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7 Download: 0

특성 불안 및 통제 소재와 스트레스 대처 양식과의 관계

Title
특성 불안 및 통제 소재와 스트레스 대처 양식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Anxiety, Locus of Contrl and Stress Coping Style : A focus on High School Student
Authors
이선주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불안통제소재스트레스 대처 양식고교생심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coping style by using the Trait-Anxiety defined by Spielberger(l966) and Rotter's (1972) Locus of Control as an independent variation that effect teenagers stress coping style. Therefore,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there is a difference in gender on the degree of Trait-Anxiety, Locus of Control and Stress Coping Style, a difference shown on stress coping style depending on the degree of Trait-Anxiety, a difference in Stress Coping Style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and finally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egree of Trait-Anxiety and Locus of Control on teenage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st and 2st grade high school boys' and girls' dwelling in Seoul and the study material u s d was the STAI Anxiety scale developed by Spielberger, Gorsuch and Lushene(l970) and the Trait- Anxiety scale(STAI T)which was standandized into Korean adapted by Kim Jung Taek, Shin Dong Gyun(1978) and the internal-external Scale which Cha Jae Ho(1973) translated and modified Rotter(1966)'s Internal-External Scale to fit into Korean Situation, and for the Stress Coping Style Checklist that Kim Jung Hee(1987) modified and complemented which was developed by Folkman & Lazarus(l985) was used. Data transaction for the analysis of a subject of inquiry, Cronbach α was obtained as a reliability for each scale and the coping style checklist was classified into the subscale 4 types of coping style by factor analysis, Trait-Anxiety and Locus of Control was done a frequency analysis and classified into high rank 25% and low rank 25% in order to classify high group and low group, internal control and external control. To find the relation among the variations, t-test, correlation coefficient, Two-way ANOVA was enforced. For this kind of statistic transaction SpSS/PC+ package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at women had higher degrees of Trait-Anxiety than men on the level of Trait-Anxie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at women had higher internal control disposition than men on locus of control. Among the 4 types subscale pattern of stress coping method (problem -focused coping, emotion-alleviation coping, social support seeking, wishful thinking) the difference was shown that men only use more in emotion -alleviation coping than women. 2. There was a significant result from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e degrees of Trait-Anxiety and 4 types subscale patterns on stress coping style on problem-focused coping was with negative correlation and emotion-alleviation coping was with positive correlation. his means that if you have a lower level of Trait-Anxiety more problem -focused coping is used and the higher Trait-Anxiety level a have the more emotion-alleviation coping is used. On analyzing the difference in stress coping style due to Trait-anxiety level, problem-focused coping and emotion-alleviation coping differed from low to high level on the Trait-Anxiety but social support seeking and wishful thinking didn't. That is to say we discoverd that the group with lower level Trait-Anxiety used more problem-focused coping and the higher level group used more emotion-alleviation coping. 3. There was a significant result from correlation analysis of locus of control disposition and 4 types subscale patterns of stress coping style that problem-focused coping was with positive correlation and emotion-alleviation coping was with nega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e more internal control disposition one has the more he used problem-focused coping and the more external control disposition one has the more he uses emotion-alleviation coping. In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stress coping method according to the locus of control, problem-focused coping and emotion-alleviation coping differed locus of control but social support seeking and wishful thinking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That is the result was that internal control groups was more problem-focused coping compared to external control groups and emotion -alleviation coping was used more by external control groups than internal ones. 4.