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韓雪熙-
dc.creator韓雪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1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0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52-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is about the leadership of Martin Luther King, Jr. Previous studies about King have explained his leadership by arraying various roles from his biography. However, such an approach does not help to provide understanding of his leadership on the whole.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review his role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and to present an evaluation of his achievement by examing his activities and his way of becoming a black leader. In 1955, Martin Luther King, Jr. became a local black leader after the blacks of Montgomery, Alabama boycotted the city's segregated bus system. He was able to be the leader of the Montgomery bus boycott movement because he, who had background and knowledge from the culture of the southern black church and the intellectual culture of the northern white university, could be in the middle between the blacks and whites. He was different from other southern black leaders because he was the product of two cultures. He could understand the southern blacks' thoughts based on his background. On the other hand, he could appeal to the whites and be distinguished from other leaders since he was an intelligent leader who was had been educated in the northern white colleges. Furthermore, he appeared to be a nonviolent leader by inspiring the blacks of Montgomery and counseling his followers to avoid violence and to confront soul force. Martin Luther King, Jr. did not plan or cause any practical black movement to evolve following the Montgomery bus boycoott, but he mediated between militant and conservative wings of the movement and played the role as the bridge between the blacks and whites. The SCLC organized by King in 1957 ha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NAACP, which was the conservative association for blacks, and later when a radical organization, SNCC was established, King was involved in mediation between the NAACP and the SNCC. Thereafter, he contributed to the strong unity in the black movement by maintaining his position at the 'vital center' of the movement, and controlling civil rights organizations. Also, the spread of King's idea of nonviolent protest through the South and the support it evoked among white moderates enabled him to communicate black aspiration to white America. His mediating position became powerful in the Washington March in 1963. His position between government and the black movement helped the US government to support the Birmingham movement in 1963 and the Selma movement in 1965. Therefore, King contributed to expand black civil rights in a political way. King's leadership became weak after 1966, because the expansion of political civil rights did not bring an actual solution of the social and economical inequality. When the southern black movement sought the removal of legal and political barriers, northern blacks, who already possessed the freedoms provided by new civil-rights legislation, wanted equal social and economical opportunity. These problems brought a new radical Wing in black movement. This wing, which was more radical than ever, tried to establish 'Black Power', which apart from white society by using violence, which challenged King's ideas of nonviolence and his leadership. King could not appeal more to northern blacks who were more hostile to whites than southern blacks who were responsive to religious reactions. Though King remained the black leader, he proved less effective in the northern city, Chicago than in the southern region. From then on his mediating position did not have power enough for northern blacks. King could not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as northern blacks wanted, so northern blacks did not follow King as their leader. As a result, the limitation of King's leadership was found in the Poor People's Campaign.;본 논문은 Martin Luther King, Jr.의 지도력에 관한 것이다. 킹의 지도력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킹의 전기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역할들을 나열함으로써 설명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역할들에 대한 설명은 킹의 지도력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킹이 흑인지도자가 되어가는 과정과 킹의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흑인지도자로서 킹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미국 흑인 투쟁사에 있어서 킹의 위치를 재검토하고자 한다. 1954년 연방대법원은 교육기관에서의 인종분리를 위헌으로 판결함으로써 1896년 이래로 인종분리를 합법화해왔던 "분리하되 평등"(seperate but equal)원칙을 철폐시켰다. 이 결정은 남부 백인인종차별주의자들의 폭력적 저항을 유발하였고 이에 대항하여 흑인들은 그들의 권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저항하기 시작하였다. Martin Luther King, Jr.는 1955년 몽고메리 버스승차 거부운동을 통하여 흑인 운동 지도자로 등장하였다. 킹이 흑인지도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그의 어린시절 남부 흑인교회의 문화와 북부 백인대학의 지적 문화의 경험에 기초한 중도적인 입장에 의한 것이었다. 이러한 두 문화의 경험으로 킹은 몽고메리 혹인 지도부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인물로서 받아들여졌다. 킹은 남부의 흑인문화의 경험을 통해 남부의 흑인정서를 이해하고 그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었으며, 북부 백인대학 문화의 경험을 통해 남부 흑인지도부와 구별되는 학문적인 토대를 갖춘 지도자로서 백인사회의 지지를 받을 수 있었다. 또한 킹은 비폭력 사상을 몽고메리운동에 성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폭력에 대항한 비폭력운동의 지역 지도자로서 나타나게 되었다. 몽고메리 운동 이후 킹은 흑인운동을 실질적으로 계획, 전개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속에서 킹은 중재적, 교량적 역할을 확대하였다. 킹은 1957년 조직한 SCLC는 기존의 보수적인 NAACP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급진적인 SNCC가 형성되자 킹은 NAACP와 SNCC 사이에서 중재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처럼 여러 운동조직들 사이를 중재, 조정함으로써 흑인민권운동을 결집시키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또한 비폭력이란 운동철학을 통해 백인사회의 지지를 획득하는 한편 미국 정부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 발전시킴으로써 운동과 백인사회, 정부 사이의 교량적 역할을 당담하게 될 수 있었다. 킹은 실질적인 운동에서 이러한 지도자적 역할을 발휘하였다. 킹의 중재적 역할은 1963년 워싱턴 행진에서 그 힘을 발휘하였고, 킹의 교량적 역할은 1963년 버밍엄 운동과 1965년 셀마운동에서 정부의 개입을 가능하게 해주었던 것이다. 이를 통해 킹은 흑인의 정치적 권리의 신장이라는 흑인운동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66년 이후 킹의 지도력은 약화되었다. 1964년의 민권법과 1965년의 참정권 법은 복부도시 흑인들의 경제적 문제를 해결해 주지 못하였다. 즉 정치적 권리가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을 해결해 주지 못한 것이다. 이로 인한 흑인들의 좌절은 폭동으로 표출되었고 보다 급진적인 흑인운동 세력이 등장하였다. 이들은 폭력을 정당한 수단으로 백인과 분리된 흑인사회를 건립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시카고 운동의 실패와 급진적인 흑인운동 단체와의 대립은 킹의 중재적 역할을 약화시켰고 반전운동은 교량적 역할을 축소시켰다. 이후, 킹은 경제적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미국 사회의 구조적 재편성이라는 급진적인 사상을 갖게 되었고 1967년 빈민퇴치운동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그의 지도력은 그의 중도적 입장에 바탕을 둔 것이었고 이는 남부에 기반을 둔 것이었다. 반면 북부도시 흑인들의 정서는 남부 흑인들의 정서와는 다른 것이었고 북부도시 흑인들은 그들의 현실적 문제를 해결해 주지 못한 킹을 그들의 지도자로 인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시카고 운동과 반전운동, 빈민퇴치운동은 바로 이러한 킹의 지도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論文槪要 = ⅱ Ⅰ. 서론 = 1 Ⅱ. 지역 지도자로서의 등장과 몽고메리 운동 = 11 Ⅲ. 중도적 역할과 지도력의 확대 = 22 Ⅳ. 전국적 지도자로서의 역할과 흑백 인종화합의 "꿈(Dream)" = 30 Ⅴ. King의 급진화와 지도력의 한계 = 41 Ⅵ. 맺음말 = 51 參考文獻 = 54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395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미국-
dc.subject민권운동-
dc.subject-
dc.subject마틴 루터-
dc.title미국 민권운동과 마틴 루터 킹의 역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artin Luther King, Jr.'s Role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dc.format.pageiii, 6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