amendment and implemented it for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12 to 25. It took 14 day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computer using percentage, T-test, F-test, and Pearson-Corelation Coefficient for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nalyzed as follows. The first hypothesis: "The Body Image of the Hemodialysis patient will show lower than that of a normal adult" is supported(T=-12.45, P=.000). The second hypothesis: "The Self Esteem of the Hemodialysis patient will show lower than that of a normal adult" is supported(T=-8.94, P=.000). The third hypothesis: "The body image and self esteem of the hemodialaysis patient will have the relationship," shows that there is clos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cepts (r=0.6224, P=.000). In conclusion, while the comparison of the hemodialysis patient with normal adult, the patient has negative body image. The data shows that the more a patient has negative body image, the self esteem will be lower. This study shows that body image is not only injured by chronic disease but also has a close relation with self esteem. Therefore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demonstrate that the nurses should assess the patient's body image and help to the patient in his adjustment of body image. But further extensive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body image and self esteem is continually required. Therefore this research can be used that the nurses should assess the patient's Body Image and help to the adjustment of Body Image for nursing care and improving Self Esteem. But further extensive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Self Tmage and Self Esteem continueally is required.;오늘날 의학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질병의 형태도 급성질환보다는 만성질환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만성질환은 현대인들에게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만성질환자들은 그들의 건강문제가 통제는 되지만 완치되지 못하고 여러가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인 문제를 일평생 지니고 있게 되므로 삶을 살아가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만성질환자들은 질병으로 인한 신체적 장애와 더불어 건강문제가 장기간 진행되는 경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죽음에 대한 불안, 가족과 사회집단내에서의 관계 및 역할변화, 건강상실로 인한 경제적 부담감 등으로 고통스러워 하고 좌절하게 되며 삶을 포기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러한 만성질환자들의 증가로 간호도 생명의 연장이나 질병의 치유뿐 아니라 그들로 하여금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만성신부전증은 신기능이 심각할 정도로 손상되어 단기적인 치료로는 신기능이 회복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생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신이식을 하거나, 장기적인 치료로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을 받아야 한다. 혈액투석환자들은 투석중 합병증, 성욕감퇴, 죽음에 대한 공포, 감염에 대한 공포, 식이제한으로 인한 압박감, 막대한 경제적 부담, 장기간의 치료후에도 생기는 우울하고 둔마된 감정을 경험하고 있다. 실직과 경제능력의 감소, 수분과 음식물 제한, 가족내의 역할과 책임의 변화, 장기적인 생의 목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감소 등에 의해 많은 상실을 겪게 되며, 생활유형에서도 급격한 변화가 초래된다. 또한 이러한 질병으로 신체기관의 상실 및 기능상실이 야기되어 신체상에 변화가 초래되고, 이전에 성취했던 행위를 성취할 수 없을 때 좌절을 느낌으로서 자아존중감의 상실을 가져오며, 이는 열등한 자아개념으로 확대된다고 하였다. 이와같이 혈액투석환자의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에 적응하지 못하는 심리적인 불만은 자신에 대한 불만과 연관되어 자아존중감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자기 적응으로서의 문제는 신체 기능 상실, 능력 상실 뿐 아니라 자신의 신체외모에 대한 불만을 통해서도 체험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혈액투석 환자들 스스로가 그 자신들이 가치를 지닌 인간으로서 최적의 안녕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그들의 문제를 인정하고 수용하도록 지지해주며 정신적 만족감을 갖고 사회생활에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데 중심적 역할을 해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정도를 알아보고, 신체상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으로는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여 자의로 연구에 협조할 것을 나타낸 혈액투석환자 140명과 일반인 140명, 총 28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혈액투석환자는 서울에 소재한 4개의 종합병원 인공신장실에서 만성신부전으로 진단을 받고 혈액투석을 1개월 이상 실시받고 있는 20세 이상의 환자 140명을 설문조사하여 누락된 사람을 제외한 114명으로 하였고, 일반인은 서울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사람들로 외관상 신체적 기형, 외상을 갖지 않고 급성 혹은 만성질병이 없는 14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누락된 사람을 제외한 1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전반에 대한 신체상(global body image) 측정을 위하여는 Osgood이 개발한 의미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과 Fitts의 Tennessee Self Concept Scale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신체부분에 대한 신체상(specific body image) 측정을 위하여는 Secord & Jourad의 신체만족도(Body Cathexis Scale)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는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96년 4월 12일부터 25일까지 14일간에 걸쳐 수집을 하여 백분율, t-test, F-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 "혈액투석환자의 신체상이 일반인의 신체상보다 낮게 나타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2.45, P=.000). 2. 제 2 가설 : "혈액투석 환자의 자아존중감이 일반인의 자아존중감보다 낮게 나타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8.94, P=.000). 3. 제 3 가설 : "혈액투석환자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은 관계가 있을 것이다."에서는 두 개념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6224, P=.000). 결론적으로 혈액투석환자가 일반인에 비해 부정적 신체상을 가지고 있으며, 부정적 신체상을 가지고 있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신체상이 만성질환으로 손상을 받을 뿐 아니라, 자아존중감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개념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상을 사정하고 신체상 적응을 돕는 간호수행과 이를 통해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간호수행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