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Trait-Anxiety and Locus of Control, we found ou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at is, we could realized the higher the level of trait-anxiety is the more one has external control disposition. On analyzing the stress coping styl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ow-high level of trait-anxiety and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only a main effect was discovered on problem-focused coping and emotion-alleviation coping and not a main effect on social support seeking and wishful thinking. Mentioning in details, it was discovered that on problem-focused - coping had only a main effect due to the trait-anxiety level and emotion-alleviation coping had main effects on both trait-anxiety level and locus of control.;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 양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Spielberger(1966)에 의해 정의된 특성 불안과 Rotter(1972)의 통제 소재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그에 따른 대처 양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특성 불안 정도와 통제 소재 및 스트레스 대처 양식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특성 불안의 정도에 따라서 스트레스 대처 양식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또한 내외 통제 소재에 따라서 스트레스 대처 양식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특성 불안의 정도와 통제 소재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양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남자 고등학생 1, 2학년과 여자 고등학생 1, 2학년을 대상으로 했으며 연구 도구는 Spielberger, Gorsuch 및 Lushene(1970)가 개발한 STAI 불안척도를 김정택, 신동균(1978)이 번안하여 한국형으로 표준화 시킨 STAI 불안 척도중 특성 불안 척도(STAI-T)와 Rotter(1966)의 Internal-External Scale을 차재호(1973)가 한국실정에 맞게 번역, 수정하여 제작한 내외 통제 척도를 사용했고, 스트레스 대처 양식은 Folkman & Lazarus(1985)가 개발한 것을 김정희(1987)가 수정, 보완한 대처 방식 체크리스트를 사용했다. 연구 문제 분석을 위한 자료처리는, 각 검사척도의 신뢰도로 Cronbach α를 구하고 대처 방식 체크리스트는 요인 분석을 통하여 4가지 대처 방식의 하위척도를 구분하였고, 특성 불안과 통제 소재는 각각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내적 통제, 외적통제로 분류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상위 25%와 하위 25%에 속하는 점수를 찾아서 나누었다.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보기 위해, t-test, 상관 분석, Two-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통계처리는 SPSS/PC+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특성 불안 수준에 있어서 여자가 남자보다 특성 불안의 정도가 높다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통제 소재 성향에 있어서 여자가 남자보다 내적 통제 성향이 높다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 양식의 4가지 하위 유형(문제 중심적 대처, 정서 완화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 소망적 사고)에서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만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이 사용한다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2. 특성 불안의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 양식의 4가지 하위 유형과의 상관 분석에서 문제 중심적 대처와는 부적 상관을, 정서 완화적 대처와는 정적 상관을 나타내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특성 불안 수준이 낮을수록 문제 중심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고, 특성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 완화적 대처를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성 불안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양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문제 중심적 대처와 정서 완화적 대처는 특성 불안이 높고 낮음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사회적 지지 추구와 소망적 사고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특성 불안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문제 중심적 대처를 많이 사용했으며 높은 집단에서는 정서 완화적 대처를 많이 사용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3. 통제 소재 성향과 스트레스 대처 양식의 4가지 하위 유형과의 상관 분석에서 문제 중심적 대처와는 정적 상관을, 정서 완화적 대처와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내적 통제 성향을 지닐 수록 문제 중심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고 외적 통제성향을 지닐 수록 정서 완화적 대처를 많이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제 소재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양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문제 중심적 대처와 정서 완화적 대처는 통제 소재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사회적 지지추구와 소망적 사고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내적 통제 집단에서는 외적 통제 집단에 비해 문제 중심적 대처를 많이 사용한다는 결과가 나왔고, 정서 완화적 대처는 외적 통제 집단이 내적 통제 집단에 비해 많이 사용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4. 특성 불안과 통제 소재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 분석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음이 나타났다. 즉, 특성 불안 정도가 높을 수록 외적 통제 성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성 불안의 높고 낮은 수준과 통제 소재의 내적 통제와 외적 통제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양식의 차이 분석에서 문제 중심적 대처와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만 주효과가 발견되었고 사회적 지지추구와 소망적 사고에서는 어떤 효과도 발견되지 않았다. 자세히 언급하면, 문제 중심적 대처에서는 특성 불안 수준에 따른 주효과만이 유의미하게 나왔고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는 특성 불안 수준과 통제 소재가 각각 주효과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