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90 Download: 0

바넷 뉴먼의 회화에 있어서 '숭고'의 표현

Title
바넷 뉴먼의 회화에 있어서 '숭고'의 표현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Expression of the Sublime in Barnett Newman's Works
Authors
박영란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바넷 뉴먼회화표현숭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추상회화가 주로 양식적인 탐구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것과는 달리 바넷뉴먼(Barnett Newman; 1905-1970)의 작품은 주제에 역점을 두고 제작되었다. 뉴먼은 형식적인 실험에 그치는 미술을 거부하고 단순한 형상을 통해서 오히려 더 심오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는 당시의 시대상황과 연루되어 있는 인간의 근원적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고, 이것이 현대미술에서 상실된 '숭고(the sublime)'를 작품을 통해서 회복시키는 것임을 확신하였다. 고대 그리스시대에서 이미 제기된 바 있는 '숭고'는 18세기 후반 낭만주의에 의해 조화와 이성의 법칙에 대한 신화가 의문시되면서 주요한 예술적 속성으로 탐구되기 시작하였다. 미학자들에 의해 그 의미가 정의되어 온 이 개념은 미술가들에 의해서도 탐구되었다. 미학의 영역에서 '숭고'는 '미'와 구분되는 것으로, '미'의 대상이 작고 섬세한 것이었던 반면 '숭고'의 대상은 거대하고 거친 것이었다. 그리고 '숭고'의 개념은 대상 자체의 속성을 의미하는 것이라기보다 점차 대상에 대한 주체의 경험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게 되었다. 거대하고 압도적인 대상이 주체로 하여금 공포를 느끼게 할 때, 주체는 단순히 이에 굴하지 않고 이를 극복하려는 정신을 부각시키는데 이것이 바로 '숭고'인 것이다. 이같은 특성은 미술에서도 탐구되어 고야나 퓨셀리의 회화에서는 상상을 초월하는 끔찍한 장면을 통하여, 그리고 프리드리히나 터너의 회화에서는 무한한 자연을 대면한 인간을 통하여 묘사되었다. 뉴먼은 1940년대의 사회를 위기상황으로 인식하였다. 비극적 현실을 체험한 그는 당시의 상황이 자연 앞에 생명을 위협받던 원시인이 처했던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북서해안 인디언 미술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그는 원시인들이 '만들기'라는 행위를 통하여 자아를 확인함으로써 공포를 극복하는 측면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숭고'의 체험과 동일시하였다. 이와 같이 뉴먼에게 있어 '숭고'는 대상에 속한 속성이 아니라 주체의 체험 속에 있는 것이며, 따라서 재현적인 형태가 아니라 추상적인 형상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그에게 있어 '숭고'란 인간을 위협하는 상황을 극복하려는 자아 의지인 것이다. 뉴먼은 자신의 회화를 통하여 '숭고'의 체험을 유발하기 위하여 무엇보다도 작품의 전체성을 중시하였다. 이것은 관람자가 작품을 대면하는 순간에 작품전체를 직접적으로 수용할 때 '숭고'의 체험이 강렬해진다는 그의 견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같은 전체성을 위하여 뉴먼은 거대한 캔버스에 띠(zip)만을 제시하는 지극히 단순한 화면을 제작하였다. 뉴먼의 작품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띠는 수직형태이다. 화면을 수직으로 분할하는 띠는 그 특성상 관람자에게 강렬하고 단일한 체험을 유발하며, 엄숙한 느낌을 자아낸다. 한편, 수직선이란 중력을 무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뉴먼의 회화를 대면하는 관람자는 수직선에 마주 서 있는 자신의 존재를 재확인하게 된다. '숭고'의 체험은 캔버스의 크기가 확대될 때 더욱 강화된다. 1949년 오하이오 인디언 무덤을 방문한 그는 거대한 장소 속에 서 있는 자신을 세계의 중심으로 인식하였다. 광막한 자연 속에서의 자아확인의 경험은 일종의 '숭고'의 체험으로서 그가 커다란 화면을 사용하는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후 급속히 확대된 그의 캔버스는 자신의 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성취시킬 수 있는 요소가 되었다. 뉴먼의 회화에 있어서 색채 또한 관람자에게 숭고한 체험을 유발하는 데 결정적인 요소이다. 그는 일종의 場으로서의 색면을 성취하기 위하여 명도변화를 억제하고 균일하게 채색하였다. 그에게 있어 색채는 감정을 유발하거나 관념을 전달하는 요소이다. 그리하여 그는 각각의 색채가 가진 고유의 표현효과와 상징의 기능을 탐구하였다. 결국, 관람자에게 자연 대신 회화라는 인위적 사물을 제시함으로써 인간의 보편적인 고통의 경험과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자아 의식, 즉 '숭고'를 체험하게 하고자 하였던 그의 의도는 단순한 색면의 기하학적 형식 속에 관념적 내용을 담은 특유의 양식으로 귀결되었다. 이러한 그의 작품은 내용의 표상이라는 면에서는 추상표현주의와, 양식적인 면에서는 미니멀리즘 회화와 연관됨으로써 이 두 경향의 가교역할을 하였다.;While the abstract paintings were developed on the stylistic research, Barnett Newman's works were made on the emphasis of the subject matter. He refused the formal art and insisted that much more serious content should be transferred through the abstract form. He tried to deal with the primary problems of human beings which were concerned with the social situation of 1940s, and he believed it could deliver the sublime which was lost in modern art. The sublime had been already discussed in the acient Greek era. And it was studied as an important artistic attribute in the late 18th century. Not only the aestheticians but also the artists studied the concept of the sublime. In the aesthetics, the sublime was different from the beautiful. While the object of the beatiful was small and delicate, that of the sublime was large and wild. But the concept of the sublime Was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 rather than the object itself. The man who feels the terror in front of the large and overwhelming object and tries to overcome it by his will could experience the sulbime. This characteristics was studied in the arts, for example paintings of Goya or Fuseli which represent the terrible imaginary scene and those of Friedrich or 'Turner which represent the trenscendental behind the nature. He thought the society of the 1940s as a crisis. As he experienced the tragic life of that time, he thought it WEE the same situation of the primitive man that owned the terror before the nature. Newman was interested in the Art of the Northwest Coast Indian and knew that primitive man could overcome the terror by making oneself through the act of 'making'. And he identified it with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For Newman, the sublime was not the attribute of the object itself but was in the experience of man. So it could be transferred more effectively by the abstract form. For him, the sublime was the will to overcome the situation by which man was threatened. Newman wanted to evoke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To achieve it, he tried to get the wholeness of works. He thought the more intensified feeling of the sublime could be got when the looker looking at the whole works at the instant took it immediatly. To get such a wholeness, he made an extremely simple works which had bands on the surfaces of the paintings. As a whole, the bands were vertical. The bands dividing the canvas vertically gave the looker strong simple and serious im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ignores the gravity. So the looker could recognize the presence of himself confronting the vertical.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could be intensified as the size of the canvas becomes larger. He identified himself with the focus of the world when visiting the Ohio Indian Mounds in 1949. The experience of the seif-recognition in the vast place was sublime so it became an important motivation for him to use a large canvas. After that the imminently enlarged canvas was an effective element to achieve the sublime. Color was also the definitive element that evoked the sublime. To achieve the field, he painted evenly and restrained the value variation. For him, color was the element to evoke the feeling or transfer the idea. Finally by presenting the works, artificial object instead of nature he tried to give the experience of man's general suffering and the self-conciousness to overcome it, the sublime and such an intention was crystallized through the works that had geometric form of the simple color and contents. His works were concerned with both abstract expressionism in the point of representation of contents and minimal art in style, bridged the two tendenc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